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 왜곡을 평가하기 위하여 객관적 및 주관적 측색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 Colorchecker Classic의 15번(Red), 16번(Yellow) 및 14번(Green) 색표를 가상신호등으로 설정하여 객관적 측색을 실시하였다.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각 렌즈를 장착한 후 가상신호등을 촬영하였 다. 본래 색상과 렌즈 장착 후 측정된 색을 CIE 1976 L*a*b* 색도좌표로 표시하였고, 좌표간 거리 값인 ΔE* ab를 산출하여 색 왜곡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32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교통신호등의 관찰된 색을 한국 색채 표준 디지털팔레트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본래 색상과 비교하였다. 결과 : 객관적 평가에서, 황색 및 녹색 가상신호등의 색왜곡은 근적외선 차단렌즈 착용 시 가장 작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근적외선 차단렌즈에 의한 적색 가상신호등의 색왜곡은 녹색렌즈보다 크지만 갈색, 회색 및 청색렌즈에 비교하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평가에서, 적색 신호등을 주시했을 때 근적외선 차단렌즈에 의한 색왜곡은 갈색렌즈와 비교하여 더 많았으며, 청색 및 녹색렌즈 착용과 유사하였고, 회색렌즈 착용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왜곡은 다른 렌즈와 비교하여 객관적 평가에서 가장 낮았으나, 주관적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주관적 색 재현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착색안경렌즈를 착용 시 여러 가지 색각이상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색각이 정상인 14명의 참여자(평균연령 25±5.1 years; 평균시력 -0.07±0.07 logMAR)가 다양하게 착색되어 있는 안경렌즈를 착용하고 3가지의 색각이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렌즈 는 회색(Gray), 갈색(Brown), 초록색(Green), 노란색(Yellow)의 4가지 색상을 가시광선 투과율을 기준으로 20%(Low Transmittance; LT)와 70%(High Transmittance; HT)의 두 가지 농도의 렌즈로 총 8종을 사용 하였다. 각 렌즈를 착용 후 한식색각검사표, D-15 배열검사, 색등검사(Fletcher CAM Lantern test)를 실시 하였다. 결 과: 한식색각검사와 Farnsworth Panel D-15 검사에서는 착색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보다 착색 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틀린 개수가 증가하였다. 높은 투과율의 렌즈보다 낮은 투과율의 렌즈에서 틀린 개수 가 증가하였으며(p=.000), 특히나 진한 노란색 렌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색등검사에서는 진한 회색 렌즈(p=.001)와 진한 갈색 렌즈(p=.000)에서 틀린 개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투과율이 낮은 렌즈에서 틀린 개수가 높게 나타났다(p=.000). 결 론: 착색렌즈의 색상과 상관없이 연한 착색렌즈(70%)보다 진한 착색렌즈가 더 많은색의 혼동을 유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세 가지 색각검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운전용이나 사격용으로 추천되는 노란색 렌즈의 경우, 두 가지 색각검사에서 색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색등검사에서 진한 농도의 회색 과 갈색의 렌즈가 색의 혼동을 일으켰다. 따라서 이런 색상이 있는 렌즈는 처방과 착용에 있어서 사용 목적 에 맞추어 주의를 기울여 처방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착색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통해 착색안경렌즈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세에서 45세 사이의 성인 남녀 49명을 대상으로, 검사거리 40cm에서 200Lux의 조명하에 편광렌즈를 착용하고 입체시 검사를 한 후, 편광렌즈 위에 착색안경렌즈를 착용하게 하여 각각 색상, 농도별로 입체시를 다시 검사하였다. 결 과: 착색안경렌즈의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보면 농도 20%에서 갈색의 입체시가 2.04±32.1 1″로 유의(p
        4,000원
        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에 iron (Ⅱ) phthalocyanine와 magnesium phthalocynin을 첨가하여 친수성 안의료용 콘택트렌즈를 중합한 후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첨가제를 HEMA, NVP, MMA와 함께 공중합하였으며, 교차결합제로 EGDMA를 사용하였다. 또한 개시제로 AIBN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굴절률, 함수율, 분광투과율, 인장강도 및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차단성과 친수성 착색 콘택트렌즈의 기능성 염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은 1.4320∼1.4330, 함수율은 38.53∼39.34%, UV-B 투과율은 33.8∼65.5%, 접촉각은 53.89∼64.45° 그리고 인장강도는 0.2790∼0.3137 kgf의 범위로 각각 측정되었다. 측정결과 magnesium phthalocyanine와 iron (Ⅱ) phthalocyanine의 첨가가 자외선의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eference와 비교하여 접촉각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ron (Ⅱ) phthalocyanine와 magnesium phthalocyanine를 첨가한 고분자의 경우, 함수율과 굴절률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To evaluate visual acuity(V A) according to Jight transmissi on of tinted Jenses. Methods : 37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24 males, 13 females, a mean age of 22.8±2.0 yrs.) were seJected. AJJ of them had corrected visuaJ acuity of 0.8 or better, no anisometropia of 2.000 or more, no ocuJar and systemic diseases. Gray, brown, red, green, yellow, bJue, pink lenses are tinted in accordance with BS EN 1836(1997) so that Juminous transmittance of the lenses classified 80-90%(0 category), 60-80%(1-1 category), 43-60(1-2 category), 30- 43%(2-1 category), 18-30%(2-2 category). VA was measured with Han's visual acuity churt. Results : ln wearing tinted lens, the VA decreased. the photopic condition at distance, VA with all the tinted Jen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es of brown, yellow, blue tint and 1-2 category Jens of yellow tint. ln mesopic condition at distance, V A with all tinted Jense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 of gray tint.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near. V A with alJ tinted Jens decreased. In mesopic condition at near distance, VA with alJ tinted Jense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es of green and pink tint.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distance.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all tinted Jenses excepts 2-2 category of gray tinted Jens was 0.8 or better. ln the mesopic condition at distance.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all tinted Jenses was Jess than 0.8.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near.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2-2 category Jens of gray tint was 0.8 or better. ln the mesopic condition at near, 1-1 category Jens of bJue tint were measured corrected visual acuity Jess than 0.8. 1-2 category of alJ tinted lenses were measured con·ected visual acuity Jess than 0.8. Conclusions : VisuaJ acuity according to color and light transmittance of tinted lenses was different. When choosing tinted lenses, the decreased leveJ of visuaJ acuity needs to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