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smoking generates harmful air pollutants. With smoking in buildings as well as in the streets prohibited, the need for smoking rooms has emerged. In this study, particle and CO contamination in a 63.6 m3 smoking room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sing Korean tobacco. Tobacco smoking was artificially simulated using a smoking machine. The number and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ranging from 10-420 nm and 0.25-32 μm were measured using a Nanoscan (TSI model 3910) and a portable aerosol spectrometer (Grimm model 1.109), respectively. CO concentration was also monitored using an IAQ monitor (Graywolf IAQ-Xtra 610). Four tobaccos were simultaneously smoked in each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four times. Maximum CO concentrations of 7-10 ppm were observed and high concentrations of particles (176,000-1,115,000 particles/cm3 for 10-420 nm, 3,700-5,200 particles/cm3 for 0.25-32 μm) were also monitored. The dominant size of tobacco particles was about 100 nm in diameter.
        4,000원
        2.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훈연을 이용한 진딧물의 살충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건조 담뱃잎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온실에서 훈연시험을 실시하였다. 아크릴케이지 에서 담배를 훈연하였을 때 담배품종은 버어리종이 황색종보다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이 높게 나타났다. 세 종의 진딧물 복숭아혹진딧 물,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을 각각 기주를 이용하여 아크릴케이지에서 50 mg의 담뱃잎으로 훈연시험을 실시한 결과 살충율은 싸리수염진 딧물(97.2%)>목화진딧물(94.4%)>복숭아혹진딧물(63.9%) 순으로 나타났다.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를 가지로 했을 때 훈연에 의한 살충율이 배추를 기주로 했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100 m 2 규모의 온실에 황색종의 담뱃잎을 2시간 훈연 시 200 g을 이용하였을 때 싸리수염진딧물에 대 해 95.4%의 방제가를 보여주었으나 100 g을 이용하였을 때는 28.9%의 방제가를 보여주었다. 100 g의 담뱃잎은 14시간 훈연하였을 때는 2시간 훈연보다 살충효과가 2배 이상 높아졌다. 오이재배 농가 온실에서 담배훈연을 하였을 때 처리 후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80% 이상이었다. 온 실 환경에 따라 적절한 양과 시간을 선택해 사용한다면 담배훈연은 온실 내 발생하는 진딧물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ga rette smoki ng may act direct ly on the oral mucosal membrane The effects of smoking has many harrnJul effects on the oral cavi ty ‘ s uch as oral cancer. oral Icukoplakia , erythroplakia‘ nicotine stomati tis. ha iry tongue. smoker’s melanosis. acute nec roti zing ulverative gingivitis, gingivitis/periodontitis ‘ treatment of periodontitis. implant surgery a nd den tal cari es. lf pregna nt woman smokes. the tobacco can effect on the both pregnant and embryo/fetus negati ve ly. For the cessation 0 [' smoki ng, the dentist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preve nti ng t he harmful efTects on smoking in the oral cav ity, Conseq uently smoking cou nseling should be as a part of the dentist's job in the de ntal pract ic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