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분포와 서식지 유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4개 지점에서 9개체의 비단털쥐가 포획되었고, 4개 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서식지 유형은 대부분 자연형과 경작지 또는 휴경지형이었고, 일부 지역은 약간의 도심형이 공존하는 지역이었다. 자연형의 경우 대부분 숲과 관목림, 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도별로는 저지대인 102 m에서 산간지대인 742 m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1,000 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주변에는 대부분 하천, 건천 또는 습지가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비단털쥐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주로 자연식생 및 식재림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다소 온전하거나 온전하지 못한 층위구조를 가진 대부분 상층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 또는 장경초지나 관목림의 분포가 비교적 넓은 지역이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대부분 도로와 산림소로가 위치하고 있어 비단털쥐는 인위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지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국립공원은 보존대상지역이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훼손은 거의 없으나 소형포유류의 선호도가 높은 초지대는 생태계 교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단털쥐의 안정적인 개체군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산간지역의 보전과 저지대 초지대 보호를 통한 다양한 서식지의 유형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4,300원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by comparing the external shape traits and skull size of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from May 2014 to November 2016. Body weight, head-body length, ear length, and hind-foot leng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ail l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s compared to males (p=0.003). To examine the secondary sexual dimorphism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T. triton, B_HR, T_HR, E_HR, and H_HR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head-body length, and only T_H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3). Because of comparing male and female averages, among the 21 traits, the greatest length of skull (GLS; p=0.020) and occipitonasal length (ONL; p=0.01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ength of incisive foramen (LIF)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significance level was 90%. However, the other 18 trai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5). Other than GLS, ONL, interorbital breadth (IB), and breadth of occipital foramen (BOF), there was female-biased S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analysis of external morphology and skull characteristics of T. triton in Jeju Island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 triton. In addition, the data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T. triton, which is known as a single species, inhabited in China and Russia. The dat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geography and ecology research of T. triton, based on geographical conditions, climate effects, and habitat environment.
        4,0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scherskia triton is widely distributed in Northern China, Korea, and the adjacent areas of Russia. Except its distribution, reproduction, and growth development related to life history, reproductive cycle and reproductive organs of T. triton are rarely studi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haracterized the estrous cycle of T. triton captured in Jeju Islan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a better information of captive breeding of the species when longday (16L : 8D) and short-day (8L : 16D) photoperiod. Then, histological study of the ovaries and uterus with five females in each photoperiod was performed. The duration of the estrus cycle was 4~5 days and it showed regular cycle pattern. Results of the vaginal cytology examination showed four characteristic phase of the estrous cycle in long-day photoperiod (16L : 8D): proestrus, estrus, metestrus and diestrus. However, in short-day photoperiod, the diestrus phage of the estrus cycle was maintained from the 6th to 12th day. In the long-day photoperiod, females had many Graafian follicles and corpus luteums in large ovaries, and developed uterine glands in the thick endometrium. But they had som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follicles, and undeveloped uterine glands in the thin endometrium during short-day photoperiod.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difference of the estrus cycle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tracts according to the photoperiod. These results are very important clues to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 triton, and it will be widely used as date for maintaining biodiversity.
        4,000원
        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북부와 한국, 러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분포를 제외한 생활사, 행동, 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포획된 개체(n=9)를 대상으로 종 단위 연구의 기본이 되는 번식과 성장 및 발달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를 밝히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사육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신률은 31.7%였고 좁은 케이지에서 보다 넓은 케이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56.7 vs. 6.7%). 임신기간은 22±1.6일(범위 21-27일), 한배의 산자수(litter size)는 4.26±1.37마리(범위 2-7 마리)였다. 최소이 유시기는 19.2±1.4일(범위 18-21일)이었다. 출생 직후 새끼의 체중과 외부형태의 크기는 성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 시기부터 암수의 머리와 몸통길이(HBL)와 꼬리길이(TL)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BL-weaning, 106.50±6.02 vs. 113.34±4.72㎜, p<0.05; HBL-4 months, 163.93±5.42 vs. 182.83±4.32㎜, p<0.05; TL-4 months, 107.23±3.25 vs. 93.95±2.15㎜, p<0.05). Gompertz 모형과 logistic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머리-몸통길이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최대 성숙 길이가 길었고(164.840±7.453 vs. 182.830±4.319㎜, p<0.0001; 163.936±5.415 vs. 182.840±4.333㎜, p<0.0001), 성장률도 빨랐으나(1.351±0.065 vs. 1.435±0.085, p<0.05; 2.870±0.253 vs. 3.211±0.635, p<0.05), 성장곡 선의 기울기가 최대가 되는 일령은 암컷보다 조금 늦었다(5.121±0.318 vs. 5.520±0.333, p<0.05; 6.884±0.336 vs. 7.503±0.453, p<0.05). 한편 꼬리의 최대길이(105.695±5.938 vs. 94.150±2.507㎜, p<0.001; 111.609±14.881 vs. 93.960±2.150㎜, p<0.05)와 변곡점에서의 길이(60.306±1.992 vs. 67.859±1.330㎜, p<0.0001; 55.714±7.458 vs. 46.975±1.074㎜, p<0.05)는 암컷이 수컷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장모형에서 암수의 체중과 외부형태형질에 대한 성장률은 비교 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털쥐의 종적 특징을 밝히는데 필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