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자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생태지역 유형을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생태지역별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방문경험에 대한 인식도 분석과 인식도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방문경험 인식 측정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생태체험, 환경친화, 사회성, 휴식 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 따라 방문경험 요인별 로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연생태지역에서의 방문경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지역 방문경험 인식이 방문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서 휴식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생태지역에서는 생태체험 요인, 인공생태지역에서는 환경친화 요인이 방문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계획 및 관리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000원
        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blic plazas are open spaces commonly found in city centers that all citizens can access. They can participate in events such as community gatherings, open markets, and concerts, or use these purposely designed areas while creating a sense of place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zone and the meanings they assign to i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sitors’ sense of space in the context of public plazas. To do so, we measured and analyzed visitors’ attitudes including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as well as their behavioral patterns, perceptions, familiarity, and satisfaction level. We selected the study sites to represent plazas in Seoul, South Korea’s capital: Gwanghwamun Plaza, Seoul Plaza, and Cheonggye Plaza, which were recently developed as a part of a host of urban renewal projects due to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We collected data using survey methods and carried out descriptive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the F-test, and t-tests to analyze visitors’ demographic information, behavior, perceptions, satisfaction, familiarity,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 that sense of place in public plazas might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in,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familiarity with public plazas.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dscape planning in urban plazas might need further research that considers visitor views in order to create a sense of place and make such areas meaningful as landmark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