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중국 향촌진흥(鄕村振興) 전략은 제도적 틀과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지역 적 이해관계, 비효율적인 감독 또는 공무원의 정책 이행 실패 등으로 인해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중국 농촌 지역 주민이 한국의 새마 을운동과 글로벌새마을운동에 대한 수용성을 검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TAUT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10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했다. 중국 하남성(河南省)의 마을에 서 374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Smart-PL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새마을운동(새마을운동 1.0)의 세 가지 정신이 중국 농촌 지역 주민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고, 글로벌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 2.0)이 새마을운동 1.0보다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6,0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 및 구성 방식의 전시가 담론화되고 있다. 현대 전시의 흐름은 급속도로 발전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오프라인 활동이 주를 이뤘던 대부분의 전시들은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에 제약이 생기게 되었으며,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시대의 대안으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며 가상공간 속 하나의 사회를 구축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자연스럽게 주목받게 되었다.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메타버스는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가 된 것이다. 메타버스 기술이 활용된 전시 공간은 전시 목적에 따라 구성 방식 및 형태를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으며, 수동적이고 단편적이었던 기존 전시를 사용자 중심의 환경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시의 흐름과 한계를 알아보고, 한계점 극복이 가능한 메타버스 전시에 대한 현황 및 가능성을 탐구하여 전시 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4대 유형을 ‘시뮬레이션과 증강현실 사이’, ‘내재적 요소와 외재적 요소’인 2가지 축을 통해 비교분석을 하여 어떤 유형으로 전시하는 것이 더 적합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메타버스가 도입되었을 때의 전시가 기존에 진행되던 전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becomes so bad, which seriously threatens the health and even the life of people. So, government started to investigate several ways to reduce the amount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From a few years ago it has been known that ships anchored at port emit a lot of pollution and seriously affect air quality of neighboring cities. To reduce the pollution emitted by ship AMP (Alternative Maritime Power Supply) has been proposed, which uses the electricity instead of bunker C oil or diesel. Many developed countries already installed AMP to improve air quality in port area. Korea is in the stage of planning to install AMP at port. However, there are many complicated problems to be handled before AMP installation. Due to huge initial cost and long period of construction ship owner and habour operating company are reluctant to AMP installation. And there are serious technological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AMP in existing harbour. Lack of AMP core technology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of AMP are also big challenges to be conquered. In this study SWOT/AHP method is used to find strategic and efficient ways to handle above complicated challenges and then to vitalize the AMP installation.
        4,3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목적은 2015년에 조성된 장수누리파크에 대하여 공간의 리노베이션, 운영프로그램의 계획 및 지역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성화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관광환경, 대상지 현황, 유사사례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기본구상안과 마스터플랜을 도출하였다. 대상지의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다양한 체험, 휴식과 여가 활동을 위한 새로운 공간을 도입하였다. 공간규모, 지역자원, 방문객 요구 및 행태 분석을 통해 도입시설별, 주제별, 이용대상별, 운영시기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수누리파크와 인접해 있는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사테마 간 연계를 통해 관광객 방문을 유도하였으며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어 지역소득 창출 및 고용의 기회 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4,300원
        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sight into methods for activating management of traditional markets by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merchant percep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erchant has participated in management activation education. Analysis of merchants’ levels of perception of market activation found that educated merchants had a higher perception of pre-post modernization satisfaction, promotion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rojects, and post-support changes in sales. In a co-marketing context, educated merch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nuri gift certificates, bargain sales, festivals and events, and advertisement promotions. With regards to perception of management performances, educated merch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responses for item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vendor, increased sales, and increased customer awareness. The results in this study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policy-making processes of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and merchant education for activation of management is deemed to be continuously necessary.
        4,000원
        6.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학 교원 창업은 기술 이해도가 높은 고급인력의 기술창업으로 일반적인 기회형 창업보다 성장성 및 파급효과가 높은 양질의 창업 유형이다. 이러한 장점에 주목하여 정부는 대학 교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법규 및 관련 제도는 교원 창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뿐만 아니라 교원 창업과 관련한 주체들(대학, 교수, 대학원생 등)간 이해가 충돌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로 인하여 대학 교원 창업과 관련한 여러 유형의 이해충돌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는 교원 창업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술적 관점에서 대학 교원 창업 관련 논의를 종합하고, 대학 교원 창업의 이해충돌 문제를 체계화 및 유형화하였고, 한국과 미국 주요 대학의 교원 창업 관련 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교원 창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6,300원
        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rso patterns that fit the three main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women. To reduce time, costs, and also the trial and error needed to make patterns, the CLO program for 3D test wear was employed. Three virtual models for aged obese women were use, with the YUKA system used to produce torso patterns. 3D simulation of test wear and corrections was done to design optimal torso patt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three models of obese women’s body shapes as realized by CLO 3D, Type 1 is lower-body obesity shapes, Type 2 is abdominal obesity shapes, and Type 3 is whole-body obesity shapes. Second, to design the study patterns, actual measurement values, back waist length and waist to hip length, were used. The armhole depth (B/4-1.5), front interscye (B/6+2.3), front neck width (B/12-0.5), front neck depth (B/12+0.5), front waist measurement (W/4+ 1.5+D), front hip measurement (H/4+2+0.5), and back hip measurement (H/4+3-0.5) were calculated using formula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wearing the study patterns, reduced front neck width and depth improved the neck fit and reduced armhole depth bettered loose or plunging armhole girth and also reduced the sagging of bust c.. Also, tight sidesfrom aprotruded waist and abdomen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surpluses in the back waist and also back and front hip c. The exterior was enhanced by displacement of back and front darts, which distributed surpluses better.
        4,300원
        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rso patterns that fit the three main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women. To reduce time, costs, and also the trial and error needed to make patterns, the CLO program for 3D test wear was employed. Three virtual models for aged obese women were use, with the YUKA system used to produce torso patterns. 3D simulation of test wear and corrections was done to design optimal torso patt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three models of obese women’s body shapes as realized by CLO 3D, Type 1 is lower-body obesity shapes, Type 2 is abdominal obesity shapes, and Type 3 is whole-body obesity shapes. Second, to design the study patterns, actual measurement values, back waist length and waist to hip length, were used. The armhole depth (B/4-1.5), front interscye (B/6+2.3), front neck width (B/12-0.5), front neck depth (B/12+0.5), front waist measurement (W/4+ 1.5+D), front hip measurement (H/4+2+0.5), and back hip measurement (H/4+3-0.5) were calculated using formula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wearing the study patterns, reduced front neck width and depth improved the neck fit and reduced armhole depth bettered loose or plunging armhole girth and also reduced the sagging of bust c.. Also, tight sidesfrom aprotruded waist and abdomen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surpluses in the back waist and also back and front hip c. The exterior was enhanced by displacement of back and front darts, which distributed surpluses better.
        4,300원
        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2년 기준 산촌지역 임가소득은 도시근로자의 54.3%, 농가의 67.6%에 불과하며, 노동집약적인 1차 산업 위주의 임업은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를 갖고 있다. 한편 우리사회는 여가시간 증가, 삶의 질을 강 조하는 생활 방식이 자리하게 되면서 도시에서 벗어나 산림에서 체험하고 힐링을 하기 위한 수요가 지 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수요에 대응하여 기존에 1차 산업 위주의 임업 외에 부가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산림치유를 활용한 사 업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를 이용한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산촌지역에서 행해지는 산림치유시설의 특징, 프로그램 내용 등을 인터넷 조사와 현지 방문, 전문가 인 터뷰를 수행하였다. 이후 인터뷰한 원자료를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으며 NVivo1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186개의 개념과 8개의 범주와 24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산촌지 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 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지역에 산림치유 적용방안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량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으며, 산림치유마을 조 성·운영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4,500원
        1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local festival sponsored by KOTRA (Korea Trade- Investment Promotion Agency) in Banteay Meanchey Province in Cambodia, find that the vitalization strategies that allow the local festival concept to be used as a new rural development strategy alternative, and share those strategies with other donor countries and agencies that may want to implement something similar.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 analysis was utilized to deriv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und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romoting a local festival.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was employed to prioritize the factors derived from SWOT analysis. These results w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pplicable vitalization strategies. The vitalized local festival can be a tremendous resource for rural regions in Cambodia by helping maintain the rural societies, support the inheritance of their cultural legacies, and provide additional outlets to sustain local development. Acting as sponsors of these strategies will help donors strengthen the ties and construct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tnerships with Cambodia.
        4,000원
        11.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implements the risk assessment that is implemented by managers and working team lead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hare the result of risk assessment meeting to substructural workers in korea system and the workers don't understand meaning and effect about risk assessment. The risk assessment is that th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ite have to know risk factors and reducing ways to the risks. But, the education and sharing methods for risk assessment system is insufficient in korea. For this risk assessment problems identified were survey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risk assessment,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irst, Implement to educate the risk assessment during the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of construction industry. Second, the training way about workers' participation in risk assessment is necessary. For example, after watching videos, etc, the workers create risk assessment in person and make a presentation about it. Third, the risk assessment utilize during TBM(Tool Box Meeting). Before working every day, we need to educate risk factors and the reducing ways to the risk during TBM.
        4,800원
        1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존 주력산업의 안주, 혁신 기피 현상으로 말미암아 기업 내에서 지속적인 성장 동력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성장의 돌파구로써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대안이 바로 사내기업가정신(Corporate Entrepreneurship)이다. 혁신을 촉진시키는 효과적 방안으로 사내기업가정신이 주목받음에 따라,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는 사내벤처 형태의 사내기업가 정신 촉진 활동을 통해 혁신적인 신제품/ 신사업을 발굴하며, 계층적이고 경직된 조직문화를 지양하고, 보다 유연하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내벤처를 운영하는 3개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연구에 있어서는 사내기업가정신 발현유형과 사내기업가정신 활성화 프레임워크를 결합하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사내기업가정신 발현유형에 따라 사내기업가정신 활성화 제도의 지향점, 운영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규명 하였다.
        5,800원
        1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aspora mission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global mission work, which has arisen as one of the tasks to be carried out by cross-cultural diaspora groups that have global networks traditionally such as Chinese speaking people, Indian and Filipinos diaspora, and also Koreans who now have finances and skills. Taking this historical opportunity, this author will try to define the concepts of the diaspora and the diaspora mission based on the sense of calling, outl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iaspora mission network,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diaspora mission. The missional mean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diaspor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commonly held that the Korean emigration started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hich is late compared to other nations. Secondly, the history of Korean emigrants is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mission. Thirdly, the Korean diaspora mission spread very rapidly and widely. Fourthly,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is the history of the overseas Korean churches. Fifthly,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becomes more meaningful when it is review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glob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he Korean Church Mission implies two concepts,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and mission for the Korean Church. Likewise, diaspora mission has dual meanings, mission for diaspora and mission by diaspora. Moreover, as the word ‘diaspora’ is used as a complex concept, diaspora mission could be expanded in three ways for Korean situation today: first,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Korean diaspora (or ‘toward’); second,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for (or ‘through’) the immigrants in Korea; third,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for (or ‘through’) cross-cultural diaspora in other regions other than Korea.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is the history of the Korean diaspora mission. The Expansion of Korean diaspora expanded the overseas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he mission movement for Korean diaspora started from North America and extended to the world. This has been a driving force of calling out Korean diaspora to mission field, and presented a new direction for glob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In the process, Korean diaspora produced various mission networks. This is a good model for the world mission, which should be promoted through union and agreement with one another. The future glob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ve networks with global churches. Also, the Korean diaspora mission will be a foundation that will expand to the global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cooperation with cross-cultural diaspora and the Global Church.
        6,400원
        1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협치 기제로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이 의무화되고, 2010년 현재 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종결 및 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에 도래하였다. 하지만 1기 평가의 미진, 파행적 계획과정의 답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구속력, 강제력 강화를 위하여 사회복지조직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의 G구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중심 거버넌스 이론, 조직요건 및 전문적 관료제적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관 중심의 편협한 위원선정, 관 중심적 협의체 영향력 행사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적 관료제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무관이 상근간사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표협의체-실무협의체-실무분과의 계층적 조직구조를 부정하고 개별적인 조직으로서의 활동을 조장하고 있었으며, 관계 중심적․의무감의 조직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구성원의 역할 법제화를 통하여 위원들의 자주적 활동을 보장하고, 민간간사 또한 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인 교육과 사업 평가의 공식화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비단 서울의 G구 뿐만 아니라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밑거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7,700원
        15.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격한 사회변화와 더불어 가족의 개념과 기능 및 구조는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고 가족의 기능도 이에 걸 맞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 가정문제의 해결 및 예방과 더불어 다양한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가정의 복지와 사회복지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에 ‘건강가정지원법’이 제정되었고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출범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업의 특성상 복잡한 사업에 비해 지원되는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여 사업 자체가 소극적이고 협의적으로 진행 될 가능성이 많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자원의 개발과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장 기본이 될 것이다. 이에 추가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은 첫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특성을 살려 문제중심이 아닌 가능성 중심으로의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많은 사업들을 운영해야 하는 관계로 지역자원의 연계는 필수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지역에서 건강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센터의 특성상 타 복지관과 중복되지 않는 특화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예산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이 제공되어질 때 건강가정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하여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하여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다.
        6,400원
        1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pecialized educational process of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measures from an educational demand aspect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If traditional reform education focused on removing the causes of delinquency, the current specialized education does not remove causes but nurtures strength to overcome that cause. Therefore, better means to achieve the goals of specialized education are presented below. Firs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pecialized education, factors that suppress delinquency must be increased through reinspection of currently taught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as a course, strengthening of human character through psychological treatment and training and structured education of guardians. Second, in order to adapt juveniles into society after completion of specialized education, an efficient and supportive network must be established by using teachers from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olunteers and by integrating national juvenile delinquency-related institutions and social institutions while reviewing the current probation system. Third, for more substantial specialized education, the demands of those being educated should b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awareness of the educators should be raised and professional ability should be nurtured.
        6,300원
        18.
        202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노인의 건강 및 복지와 관련해서 스포츠의 역할이 강조되고 실버 스포츠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확산되고 있다. 특히 여가 시간의 증가로 인한 노인들의 삶의 질 개선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다. 이처럼 태권도수련에 참여하는 노인들에 대한 행동의 관계규명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태권도는 실버 스포츠로의 발전 가능성이 충분히 예측되고 있지만 활동량이 많은데다 거친 투기 스포츠라는 특성 때문에 노인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수련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태권도는 주로 아동기에 하는 운동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널리 퍼져 노인들이 기피해 왔으며, 그 결과 노인 대상 태권도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련이 이루어졌다. 장년층이 가지는 운동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다. 우선 신체가 노화되면서 생기는 힘과 유연성 상실의 예방, 건강과 안전함에 대한 기대, 다양한 사람들과 지속적인 접촉 및 교류, 친구 등 대인관계 및 상호작용,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도전의 기회, 자존감의 유지, 존재적 차원에서 자아가치에 대한 만족 등이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노인들은 건강에 대해 관심은 많지만 나이가 들고, 신체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격렬한 운동은 참여할 수 없고, 또 돈을 써가면서 운동하는 것을 꺼려한다. 태권도 수련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여 노인들을 질병의 위험에서 보호하여 치매와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태권도장에서의 실버태권도의 활성화 방안은 첫째, 실버태권도 시범단의 창설이다. 둘째,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품새의 개발이다. 셋째, 장년층 대상의 대회 주최. 넷째, 실버 태권도 사범 연수의 도입이다. 다섯째, 한국 장년층의 개념과 특성, 장년층의 스포츠 활동, 실버태권도 수련의 필요성 등에 대해 알아본 후 실버태권도 활성화의 방안을 제시한다. 실버태권도 참여 동기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확인되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노인 인구의 실버태권도 수련 유인 전략으로 노인들의 참여동기에 대한 적극적 분석, 그리고 실버태권도를 통해 이러한 개인의 보편적인 동기를 충족시킴으로써 참여의 지속성과 충성도를 상기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확보했다.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스포츠산업 시장 측면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
        1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재래시장은 산업화와 현대화 사업으로 인하여 재래시장 고유의 소통과 교환의 기능은 물론 그 지역의 사회, 정 치, 문화, 오락, 경제적 기능들마저도 모두 사라져 버렸다. 단지 시설의 현대화를 통하여 재래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재래시장의 침체원인은 인구구조나 생활방식의 변화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편리성만을 강조하는 시설개선을 통한 현대화는 대형유통센터와의 차별성을 잃어버리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반해 외국의 시장은 유명한 관광지의 기능을 함께 하는 곳이 많다. 재래시장을 통하여 그 사회의 문화와 사회적 관습을 익힐 수 있으며 생활풍습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색을 잃어버린 재래시장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그 시장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 한 면에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관련 연구가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노후화 된 시설과 환경 개선을 위주로 일률적인 아이덴티티 적용을 통한 재래시장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면 본 연구를 통해 공공 디자인에서의 지역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적용과 커뮤니티 디자인과의 상관성 고찰을 통해 지속 발전 가능한 재래시장 으로서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충분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공간적 사례를 글로벌 명품시장으로 거 듭나기 위해 노력중인 제주 동문시장에서 찾아 공공 디자인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2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find out vitalization plan of rural village festival through fiel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Festival vitalization plans were suggested for each of four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eparing stage : disambiguation of supporting festival, adjustment of selecting times & improvement of selecting index in supporting festival, support of planning & managing ability, and systematization of festival consulting team. (2) planning stage : supporting differentiated festival program development, and public relations of rural village festival. (3) operating stage : flexible utilization of supporting budget and systematization of festival supporters operation. (4) ending stage : holding a workshop to share successful festival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