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3.0T 자기 공명 영상에서 강자성 임플란트로 인해 발생한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에 대한 시퀀스별 WARP기법의 적정한 VAT(view angle tilting)값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자화감수성 인공음영(susceptibility artifact image)이 head용 워터 팬텀영상의 왜곡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head용 워터 팬텀에 강자성 임플란트(ferromagnetic implant)인 금속 와이어를 부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진행하였고(VAT(view angle tilting)) Warp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3.0T MRI system(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이었으며 20ch head/neck coil을 사용하여 TSE T2, TSE T1, FLAIR, Turbo IR T1 시퀀스에 WARP를 적용하여 VAT를 0~100% 범위내에서 10%씩 변화하여 각각 24개의 axial 영상을 얻었다. TSE T2 영상변수는 TR/TE 4410ms/79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SE T1 영상변수는 TR/TE 693ms/10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urbo IR T1 영상변수는 TR/TE 2000ms/9.5ms, Matrix 384×307이었으며, FLAIR 영상변수는 TR/TE 9000ms/96ms, Matrix 384×180이었다. 시퀀스별로 slice thickness 4mm, slice gap 0.4mm, NEX 1, bandwidth는 500Hz 였다. 정량평가는 팬텀영상의 대부분을 ROI로 설정 하여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정성 평가는 팬텀 영상 내에 dark area크기, image blurring 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점, 영상의 질이 약간 우수한 경우 2점, 보통 3점, 우수한 경우 4점, 매우 우수한 경우 5점으로 숙련된 방사선사 3명이 관찰 후 평가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으로 TSE T2와 TSE T1의 표준편차(SD)는 VAT 10%에서 VAT 적용전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VAT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IR 계열의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의 적용에 따른 영상차이가 없었다. 변동계수는 모든 시퀀스에서 30%이하였다. 또한 VAT 변화에 따라 영상의 위치변화도 나타났다. 정성분석으로 TSE T2는 VAT가 30~6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TSE T1은 VAT가 10~7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사용에 따른 영상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WARP는 TSE T2와 TSE T1의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을 줄이는데는 매우 효과적인 영상기법이었다. 그러나 WARP는 VAT를 증가시키면 image blurring도 증가함으로 VAT값을 최소화해서 사용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우리나라에서 디스크는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는 질병이다. 디스크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MRI 검사가 가장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척추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검사에서는 금속물질에 의한 자기 감수성 인공물에 의해 주변 구조물이 왜곡되어 영상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Siemens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WARP sequence를 개발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RP sequence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기존의 TSE(turbo spin echo) sequence와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 내원한 척추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10명(남성6명, 여성4,연령분포 37~73세, 평균연령 5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Skyra 3.0T(Siemens, Germany)이고 신호수집은 32 channel spine coil을 사용하였다. 매개변수는 다음 표와 같다[Table 1]. WARP와 TSE 둘 다 TR은 5500ms, Thickness는 4mm, Matrix는 384×202로 같고 TE는 100ms와 120ms으로 bandwidth는 592kHz와 246kHz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과 정성적 두 가지로 했다. 정량적 분석은 검사 후 얻은 영상에 세곳을 정해 SNR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전공의 1명 그리고 방사선사 3명이 5가지 평가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로 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K를 사용하였다. 결 과 : WARP와 TSE의 SNR측정결과 평균값은 각각 VBC에서는 105.6, 92.4 SCC에서는 141.6,102.3 SN에서는 138.1, 115.2로 측정되었다. 이 측정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VBC는 0.386, SN는 0.169로 두 검사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일하게 SCC만 유의확률 0.041로 두 검사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명의 평가자가 WARP와 TSE을 평가한 결과 평가자1은 평균값이 2.7 3.6 3.4와 2.4 2.6 2.6 평가자2는 3.1 3.7 3.5와 2.6 2.7 2.7, 평가자3은 3 3.7 3.8와 2.6 2.8 2.9, 평가자4는 3.1 3.7 3.6와 2.7 3 3.1, 평가자5는 2.6 3.4 3.1와 2.2 2.3 2.5로 측정되었다. 위의 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평가자1은 유의확률이 0.180, 0.015, 0.023으로 평가자2는 0.025, 0.015, 0.023으로 평가자3은 0.279, 0.007, 0.008으로 평가자4는 0.046, 0.053, 0.034으로 평가자5는 0.102, 0.005, 0.058으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 모두에서 WARP의 유용함을 알 수는 있었다. WARP는 두 가지 bandwidth를 모두 높게 조정해줌으로써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켜준다. WARP는 숙련 기간이 필요하지도 않고 특별히 재구성하는 것도 없어 초보자도 쉽게 익힐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하다. 뿐만 아니라 검사 영상의 화질도 좋아 유용한 검사법이라 사료된다.
        4,000원
        6.
        200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ic idea of Randall-Sundrum brane world model I and II is reviewed with detailed calculation. After introducing the brane world metric with exponential warp factor, metrics of Randall-Sundrum models are constructed. We explain how Randall-Sundrum model I with two branes makes the gauge hierarchy problem much milder, and derive Newtonian gravity in Randall-Sundrum model II with a single brane by considering small fluctuations.
        4,600원
        7.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속예망에서 망고의 제어가 어렵다는 점, 망목에 뜸이 걸려서 파망이 자주 일어나는 점, 네트드럼에 감기는 어구부피가 너무 크다는 점 등의 해결방법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우리 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850ps급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선에서 현재 사용되는 실물망을 1/100로 축소 제작한 모형망에서 뜸을 모두 제거하고 끌줄을 양쪽으로 각각 두가닥으로 분리한 후 추를 부착하여 아래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제어할 수 있는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속에 대한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어구의 전개성능 등을 규명하고 기준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약 10∼20%정도 작았으며, 무부자망의 유체저항은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약 1ton씩 증가하였다. 또, 동일유속에서 dL이 10m씩 증가함에 따라 아래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은 약 5%씩 감소하고, 그 반면에 윗 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이 증가하였다. 2. 망고는 직선에 가까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망고감소율은 무부자망의 경우가 기준형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져 dL이 30m인 무부자망을 기준으로 3.0knot일 때 12%, 4.0knot일 때 25%로 나타났다. 3. 망폭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약 2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4. 망구면적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망구면적의 감소율은 기준형보다 무부자망이 더 작게 나타났다. 여과량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기준형이 3.0knot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무부자망은 4.0knot까지 증가하였다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dL의 최대적정길이는 망구면적 및 여과량이 최대인 30m일 때이며, 추의 최적위치는 4개의 그물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이었다.
        4,200원
        8.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서양(大西洋) Africa 연안어장(沿岸漁場)에서 조업중(操業中)인 태창수산(太倉水産) 소속(所屬) Stern trawl 선(船) No. 85 PARTO(499S)에서 사용(使用)하고 있는 PT-4 형(型) 어구(漁具)의 조정한계(調整限界) 및 적정(適正)한 예망속도(曳網速度)와 주기(主機)의 운전상태(運轉狀態)를 판단(判斷)하기 위(爲)하여 warp에 작용(作用)하는 장력(張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어구조정(漁具調整)의 한계(限界)는 warp에 작용(作用)하는 장력(張力)의 크기가 약(約) 7,500kg, 강약(强弱)의 범위(範圍)가 약(約) 1,000kg을 초과(超過)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判斷)했다. 2. 예망속도(曳網速度)는 주기(主機)의 효과적인 운전상태(運轉狀態)와 어획성능(漁獲性能)을 고려(考慮)하여 3.6~4.0 knot로 판단(判斷)했다. 3. 주기(主機)의 운전상태(運轉狀態)는 유량소모(油量消耗)가 급증(急增)하는 r. p. m. 290, propeller pitch 각도(角度) 13.8를 초과(超過)하지 아니하고 13.5˚~13.8˚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判斷)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