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칠발도, 거문도, 동해에서 20년 이상 관측된 파랑자료를 16 방위별 극치확률분석을 통해 재현빈도별 심해설 계파를 산정하였고, 이 값을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전방향파의 심해설계파와 비교하였다. Weibull 분포함수를 확률분포함수로 사용하였 으며, 최소자승법을 사용해서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추정된 분포함수는 Kolmogorov-Smirnov 방법을 사용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방향별로 구한 심해설계파가 전방향파의 심해설계파보다 모든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향별로 구한 50년 빈도 설계파고는 칠발도, 거문도, 동해에서 각각 7.46 m(NNE), 12.05 m(S), 9.69 m(SSW)가 최대값이지만, 전방향파로 구한 설계파고는 각각 7.91 m, 13.82 m, 10.38 m이었다. 이는 현재 해양 및 연안 구조물 설계에 사용하고 있는 16 방위별 심해설계파고가 과소산정되었을 가능 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4,300원
        5.
        200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te-of-art third generation wave prediction model WAM was applied to the Korean seas for a winter monsoon period of January 1997. The wind field used in the present study is the global NSCAT-ERS/NCEP blended winds, which was further interpolated using a bi-cubic spline interpolator to fine grid limited area shallow water regime surrounding the Korean seas. To evaluate and investigate the accuracy of WAM, the hindcasted wave heights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from two shallow water buoys off Chil-Bal and Duk-Juk. A detailed study has been carried with the various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observed buoy data and its inter-dependency on model computed wave fields was also investigated. The RMS error between the observation and model computed wave heights results to 0.489 for Chil-Bal and 0.417 for Duk-Juk. A similar comparison between the observation and interpolated winds off Duk-Juk show RMS error of 2.28 which suggest a good estimate for wave modelling studies.
        4,800원
        6.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ly, all-sky airglow images observed at Shigaraki (34.9° N, 136.1° E), Japan, during 2004 and 2005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ose observed at Mt. Bohyun (36.2° N, 128.9° E) for a comparison of their gravity wave characteristics (Kim et al. 2010). By applying the same selection criteria of waves and cloud coverages as in the case of Mt. Bohyun all-sky images, we derived apparent wavelengths, periods, phase velocities, and monthly occurrence rates of gravity waves at Shigaraki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s of wavelengths, periods, and speeds derived for Shigaraki were found to be roughly similar to those for Mt. Bohyun. However, the overall occurrence rates of gravity waves at Shigaraki were 36% and 34% for OI 557.7 nm and OH Meinel band airglow layers,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Mt. Bohyun. The monthly occurrence rates did not show minima near equinox months, unlike those for Mt. Bohyun. Furthermore, the seasonal preferential directions that were clearly apparent for Mt. Bohyun were not seen in the wave propagation trends for Shigaraki.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tes imply different origins of the gravity waves ne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The gravity waves over the Japanese islands may originate from sources at various altitudes; therefore, wind filtering may not be effective in causing any seasonal preferential directions in the waves in the airglow layers. Our analysis of the Shigaraki data supports recent theoretical studies, according to which gravity waves can be generated from in situ sources, such as mesosphere wind shear or secondary wave formation, in the mesosphere.
        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진설계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실제 관측된 가속도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등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최근 배경잡음, S파 및 Coda파 등에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 특성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의 Coda 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일련의 후쿠오카 지진의 S 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후쿠오카 본진을 포함하여 규모 3.9 이상의 모두 15 개 중규모의 후속 지진으로부터 국내 관측소에 관측된 각각 267 개 지반진동 자료의 Coda 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여 국내 8 개 주요 지진관측소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 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할 경우 주요 국내 지진관측소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ng-period gravity wave, the wave period from some ten seconds to some minutes, induces not only the big sway of a ship moored and berthed in the harbor due to the horizontal long-distance motion of a water but also strong exfoliated flow and vortices near the harbor entrance. They muse serious problems on the safety navigation of vessels entering and leaving the harbor, but this gravity wave has not been searched sufficiently yet. Then it is quite importan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ong-period gravity wave ana to solve various problems induced by this wave. The long-period gravity wave measurement system with arrayed buoys installed the kinematic GPS was already proposed, which provides the precise propagating direction of the long-period gravity wave. In this paper,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 wave measurement system are shown by the MUSIC method And the propagating wave direction was estimated precisely enough in comparison with other results used other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