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requires a complex analysis of not only the tensile stress of the CFRP plate, but also the compressive stress and shear stress generated by the wedge 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that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wedge-type anchorage system among various failure theories. METHODS :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of various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ie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nchorage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according to each failure theory, and compared with actual test results to determine the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most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a wedge-type anchorage system. RESULTS : Since the Maximum Stress failure theory shows similar results to the actual test in terms of failure mode and anchorage strength,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in applying it to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However, it is judged to be difficult to apply under property conditions where interactions between stresses are highlighted. The Tsai-Hill and Tsai-Wu failure theories are considered unsuitable for application to wedge-type anchorage systems because the wedge angle conditions at which the most advantageous anchorage strength occu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theories and the fracture type cannot be predicted. The Hashin-Rotem failure theory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o apply as a failure theory for the wedge-shaped anchorage system because the anchorage strengt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ctual test resul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failure mode was consistent with the test results. The Hashin failure theory is judged to be unsuitable for application as a failure theory for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because the anchorage strength and failure mode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test results. CONCLUSIONS : The Hashin-Rotem failure theory was presented as the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most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wedge-type anchorage system.
        4,000원
        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L형 도로측구 상 열화, 균열로 인한 유지보수 작업이 빈번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쐐기 앵커를 이용한 L형 도로측구의 최적 설계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석 결과, 두 개의 쐐기앵커를 350mm로 관입시킨 경우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의 개질유황 콘크리트 배합이 압축강도, 동결융해 등의 내구성 기준을 만족하였다. 반복하중에 대한 수치해석과 현장 평가가 수행 중에 있으며, 추후 해당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추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4.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 하는 쐐기형 구조물의 슬래밍 충격압력 및 유동특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동장의 계측은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자유낙하 하는 구조물의 충격압력은 압력 계측장비인 Dewetron System을 이용하였다. 모델과 자유수면간 이루는 각도는 15˚, 25˚, 35˚ 및 45˚를 적용하였으며 중량과 자유낙하의 높이에 대해서 다양성을 주어 실험하였다. 속도장은 접수보다 이수에서 빠른 유동특성을 나타냈으며, 접수에서 보다 이수에서 시간이 더 소요됨을 보였으며, 모델 하부에서의 충격압력은 모델의 45도에서 보다, 입수각이 작은 15도와 P1 지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5.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scribe the performance of a wedge type jellyfish excluder device,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coastal areas of Yokji Island, southern Korea in 2009, using a trawl net with a cover net. The body size and weight of each individual (fish or jellyfish) caught in the experimental fishing were measured. In the case of giant jellyfish the bell diameter and weight were measured. The catch species was composed of giant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silver croaker (Pennahia argentata),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cs), finespot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lepturus), melon seed (Psenopsisanomala) and so on. The weight ratio and individual ratio of total fish escaped through the outlet of the excluder device were 0.322 and 0.320, respectively. The weight ratios of giant jellyfish excluded from the trawl net ranged from 0.740 to 0.921 (average 0.852/haul). It means that the wedge type jellyfish excluder device performed well and allowed the most of the giant jellyfish to exclude through the trawl net. The approximately 70% of fish entered in trawl net was caught. The wedge type excluder device needs some improvements to minimize the fish escape from the trawl nets in the future.
        4,200원
        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rotational stiffness of wedge connection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of system supports. By simulating the connection condition both a hinge connection, which is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and a spring with the rotational stiffness reflecting the actual behavior, the critical buckling load and the maximum combination stress ratio are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hinge condition somewhat underestimate the actual behavior of vertical members of system supports. However, it is also noted that the horizontal member represents the increased stress due to the rotational stiffness of the connection.
        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철도망의 확장 및 고속철도 노선 확대로 인하여 도심지에서의 철도 운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진동/소음으로 인한 역사 주변 지역 주민의 불만이 높아짐에 따라 진동 · 소음 제어 기술은 철도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선로 소음/진동저감에 가장 효율적인 대책으로 알려진 플로팅 궤도기술의 경우 국내기술은 미비한 실정다. 마찰 쐐기거동을 통한 감쇠를 이용한 방진장치의 동적 성능 검증은 시제품을 적용한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연직방향 가진시험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는 진동수별, Stroke 별로 구분하여 가력하였으며, 시험결과를 통해 방진장치의 동적 거동특성과 진동저감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개발품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9.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쐐기형 레일클램프는 초기에는 작은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다가 바람이 불면 쐐기작용에 의해 큰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쐐기작용을 위해 레일클램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만약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으면 밀림거리가 증가하여 구조물을 파괴에 이르게 하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적절히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지대의 적정위치는 초기압착력과 쐐기각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압착력과 지지대의 위치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5가지 쐐기각을 설계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10.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만에서 작동중인 컨테이너 크레인에 갑작스러운 돌풍에 의해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레일 클램프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일 클램프 중에서 특히 레일의 손상과 레일 클램프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쐐기형 레일 클램프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조의 회전을 방지하고 적절한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쐐기각을 설정하기 위해, 우선조의 설계 치수와 회전력의 관계에 대한 하중분석을 수행하고, 여기에서 최대 쐐기각을 도출하고, 이후 수치 해석을 통한 강성도 분석을 통하여 최소 쐐기각 6˚를 제안한다. 또한, 제작된 레일 클램프를 통한 실험으로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