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 크기가 약 16 및 5 nm인 두 다른 크기의 TiO2 나노입자들과 titanium tetraisopropoxide (TTIP) binder 와 ethanol 용매만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130 oC 저온 열처리로 ITO/PEN substrate 위에 메조다공성 TiO2 박막들을 형성하였다. 이들 TiO2/ITO/PEN 박막들을 활용한 유연 염료감응 태양전지들을 제작하여 광변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기가 다른 두 TiO2 나노입자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cell들의 경우에 크기가 16 nm 인 TiO2 나노입자 cell이 5 nm인 나노입자 cell에 비해 박막의 porosity가 훨씬 크고 같은 질량에서 표면적이 훨씬 넓어 광변환 효율이 훨씬 높으나 염료 흡착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광전류는 입자간의 연결성에 기인되며 큰 입 자에 작은 입자를 10% 정도 혼합한 경우에 표면적 증가와 함께 입자간의 연결성을 강화시켜 큰 입자 단독으로 제작 된 cell에 비해 광변환 효율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 방식 중 하나인 Wet Cell 측정법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 해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하였다. 방 법: Wet Cell 측정용 홀더는 현재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Poster Soft Contact Lens Wet Cell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국내 제조업체의 렌즈를 함수율은 38%, 45%, 58%로 구면굴절력은 -3.00D, -7.00D, -10.00D로 분류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결 과: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Wet Cell 방식으로 콘택트렌즈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한 결과, -3.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3.41D로 45%일 경우 –3.41D로 그리고 함수율 58%일 경우 -2.63D로 각각 측정되었다. -7.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7.87D로 45%일 경우 –7.20D로 그리고 58%일 경우 -5.19D로 각각 측정되었다. 또한 -10.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10.17D 로 45%일 경우 -10.60D로 58%일 경우 -7.33D로 각각 측정되었다. 결 론: 실험 결과, 함수율이 높을수록 Wet Cell 방식에 의한 측정값은 콘택트렌즈에 표기된 굴절력에 비 해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디옵터가 높아질수록 측정 정확도 역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Wet Cell 방식을 사용하여 망원경식 렌즈미터로 측정 시 함수율과 디옵터별로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됨 을 알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