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5

        4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NC cutting process has been mainly used for processing metal materials, and wood processing is also changing to machining by CNC machine. But the researches on the CNC machining of woo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rarely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achined surface according to the cutting conditions such as the cutting direction, spindle speed, feed rate, cutting depth, chip removal in the CNC machining of wood. The consideration of cutting conditions and their effects on the surface finish will provide possibilities for improving the wood machining processes.
        4,000원
        47.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삼과 산양삼의 부위별 중금속 분포양상을 조사하여 중금속 식이노출 저감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삼과 산양삼은 지역별 배분을 통해 각각 14개 지역 및 5개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각 부위별 중량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중금속 분석을 위해 microwave 장치를 이용해 전처리한 후 납, 카드뮴 및 비소는 ICP-MS로 측정하고 알루미늄은 ICP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인삼의 겉껍질은 전체의 16.2% 중량비를 차지하였으며, 산양삼의 겉껍질 및 잔뿌리는 각각 전체의 21.8%, 16.8%의 중량비를 차지하였다. 각 부위별 중량비와 중금속 농도를 고려하여 각 부위별 중금속 분포도를 산출하였다.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은 전체에 차지하는 중량비에 비해 높은 중금속 함유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인삼의 경우 납의 40.3%, 카드뮴 25.9%, 비소 47.6%, 알루미늄 89.9%가 겉껍질에 잔존하고 있었으며 산양삼의 경우 납 27.2%, 카드뮴 28.2%, 비소 48.3%, 알루미늄 56.8%가 겉껍질에 존재하였다. 알루미늄을 제외하고 산양삼의 잔뿌리내 중금속 분포량은 겉껍질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을 벗기고 섭취 한다면 중금속 식이노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4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stainable biomass-derived porous carbons demonstrate excellent capacitive properties owing to their heteroatom-rich nature and distinct textural feature. Herein, a series of nitrogen-/phosphorus-/oxygen-containing microporous carbons (CWWN/ P/O-MPCs) have been successfully fabricated by etching in H2O2 solution, pre-treatment of camphor wood wastes with KOH solution and subsequent carbonization.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s, the typical microporous carbon (CWW-N/P/O-MPCs-0.5) exhibits a remarkably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245 F g− 1 at 0.5 A g− 1, corresponding to an impressively large volumetric capacitance of 208 F m− 3, and excellent long-term stability over 10,000 cycles. The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an be ascribed to the optimal combination of heteroatom groups and ultrafine micropores.
        4,000원
        4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흑비둘기 최대 서식지인 울릉도에서 2016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흑비둘기의 지역별 개체군 변동과 선호하는 생태적 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40개 정점에서 확인 된 흑비둘기의 누적개체수는 1,956개체가 조사되었고 최대개체수는 2016년 8월에 326개체가 출현하였다. 월별 개체수 변동은 10월부터 출현개체수가 감소하다가 겨울철인 12월에서 2월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지역별 개체수 비율은 2016년에는 나리분지 지역이 33.43%로 가장 높았고 2017년에는 태하, 학포 지역이 29.39%로 흑비둘기가 많이 출현하였다. 흑비둘기가 선호하는 서식지 특성은 활엽수림 (77.5%), 임분의 영급은 4영급(75%), 흉고직경(DBH)은 중경목(80%), 수관수밀도는 밀밀도를 선호하였다. 해발고는 평균 178.22±36.60 m(SD, n=40, range 10∼472)였고 10∼160 m 지역이 전체 지역의 57.5%를 차지하여 저지대 산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5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are the insect 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mostly in the mid-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In 2017, we installed sentinel logs to lure efficient parasitic wasps of the vector and to evalu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itoids i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control strategy for the PWN transmitting insect vector.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found Spathius verustus Cha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predominant parasitoid with the highest parasitism rate among six species of larval parasitoids. The parasitism rate was higher along the edge (0m of the forest depth) of the survey sites than the inner sides (20m and 40m of the forest depth). Also, the parasitoid showed highest parasitism rate in late-May at one of Gapyeong_sites, where was supposed to be the oldest infected areas. Lastly, the parasitism rate along the trap heights was higher at height of 0m than the 1.8m above the ground.
        5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forest ecosystem, trees are important components among many life forms, supporting biodiversity. This biodiversity is found not only in living trees but also in dead trees, where they provide rich environment for dead wood-associated organisms. Among saproxylic invertebrates, insects play pivotal roles in dead wood ecosystem and comprise of a huge proportion of diversity. In this study, we categorize Quercus dead wood into three decay classes, and seek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saproxylic insect assemblages and different decay classes. Using emergence traps, we examine how many insect species and individuals appear in each decay class, and how insect assemblages change across the full range of decompositional stages of Quercus dead wood. This wil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taining various dead wood to conserve saproxylic biodiversity.
        5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Hope)와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Gebler) 암수 성충의 더듬이 감각기를 주사전자현미경로 관찰하여 형태적 특성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두 매개충의 암수 성충 더듬이는 자루마디(scape), 팔굽마디(pedicel)와 9개의 채찍마디(flagellum)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더듬이 표면에 있는 감각기의 종류에는 종 간, 암수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Chaetica 3 종류, Trichodea 2 종류, Basiconica 3 종류, Coeloconica 1 종류로 구분되었다. 이 중 Basiconica 3 종류는 모두 후각 수용체, Trichodea는 미각 수용체, 나머지는 기계적 감각기로 추정되었다. 감각기의 더듬이 내 분포를 보면 전체적으로 Chaetica 감각기가 가장 많았다. Basiconica 감각기는 채찍마디에만 존재하였으며 끝으로 갈수록 수가 많아졌다. Trichodea 감각기와 Coeloconica 감각기는 각 마디별로 밀도가 일정하였다.
        5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st relationships between insects and plants are one of the major factor driving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within terrestrial ecosystems. Beetles (Coleoptera) are the most diverse and species-rich group of insects, and a robust, time-calibrated phylogeny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macroevolutionary processes that underlie their diversity.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taxa according to the attention on co-evolution of phytophagous insects and their host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special taxa (family or genus level) of insects. In this presentation, we especially reviewed current trends of studies on interactions between coleopteran insects and host plant in the world and Korea for proposals of future studies.
        5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산림해충들은 목재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어 포스핀(PH3)을 이용하여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나무좀류에 대하여 99% 살충활성을 보이는 LCT값은 각각 3.192 (광릉긴나무좀), 0.994 (왕녹나무좀), 0.501 mg ‧ h/L (노랑애나무좀) 순으로 나타났다. 포스핀을 처리한 3종의 나무좀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광릉긴나무좀에서 는 0.4 mg/L 이상의 농도에서 약제처리 7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포스핀이 3종의 목재해충 성충에 대해 메칠브 로마이드의 대체훈증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5.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전통가구는 대부분이 조선 후기 座式가구로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좌식가구는 임진왜란 이후 온돌이 발달 하게 되면서 정착된 것으로, 그 이전에는 立式가구들을 사용하였고 조선 후기에도 기록이나 유물을 통해서 사용례를 살필 수 있다. 기록은 단편적이나마 회화․문헌 등에서 엿볼 수 있고, 전하는 유물 역시 희소하지만 그 형식적 영향관계가 깊은 중국 가구와 비교검토는 시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전통 입식가구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우리나라 좌구의 특징적인 요소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런데 전통 생활 방식 속에서 의자나 테이블과 같은 立式생활에 관한 것은 그 흔적만 살필 수 있을 뿐이다. 일제시대 洋가구 공장이 생기면서 특히 1940년대에 들어와 의자를 제작하는 공장들이 눈에 띈다. 그 이전의 전통 생활양식에서 의자의 제작과 유통에 관한 것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입식 가구 중에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의자’에 주목하였는데, 문헌이나 회화 속 전통 의자는 거의 등받이가 둥근 의자 즉 ‘圓椅’에 해당한다. 때문에 이 원의에 주목하여 당시 입식 생활이 대한 기록과 유물을 찾아보고, 형식적 밀접함을 보이는 중국의 명청가구와 비교검토하여 우리나라 ‘圓椅’의 형태적 특징에 관해 짚어 보고자 한다. ‘圓椅’라는 명칭은 조선후기 서유구의 『林園經濟志』를 따른 것이며, 조선 후기 다른 문헌에서는 ‘교의’라는 명칭을 썼다. ‘원의’라는 명칭은 중국과 구별되는 명칭이므로 여기에서는 이를 따르기로 하였다. 전통 회화 중에서 당시 생활상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하고 그 情景을 엿볼 수 있는 것은 기록화와 풍속화일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한시각(韓時覺, 1621-1691 이 후) 그림 <北塞宣恩圖>는 당시 생생한 기록을 담은 그림으로 평가되고 있다. 1664년 (현종5) 함경도 길주목에서 실시된 문무과 과거 시험 장면을 그린 이 그림 안에는 비교적 자세한 표현의 의자와 다리가 높은 탁자가 그려져 있다. 의자는 등받이가 둥근 의자, 등받이가 없는 긴 의자로 나뉘어 있어 당시 의식 생활의 일면이 확인되는 중요 장면이다. 그 외 17세기 기록화인 <권대운 기로연회도>(1689년경), 18세기 풍속화 김득신의 <田園行獵圖>(1744년경), 기록화적인 성격을 띄는 17-18세기의 초상화들, 19세기 풍속화로서 좌구 사용을 볼 수 있는 <練光亭宴會圖>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 초상화는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다수의 유물이 전하고 있어, 미술사적 성과가 이뤄진 상태에서 그 안에 그려진 의자 형태를 확인 연구 시도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 전하는 유물로 논문에서 다룬 것은 왕이 사용했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朱漆交 椅>나 경기도 박물관 소장의 1668년(현종10년) 하사품인 <李景奭(1595~1671) 交椅>같은 특별 제작의 의자와 일반 선비가 사용했던 의자로 <同春堂송준길(1606~1672) 의자>를 예로 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좌식 생활 연구에 편중된 전통가구 연구에서, 立式생활의 면모를 확인하고, 그 형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의자에 한정하였지만, 입식 의자와 함께 사용된 다리가 높은 테이블 역시 전통 가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 져야 할 부분일 것이다. 본 논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더 발굴이 될 수 있는 우리 전통 의자, 의자와 함께 사용하였을 다리 높은 탁자 등 우리 전통 생활의 다양한 면모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6,600원
        5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드펠렛은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등으로 사용되며 특히 화력발전소에서 석탄 대용으로 수입량이 급증하여 연간 약 2,400만톤 가량 수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드펠렛 검역훈증제로 기존에는 메틸브로마이드(이하 MB)가 최근까지 사용되어져 왔으나, MB의 높은 흡착률과 우드펠렛의 과도한 수용비로 인해 최종가스농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재투약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해 문제가 되어져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는 올해 초 MB와 포스핀을 병행으로 처리하는 방식의 소독처리기준을 신설하였다. 새로운 소독처리기준이 설정됨에 따라 배기시 안전한 배기시간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병행처리 후 수착과 탈착되는 가스농도를 조사하였다. 실내 훈증상에 우드펠렛을 채우고 약제 처리한 결과 각 훈증제의 TLV(Threshold Limit Value)-TWA(Time Weighted Average) 기준이하로 농도가 감소되는 배기시간은 25℃일 때 MB는 120시간, 포스핀은 6시간으로 측정되었고 15℃일 때 MB는 186시간, 포스핀은 19시간으로 측정되었다.
        5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antigens for pine wood nematode (PWN), we confirmed that one of the genes commonly found in the transcriptome, proteome and secretory proteins of PWN belonged to the Aldose Reductase (AR) family protein. 36.5 kDa PWN-AR1 was expressed and purified us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Total 1,546 hybridoma fusion library was generated and screened for specificity to PWN-AR1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Nine clones showed strong immunoreactivity to PWN-AR1 were limited-diluted. Total 864 limited-diluted clones were further screened using PWN-AR1 by ELISA and 34 monoclonal antibody (Mab) clones were selected. 34 Mab clones were further screened using PWN extracts and a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extract by ELISA. Finally nine clones were selected and their immunoreactivities to 4 different nematodes were examined by ELISA. Seven clones pecifically recognized PWN while two clones recognized 4 nematodes. Our data suggested that PWN-AR1 is a PWN secretory enzyme while PWN is invading pine trees, Thus, PWN-AR1-Mabs could be used to develop diagnosis tools for PWN and its infected pine trees.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in Monochamus (Coleoptera: Cerambycidae) are wellknown vector species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in South Korea. In 2018, the surveys using sentinel logs with two Monochamus species larvae were made from early June to last September in Pinus densiflora forests of Pohang city, South Korea.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10 times in order to investigate parasitism patterns of the larval parasitoids of M. saltuarius and M. alternatus. Three plots were chose at interval distance of 20 m (0 m, 20 m, 40 m)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forests (i.e. forest depths) in one damage area of the pine wilt disease for each of three different locations. For each time of the exposure ten sentinel logs were hung along the tree heights (i.e. sentinel logs positions) (height: 0 m, 1.8 m, 3.6 m, 5.4 m, 7.2 m). As the results of the surveys six larval parasitoids in total were identified, and most abundant parasitoids were Spathius verustus and Cynopterus flavator. Analyses showed that the parasitism rate on larvae of two Monochamus species was not affected according to forest depth, but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in the third plot. Also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at 5.4 m height of a tree. Lastly, parasitisms rate on M. alternatus was higher than that of M. saltuarius.
        5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ine trees are ecologically important in Korea. They are seriously imperiled by Pine wilt disease (PWD), by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Here,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acterial endophytes (BEs) from pine trees in Korea for biological control of PWN using BE metabolites. Using culture-dependent approach BE isolates were extracted from three tissues (needles, stems, and roots) of four pine species across 18 sampling sites in Korea. Bacteri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into 389 distinct isolates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Ethyl acetate crude extracts (CEs) of bacterial liquid cultures were prepared using ethyl acetate and screened for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PWN. BEs (1,622 isolates) were isolated; their taxonomic binning resulted in 215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Analysis of species richness and Shannon’s diversity of the three tissues revealed that BEs colonized the needles more than the stem and root tissues. Furthermore, based on nematicidal activity screening of 389 isolates, 44 BEs were identified, with two isolates exhibiting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WN. Taken together, these data revealed numerous nematicidal BEs in pine trees, providing new insights that can serve as an effective and promising alternative approach to combat PWD.
        6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ine tree, a dominant species in the flora of Korea is the most beloved tree in Korea. However, recent outbreak of pine wilt disease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reatens the vegetation of Pinus species seriously. Furthermore, Pinus densiflora and P. thunbergii, the predominant species in Korea forest are highly susceptible to PWN. Therefore, there has been an urgent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nematocidal compounds to control PWN, which spurred the nation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mpounds. To find novel sources for nematocidal agents, we used various plant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e foreign plant extracts themselves, we also used the extracts of endophytes composed of over 300 endophytic fungi and 1,000 endophytic bacteria from plants which was reported to contain nematocidal activity. Several extracts of endophytes and plant extracts contained strong nematocidal activity, and the resources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active nematocidal compounds. These integrated approach of finding effective nematocidal compounds from plants could be a novel way to elucidate the sources for brand-new nematocidal agen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