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ircraft noise is something humans don't w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otax 914 engine used in Korea, the propeller blade angle was changed by 1 degree and the engine RPM was changed to review the three-wing “G Company” propeller and the three-wing GSC wooden propeller. Select the best propeller pitch angle by measuring the change in propeller noise and thrust and the change in engine RPM due to the change in noise and thrust. We would like to present a propeller pitch angle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the airfield and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help resolve noise complaints around the airfiled.
        4,000원
        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lseong Wooden moat is a unique example. Which is a vertical wall made of wood. It shows a changing point how to make the wall by digging a hole and stacking stones vertically. This study tried to to make a assumption abou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wooden structure found in the Wolseong pit moat. I sorted out wooden elements and then analyzing these feature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After I made 3D modelling in the order to it was made. This moat is not only a function of digging up the ground to trap water, but also a technique of building structures to maintain walls. It is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show the woodworking engineering techniques of the Silla Dynasty.
        4,0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arpenters and tools because wood, the material, was common. This close relationship may have been from the time of ancient architecture and ancient ships.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ides through historical record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e structural association using existing remains. As a result, thre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could be found. First, the types of wood used are similar, and the tools and terms used are similar. Second,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horizontal and vertical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wood and the method of forming wood are similar. Lastly, the ship carpenters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mainly worked on long and curved materials such as the eaves and the ridge of a roof, because this was the work done when the ship was built.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oof structure they created resembles that of the ship.
        4,000원
        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누가 썼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1940년경 한글판본이 안동에서 발견된 후 앞쪽 어제서문 4장이 떨어져 나가 이를 깁는 과정에서 훈민정 음 판하서체를 안평대군의 글씨로 지목하면서 심증적 추측성 의견이 분분하다. 본 논문에서 해례본 판하서체는 정인지가 직접 쓴 서체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 근거로는 첫째, 훈민정음 해례본에 ‘세자우빈객 신 정인지 서’로 서자 (書者)가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 둘째, 서체가 서문에서 관지까지 일맥창통(一脈暢通)한다는 점. 셋째, 부왕의 업적을 아들이 찬서 할 리 없다는 점. 넷째, 정인지서라고 적혀있는데도 다른 사람이 대서할 수가 없다는 점. 다섯째, 정인지 서체와 훈민정음 해례서체가 같은 필체라는 점이다. 제2장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고 특히 정인지의 후서까지 한 흐름으로 이루어져 의도적으로 이 를 변조하거나 바꿀 수 없게 만들었다는 것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져 있는 기존 주장을 파악 하고, 정인지의 후서와 관지에 분명하게 서명했음에도 불구하 고 여태껏 필사자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기존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최초로 안 평대군 서체설을 주장하여 서지학적 논증과 실증적 연구 기회 를 놓친 것에 대한 성찰과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을 설명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이와 같은 근거와 논증을 바탕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의 판하서가 정인지의 글씨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혀두었 다. 끝으로 본 연구와 함께 필요한 서체비교 분석은 또 다른 연 구과제로 지면이 한정되어 진행하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하 며, 앞으로도 이 연구에 이어 정인지의 서예에 대한 재조명과 훈민정음 해례본 한자서체 및 한글서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 루어지길 기대한다.
        8,000원
        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五臺山)은 신라시대 자장스님에 의해 중국 오대산으로터 문수신앙 이 도입되어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수신앙의 성지가 되어 왔다. 그 중심에 상원사가 있다. 상원사에는 1466년 조선왕실이 발원한 동자 문수 보살상과 1661년에 의천스님이 발원, 조성한 문수보살상이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 1661년 조성된 문수보살상은 진여원의 세 번째 중창된 만들어진 상원 사의 본존불이다. 이 불상이 조성되기 전 이미 상원사에는 동자 문수보살상 과 노(老) 문수보살이 전하고 있었다. 동자 문수보살은 왕실에서 조성한 것이 기 때문에 지금과 달리 특별히 마련된 원당에 봉안되어 있었을 것이고 노 문수보살상은 상원사의 원래 본존으로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 문수보살상이 1599년에서 1661년 사이 인근 보현사로 이안되면서, 새로운 문수보살상이 의천스님에 의해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의 문수보살상이 바로 그 문수보살로 추정된다. 보살상의 제작에는 임진왜란 이후 팔도도총섭 체제로 개편되는 불교의 시스템과 관련이 깊다. 팔도도총섭은 전란으로 피해 를 입은 사찰을 복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승려장인들을 육성하였고, 이 보 살상을 제작한 승려 역시 도총섭 체제하에서 육성된 승려장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1661년에 제작된 문수보살상은 如意를 지물로 취하고 있다. 조선시대 이 전 如意는 주로 보현보살의 지물로 등장하지만, 차츰 문수보살상의 지물로도 사용되다 17세기 이후에는 완전히 문수보살의 지물로 채택되고 있다. 따라 서 상원사 문수보살상의 여의는 조선 후기 조각승들이 인식했던 문수보살의 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보살상을 제작한 사람은 신겸과 회감인데, 신겸은 이 시기 대표적인 불화승이고 회감은 조각승이다. 불화승과 조각승의 공조로 불사가 진행되고 있어 당시 불사의 특징을 이해하 는 데 유익한 정보를 담고 있다.
        9,800원
        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에는 국보 동자문수보살상과 보물 문수보살상 사이 에 3존의 목조 동자입상 3존 배치되어 있다. 중앙에 배치된 동자상이 상원사 목선재동자입상(이하 상원사상)이다. 상원사상은 선재동자이며, 동자문수보 살상의 협시로 추정된다. 상원사상은 고려・조선 초의 수월관음도 및 관음보살상과 결합된 선재동 자상의 도상을 따르고 있고, 1466년에 제작된 동자문수보살좌상과 동일한 양식이다. 선재동자상은 『화엄경』 「입법계품」의 배경으로, 8-9세기 당대 오 대산 기사문수・기상보현보살상의 협시로 등장한다. 선재동자상은 선재동자 구법도의 유행과 더불어 요와 북송대에 수월관음상의 협시로 등장하고, 오대 산 문수신앙의 발전으로 문수보살의 협시로 정착하였다. 중국과 일본에은 문 수보살상의 협시상으로 여러 사례가 전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알려진 바 가 없다. 상원사상은 동자문수보살좌상의 우협시에 배치되고, 2존의 동자상 은 목문수보살좌상의 좌우협시일 가능성이 높다. 2존의 동자상는 문수보살 상의 발원문에 등장하는 남순동자와 선재동자로 추정된다. 상원사상은 문수보살상의 협시로 조합을 이룬 첫사례이자 최고의 작품이 며, 왕실에서 발원하여 당대 최고의 작가에 의해 제작된 예술성이 뛰어난 작 품으로 조성 연대가 추론되는 기년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재동자상 은 오대산 신앙에서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7,700원
        1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the case of modern wooden structures since 1950 with span of 30m or mor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struction status and stru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wooden large space architecture. As a result, wooden large space buildings have built around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in which cases of ice skating stadiums with span of 30m to 60m were concentrated. In the case of baseball parks and football stadiums, even a span of about 165m was built in a wooden struct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systems used in wooden large space structures were a funicular arch and truss structure, in that cases, funicular arch system consisting of radial arrangements was used in the examples exceeded 150m and the two way truss system was also used in long span wooden structures exceeding 100m. As the truss structure with a tie-rod or the flexure+tension structure was partially investigated, it can be seen that various timber structural systems need to be devised and researched.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a technique in which some members of the truss are made of steel or a composite member of steel and timber is also possible to develop
        4,000원
        13.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cific giant octopus (Enteroctopus doflein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pecies in the East Sea fishery of Korea. The annual production of Pacific giant octopus in 2021 was 3,880 metric ton between Gangwon province and Gyeongsangbuk province. Most of the fishing gears for the octopus fishery were based on behavioral properties such as thigmotaxis and chemotaxis. Wooden octopus box is also one of the fishing gears, which is application of thigmotaxis for the octopus capture in fishing industry. In this study, the tank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behaviour and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to the infiltration of the octopus quantitatively. Three different types of octopus box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on the average of 701.6 ㎛, 141.7 ㎛ and 2.09 ㎛ for each gear. 22 trials were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21. The normality of the experiments was tested using Shapiro-Wilk normality test (p-value < 0.05). The significance of results was conducted by Kruskal-Wallis rank sum test (Chi-squarded = 21, Degree of freedom = 3, p-value < 0.05). The use of wooden octopus box with rough surface was found to enhance the catch efficiency and observe infiltration behaviour of the octopus frequently.
        4,000원
        1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repar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tylob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sting with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ancient architectur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excavation data, and newly identified stylobate stone were examined.The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e size and form of the stylobate, the plan of the stylobate, the height plan, and the elevation plan were reviewed one after another.Since its foundation in 646,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has been re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n 873 and a stylobate has been rebuilt.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 cases with the wooden pagoda's face stone members, the elevation of the stylobate was proved.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and format of the wooden pagoda stylobat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econstruction stylobate. It seems that the Sumijwa style stylobate was first introduced to the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fundamental motif for the stylobate of architecture and stone architectur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4,900원
        1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n-ja is one of the main members consisting of the roof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used in San-ja and changes of the materials over time were examined. To this end, 123 documents on the repair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recorded since the 1950s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n-ja material by region because of the diversity in the conditions of material supply. For instance, bamboo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 in Jeollanam-do province because it was readily availab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vehicl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disappeared. As a result, the material has been unified with bamboo now. This is because bamboo is specified as a representative materia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is prioritized. In addition,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t the time of repair had an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San-ja materials.
        4,300원
        2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조건축물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철물 접합 시스템은 모재인 나무와 접합부재인 철재 간의 강도 차이 및 재질의 이질성으로 인한 외관상의 위화감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재료 가공의 편의성으로 프리컷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시공성 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재료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료를 그 원료로 하여 미관상 목조건축물에 위화감이 없는 황토 압밀 플레이트를 개발하였다. 황토 및 소석회를 원료로 하여 제작한 시험체의 양생방법(기건 양생, CO2 양 생)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질량 변화, 지압 강도, 흡수율, 표면상태, 열중량변화 측정 및 SEM을 통한 생성광물의 미시적인 부분을 관찰하였다. 또한 제조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에 따른 환경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기건 양생한 시험체에 비해 CO2 챔버에 양생한 시험체는 원료인 소석회의 탄산화 반응으로 인한 탄산칼슘의 생성으로 역학적 성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료인 소석회의 탄산화반응으로 인해 생석회 제조시 발생하는 CO2량의 70% 이상을 재흡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