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ep toward world peace could be achieved by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intly celebrating their promotion of cherry blossom festivals based on Jeju Island native Prunus Yeodensis, or Somei- Yoshino Cherry trees. Based on bio-diplomacy, this celebration of new beginnings and the emphemeral nature of the material world could be a foundation for peace-building by these three nations and others and for putting aside past grievances.
        3,000원
        2.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posal in this paper outlines an idea for a Korean Peninsula focused Peace Cruise starting from Jeju World Peace Island and going up the eastern coast of the peninsula , taking in a port or two in Japan (such as Fukuoka) to accommodate potential Korean-descended passengers there and ending at Wonsan, where a grove of Jeju King Cherry (Prunus Yedoensis var. Nudiflora) trees could be planted progressively as a welcome avenue for those on the peace cruise ship. This grove of Jeju King Cherry trees will grow each time a Jeju World Peace Island Peninsula Cruise arrives. Wonsan has been a holiday place for the DPRK for some time and with the permission of that country could become a limited and controlled international destination for Peace and, perhaps, other cruise tours. There are precedents internationally for special zones to be declared for specific activities. Such places frequently become economic development zones for the host country. After successful itineraries have been shown, the Jeju World Peace Island ship could extend its cruise north to ports on the Kamchatka Peninsula and west to Chinese ports interested in the concept
        3,000원
        3.
        202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Roh MooHyun Jeju-Decla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liberal theor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new aspect of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was considered. The Roh MooHyun Declaration, which declared Jeju Island a peaceful island, was reinterpreted from three points of view of liberal theory.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and orientation of the World Peace Island Network International Organization.
        4,000원
        4.
        202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IS in South Korea and WEU Inc. in Philadelphia hosting the 22nd World Peace Island Forum: Remembering Jeju King Cherry Trees Bio-diplomacy (1943) in Washington D.C. and the first Korean Congress Democracy (1919) in Philadelphia which organiz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rom March 22 to 24, 2022. We want to propose cultural historic events which connect American and Korean society, such as the Trip to Faith and Liberty Hall that relate to the integration processes of Korean and American Democracy. Dean Max Friedman of American University calls the Jeju King cherry trees cultural event bio-diplomacy among world citizens. In addition, the Korean embassy evaluated the cherry tree event as a new kind of bio-diplomacy approach which paves the way for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are present contexts and meanings about both the first Korean Congress Democracy (1919) and Bio-diplomacy (1943). We had also the 2022 GAN Korea Jeju to Philadelphia Webinar Conference: Diversity as a New Diversity for Global Ageing Network in New Normal: Jeju Village Healing, PASSi Asian Culture, Japanese Indigenous Peace Culture, and Busan Smart Health Care approach.
        4,000원
        5.
        202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1943, Koreans and Americans gathered at American University for a simple ceremony affirming friendship between our peoples and voicing the hopes for world peace. As we gather here today, we are again on the precipice of world war-a war from which no one may survive. Three years ago, former president Jimmy Carter, calling the United States “the most warlike nation in the history of the world,” said that the United States has only enjoyed 16 years of peace in its 242-year history. This time it is who threatens world peace. But the lesson is clear. As the proponents of environmental peacebuilding understand unless we quickly end this war and find a way to solve problems without resorting to violence, especially in the nuclear age, humans will not long be here to enjoy these beautiful cherry trees or nature’s other gifts to humanity.
        3,000원
        6.
        202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sentation I made for the online conference as part of Peace Talks series in Paris, June 10, 2021 and as a follow up to the 2021 World Peace Island Forum: 6+1 Culture Forum in Jeju. A blending conference on Education, Pea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cess of designation of Jeju 4.3 Victim Records as UNESCO World Program of Memory MoW. This is constructed from my perspective as Doctor in anglophone studies and gender and development studies, main IFBPW representative to UNESCO, member of the NGO-UNESCO Liaison Committee and the CCNGO-Education2030 coordination group, UNESCO key mechanism for reflection, dialogue and partnerships for the implementation of SDG4.
        3,000원
        7.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ought occurs that through “Korean Tolerance” Wonsan and the Jeju “Peace Port” at Gangeong village could be linked as “sister holiday places” by ferry, which sailing could include other ports to promote peace and Korean tolerance cruises featuring entertainment from all parts of the peninsula. Those Korean relatives in Japan could meet their DPRK families on Jeju and at other places on the Korean Tolerance cruise itinerary. There no doubt are many barriers to such a proposal as a peace and Korean Tolerance voyage between the DPRK and RoK, but the principle of Korean Tolerance and exchange between Wonsan and Jeju World Peace Island should be able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with good will throughout the peninsular polity.. “Korean Tolerance Peace Cruises” would serve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y using artists from all of Korea to learn from one another’s experiences, using their common language, shared culture and deep history.
        4,000원
        8.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ach at conclusion that title of the 2021 GAN in Jeju Korea is “This Is Peace Island Care.” We have two reasons: one is that as we have basic assumption “ Jeju Island should need Peace Island Care in Asia Pacific region,” at village level beyond trauma of Jeju 4.3 Grand Tragedy (1947-1954), we try to illuminate Peace Island Village Care models to heal its trauma at grass roots level by both participants and villagers through Jeju World Peace Academy for 4 years (2016-2019) such as Jeju 4.3 damaged Buchonri, Dongkwang-ri, Ora-ri and Chungsoo ri assisting its resilience beyond its atrocities. It is important for us to connect the Peace Island Care models with other global care models globally. So, we introduce three village models to audience at the Toronto GAN Biennial conference : This Is Long Term Care 2019. It says “Transforming Ageing Together, a global approach to This Is Long Term Care 2019.
        4,000원
        9.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based on the author’s book, <The Jamnyo (Jeju women divers) of Korea, Neo-Confucianism and Dual Mythology> (2018). It was published in English and French verion by the Cultural Foundation Barbier-Mueller Museum in Geneva, Switzl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ook is that it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introduces in foreign language Jeju academic discourses (published since 1950’s, but not known outside of Korea)) on various topics, such as Jeju women divers, mythology, kinship system, shamanism and the influence of the Neo-confucianism on Jeju, imported from the mainland,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among a divers' community in the small island of Udo, Jeju in 2016. This article presents two stances of the author regarding Jeju: (1) a feminist point of view on Jeju women div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Jeju society by presenting the island as a <women centred society>; (2) an activist point of view by presenting the history of Jeju and its people as a struggle against the centre by the periphery and dominated by different colonial powers over 1000 years. The article proposes jamnyo’s fireplace (bulteok) as a social model for healing.
        4,300원
        1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 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 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 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 다.
        6,100원
        11.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some aspects of the Jeju 4.3 Grand Tragedy (the Jeju Tragedy) education and informing process. We hope to not only with these aspects show some aspects of moral origin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movement, but to share a culture of peace with world citizens through world civilization education cross the Pacific at a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In addition bring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in Korea. it actualizes itself as a peace buffer zone locally, nationally and globally through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JWPIT,” based on international agreement of the Six Talks Nation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at they (Jeju islanders) will follow the pattern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with the participants imbued with the spirit of sacrifice to life and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G-2 Summary Report)” as a moral origin of Jeju World Peace Island. Globally, one New Haven teacher has been working on an elective course called “The Power of Culture in a Multicultural World” in which to use social studies tool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ulture. Jeju offer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xplore a culture that few New Haven students are familiar with. It will be for students to use the Jeju idea of turning troubles into opportunities, as a vehicle for addressing local issues” (“New Haven Learn- Teach Jeju 4.3,”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Another New Haven teacher in his history class explain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genocide. “Although the Jeju 4.3 events are not deemed genocid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sing this as a lens to understand broader concepts seemed really exciting.” Jeju offers educators an opportunity to teach the curriculum but instead of gratuitous death and violence, there is a legacy of hope, healing, reconciliation and remembrance.” (Ibid,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Locally and partially on the global level, “The Resurgence of Jeju 4.3 Social Healing Advocacy of “PETITION FOR A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INCIDENT TASK FORCE TO FURTHER IMPLEMENT RECOMMENDATIONS AND FOSTER COMPREHENSIVE AND ENDURING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March 27, 2014). The petition supports a combined solution to social healing for numerous survivors of Jeju 4.3. Based on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Jeju 4.3 Victim Family Association, 20% of them are now elderly and require expensive medical care and assistance. Many continue to suffer from psychological trauma (PTSD). It serves as a beacon of international peace in the same vein as May 24, 2015’s event, “Women Cross DMZ Demilitarized Zone.” Jeju itself aims to serve as a “Peace Buffer Zone” between the two Koreas among 6 Nations Talk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similar to Costa Rica. Never before has the need for a Peace Island in the region been so vital, with China stretching its reach across the ocean, and President Trump flexing his muscles against North Korea, the time has come for serious peacemaking, that is, prevention of conflict. It’s a real time to think about actualization of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for Peace between two Koreas.
        4,000원
        1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에 평화공원을 조성하여 남북 관계 개선과 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시도는 여러 가지 형태 로 있어왔다. 현 정부에서도 ‘DMZ 세계평화공원’을 당초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상징적 결과물로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며 시작하였고,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 는 현 시점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명칭을 바 꾸어 추진하고 있다. DMZ 생태계 현황과 가치에 주목하는 것은 DMZ가 세계적으로도 가장 치열한 대립의 현장이면 서도 인간을 제외한 생명들에게는 가장 평화로운 지역이라 는 역설 때문이다. 이는 또한, 대립을 화해와 평화로 전환하 게 만드는 가장 그럴듯한 명분과 상징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DMZ를 국내외적 관심의 대상으로 계속 이끌어왔다. 하지 만 DMZ의 생태적 가치를 실제 물리적인 공간 속에서 상징 화하고 남북의 관계 개선 결과 또는 과정을 매개하는 실체 로서 구체적인 개념과 방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까지는 다소 관념적으로 DMZ 생태계를 상징화해왔다고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개념 과 전략을 공간 속에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이 갖 는 중요한 생태적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 전체 DMZ의 장기적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남북 협력을 위한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역할과 조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당초 현 정부는 남북의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대화 의 시작점이자 신뢰구축의 상징적 결과로서 소규모(1㎢)의 평화공원을 DMZ 내부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기존 접근과 달리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매개로서가 아닌 결과로서 DMZ 활용이 시작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규모 평화기념공원 개념 접근은 기본적으로 과거 지향적 반성과 기억으로부터 평화를 창출하기 때문에 미래 발전을 위한 동력 생산은 미흡하다. 현재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서 ‘생태’가 강조되 었으나 생태적 이미지 강조 또는 친환경적인 공원 개발 수 준에 머무를 우려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생태적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서는 우선 DMZ 생태계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DMZ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동시에 훼 손된 생태계이다. 군사활동 교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생물다 양성을 유지하는 생태계이면서 남북의 하천과 산림이 형성하 는 자연생태축을 단절시키고 인위적인 철책에 갇힌 위태로운 생태계이기도 하다. 또한, DMZ 생태계는 남한에서는 도시화 와 산업화로, 북한에서는 산림 황폐화로 서식지를 잃은 야생 동식물의 피난처이기도 하다. 냉전의 산물인 DMZ는 역설적 평화와 생명의 원천이면서 새로운 통합과 지속가능발전의 시 작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곳이기도 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조성을 위한 생태적 개념과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반도 DMZ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시대 미래비전을 먼저 설 정하고 평화기념 상징공간과 접경보호지역이 결합된 새로 운 모델로서 접근이 필요하다. 통일 이후 궁극적으로는 DMZ일원이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지역과 유사하게 발전하 도록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DMZ 자체가 거대한 평화기념 공원이라는 인식 하에 DMZ 내부에 소규모 평화기념 상징 공간과 함께 DMZ 외부의 인접지역을 넓게 포함한 접경보 호지역 평화공원 협력공간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이 적합 하다. 둘째, 끊어진 백두대간과 강줄기 및 생물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남북 협력공간으로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DMZ에 의해 남북으로 나뉜 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의 강(江) 생태축과 백두 대간 산(山) 생태축을 연결하고, DMZ 내부 생태계를 원천 으로 남북한 각각의 지역에서 생태계서비스를 복원 증진시 키는 협력공간으로서 자리매김될 필요가 있다. 셋째,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지속가능발전과 사회통합의 미래발전 패러다임 실현을 위한 교육과 실천의 공간으로서 역할이필요하다. 지역적으로 생물권보전지역, 지질공원 등을 포함 하여 생태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대안적 지역 발전 모델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으 로는 DMZ 내부 소규모 상징공간을 포함하여 외부의 인접 지역을 포함하면서 DMZ를 따라 여러 곳에 조성하는 남북 연결·확장형 공원 형태의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DMZ 각 지역별 특성과 내부의 상징적 의미, 외부 인접지역들과의 연결 관계를 반영하여 크게 네트워크 활용형, 동심원형, 대 칭핵 연결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체계적인 공간 구상 과 핵심활동 발굴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활용형은 DMZ 내 부의 상징공간이 외부의 연결요소들과 비슷한 정도로 활용 되는 유형으로 다양한 생태, 문화, 사회요소들의 연결이 가 능하다. 동심원형은 생물권보전지역과 유사하게 핵심, 완 충, 전이지역으로 구분하고 DMZ 내부는 상징공간을 물리 적으로 조성하지 않고 생태계 보호 및 연구활동이 가능한 핵심지역, 외부는 생태관광과 지역활성화 기반 강화 등의 완충·전이지역으로 구분하는 형태이다. 대칭형 연결형은 DMZ가 통로로 가능하여 남북의 핵심거점 또는 핵심 보호 지역을 연결함으로써 단절된 남북 생태축을 연결하고 협력 활성화가 가능한 형태이다. DMZ의 서부지역부터 동부지역까지 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 그리고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성을 우선적 으로 고려하여 5개의 연결 지점을 거점으로 하는 세계생태 평화공원 조성이 가능하다. 한강하구인 판문점 일대 지역은 평화를 기념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자원(평화명소)들이 풍 부하고 DMZ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한반도DMZ연구소 설치 가 가능할 것이다. 철원평야 일대의 경우는 근대역사유적, 생태환경, 지질경관 등 다양한 자원을 연결하는 지질공원 형태의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습지와 산림 등 다양한 서식지를 활용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추진이 가 능하다. 임진강과 북한강 지역은 동심원형이라 할 수 있는 생물권공원(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적합하며 지속가능발 전 모델사업과 공동 유역관리 및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설악산과 금강산을 연결하여 한반도 백두대간 축을 연결·복원하고 설악산-금 강산 생태관광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는 대칭핵 연결형 공원 형태가 적합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 내 존재하는 다양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 이후 생태·문화 자원의 보전과 사 회경제적 이용을 촉진하는 지속가능발전 지역으로 만들 수 있도록 미래 비전과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상징적 공간이 다. 이러한 접근 하에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 생태계 보전과 더불어 남북 자연생태계를 복원하는데 핵심 적인 역할을 하는 시작점으로 기능하고, DMZ 생태계 보전 이라는 공동 협력 과제를 통해 남북의 대립·갈등 관계를 완화하고 남북 평화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1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suggest a theory of World Peace Island of Jeju Island as Demilitarized Zone rather than Militarized Islands for Prosperity and Peace for Pacific Civilization upon Tolerance Philosophy of Islanders in this article. In order to reach a win-win policy for both Koreas as well as the other nations involved in the so-called “Six-Party Talks”, Korean leaders for a new age of Korean unification (including President, Lee Myung-bak, the 2012 leading Presidential candidates such as Congresswoman Park Geun-hye, Congressman, Sohn Hak-kyu,Chung Se-kyun and others) must recognize a new paradigm for Korean re-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framework of peaceful coexistence of civilizations.Even though both President Lee Myung-bak and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have emphasized the Swiss model for small nations to keep the peace (military armament) rather than the Costa Rican model (disarmament), the time has come for us to think seriously and incrementally about a new paradigm toward Jeju Island as Demilitarized World Peace Island. We should learn the lessons of non-militarized autonomous regions of Madeira of Portugal,Majorca of Spain, Spitz Bergen of Norway, Åland of Finland. We should create Jeju Island as World Peace Island for peaceful Pacific beyond trauma and ordeal of colonized or militarized fate of Pacific islands such as the Okinawa of Japan, the Hawaii of United States, the Sakhalin of Russia, the Hainan Dao of Mainland China. If Jeju Island will be designated as demilitarizedPeace Island through international treaty by the Six-Party Talks Countries (USA, China, Japa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Russia) by an internationaltreaty of the United Nations, we should expect Jeju Island to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prosperity of Pacific civilization but also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Koreas.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