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경분포에 근거한 잣나무 임분수확표(지위지수 14)를 활용하여 등급별 목재 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잣나무 임분수확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직경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직경급별 본수를 예측하였으며, 목재 생산량은 말구직경 을 기준으로 3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잣나무 임분수확표를 활용한 원목생산량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1등급(재장 3.6m) 원목은 40년부터 생산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분단위 원목의 생산량은 직경급별 생산되는 등급별 원목 개수와 직경급별 본수에 따라 생산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임령에 따른 등급별 원목의 이용재적은 원목 생산량에 비례하였 고, 2등급 이용재적비율은 30년과 40년일 때 전체 임분 이용재적의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 이용재적비율 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임분단위 이용재적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과 2등급(재장 3.6m) 이용재적은 증가하였고 3등급은 감소하였다. 임분단위 이용재적비율은 3등급의 경우 20년일 때 85% 이상 차지하였고, 2등급은 40년일 때 74% 이상 차지하였으며, 1등급 이용재적이 증가하는 50년 이후 부터 감소하였다.
        4,000원
        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CNU 28 hybrids were developed at the CNU Corn Breeding Lab. were evaluated to identify new cultivars in botanical characteristics, fresh yield per 10a and taste qualities. Most of these hybrids were stable in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lodging, disease and insects. Stem height ranged from 115.0 to 239.3 cm, and ear height ranged from 30.7 to 107.0 cm. The ear height to stem height ratio was showed low than 50% of standard as a stable plant type to lodging. The range of ear length was 14.2 cm to 23.0 cm. Especially, CNU 13H-73 was very longest ear as a 23 cm. The fresh yield per 10a was high in purple of CNU13H-79 hybrid than control hybrid Miheuckchal, and CNU13H-73 in white hybrid was similar Yeonnong check hybrid. The 100-kernel weights in CNU13H-3 and CNU13H-9 hybri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hybrid. CNU13H-98 among hybrids had a 100-kernel weight of 20.32 g, which was heavier than that of the control hybrid Daehackchal Gold 1. The average pericarp thickness was 41.4 μm, CNU13H-46 among hybrids had a very thin pericarp as a 35.5 μm. The mean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was 14.95 brix%; CNU13H-73 and CNU13H-55 had higher than Mibak2 as a control hybrid.
        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axy corn hybrid ‘Daedukchal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CNU 504 and CNU 2396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 504 used as a seed parent and inbred CNU 2396 as a pollen par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domestic regions.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was 19.7 cm in ear length and 4.5 cm in ear diameter. On yield trial, ear length of this hybrid was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had white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due to high sugar content and thinner pericarp.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southern leaf blight and northern leaf blight but susceptible to corn borer. The yields of ‘Daedukchal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wo years. Seed production for this hybrid was better because of the consistency of tasseling dates.
        4.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라이시미터에 식양토와 사양토를 채운 후 표면으로부터 10, 30, 50cm로 지하수위를 조절하고 전 생육기간에 걸쳐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성에 따라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 뿌리혹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엽면적과 엽녹소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성, 지하수위, 품종의 각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개화기에 조사된 생육형질들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수량은 품종과 지하수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토성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수량안정도 계수는 소백나물콩이 bi=1.09 로 지하수위 처리 조건에서 가장 수량 안정성이 높은 품종으로 나타났으며 화엄풋콩은 bi=0.38 로 비교적 안정성이 낮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4. 유망도지수는 초다근류계통인 nts1116이 Di=228 로 가장 높은 값으로 조사되었으며 큰올콩은 Di=77 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5. 생육과 수량과의 다중회귀분석에 의하면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 뿌리혹수가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사양토에서, 지상부 건물중과 뿌리혹수는 식양토에서 수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5.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성과 지하수위를 달리하여 맥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올보리와 그루 밀을 공시하여 1992년 10월∼1993년 6월에 걸쳐 550l의 대형 포트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성을 식양토와 사양토로 조성하여 전 생육기에 거쳐 지하수위가 20cm, 30cm, 40cm, 50cm, 70cm가 되도록 조절하고 비가림 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지상부건물중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밀보다 보리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고 지하부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증대하였는데 그 정도는 보리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지하수위의 상승은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에 더욱 크게 영향하였다. 2. 생육후반기(93년 5월 18일)의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는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 30∼40cm 이상에서 감소하였고 가장 많은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은 사양토는 지하수위 50cm, 식양토는 지하 수위 70cm에서 나타났다. 3. 엽록소 함량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보리가 밀보다 토성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광합성 능력은 지하수위 20cm에서 뚜렷이 저하하였다. 4. 출수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지면서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의 경우에 사양토에서 보리의 경우 2∼3일, 밀의 경우 4일 정도 빨라졌고 식양토에서는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등숙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보리의 경우 5∼7일, 밀의 경우 10일 정도 빨라졌다. 5. 수량은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가장 많았으며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 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는데 그 감소 정도는 보리에서 71.1%(식양토)∼72.2%(사양토)였고 밀에서 41.0%(식양토)∼60.0%(사양토)이었다. 6. 수량구성요소 면에서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보리와 밀 모두 줄었으나 이삭당립중은 보리에서는 증가했고 밀에서는 감소하였다. 7. 수량과 엽록소 함량간에 보리와 밀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에서는 신선엽면적이, 밀에서는 지상부건물중,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중량 비율이 수량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맥류의 생육과 수량은 최대가 되며 비교적 안전한 지하수위는 사양토에서는 30cm, 식양토에서는 40cm라 하겠으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수량감소비율은 보리에 비하여 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