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reaction to different luxury advertising information (promotion-focus vs. prevention-focus). Studi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face concern and individual regulatory focu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concern and luxury advertising type with a 2 (face concerns) × 2 (advertising information) experiment design.
        4,000원
        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vast research has been done to better understand brand knowledge, few studies explore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that increase brand equity when a brand is linked with value adding entities like persons, events or symbols. In our paper we introduc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includes both the explicit and implicit facets of customers’ brand knowledge and the leveraging effects when a brand is framed by another entity. In order to analyze brand knowledge enhancement effects in sufficient detail, we fall back on the multifaceted model of brand leverage by combining a brand with an external label. Our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facets of brand knowledge is a better indicator to predict brand knowledge enhancement, and also that the analysis of subconscious processes help to better position the linked object in customers’ perception in order to foster the brand leveraging success.Although vast research has been done to better understand brand knowledge, few studies explore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that increase brand equity when a brand is linked with value adding entities like persons, events or symbols. In our paper we introduc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includes both the explicit and implicit facets of customers’ brand knowledge and the leveraging effects when a brand is framed by another entity. In order to analyze brand knowledge enhancement effects in sufficient detail, we fall back on the multifaceted model of brand leverage by combining a brand with an external label. Our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facets of brand knowledge is a better indicator to predict brand knowledge enhancement, and also that the analysis of subconscious processes help to better position the linked object in customers’ perception in order to foster the brand leveraging success.
        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득 및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모호성 광고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광고에 제공되는 메시지의 양을 조절하여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을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메시지 제작에 있어서 모호성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은 경우 이득 메시지에 비해 손실 메시지의 광고태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용자는 동일한 상황의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메시지 상황에서 모호성 수준이 높은 광고는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모호성 광고 제작을 위한 논의를 제안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의 시각적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 고, 그 과정에서 제품 관여도와 성별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광고의 시각적 메시지 유형을 긍정과 부정적 메시지로 분류하고, 제품 관여도를 저 관여와 고 관 여 제품으로 분류하여 이들이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험물은 시각적 메시지 프레이밍(긍정/부정)과 관여도(고관여/저관여)를 포함하여 2×2 = 4 가지 버전으로 구 성되었다. 총 197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각각 4가지 버전 중 한가지의 실험광고물을 보 고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정적 메시지가 긍정적 메시지에 비해 더욱 높은 이미지 선호 도를 보여주었으며, 관여도는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모두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성별은 이미지 선호도에만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 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