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용 무인멀티콥터를 활용한 방제면적은 수도작은 물론 밭작물에서도 방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밭작물은 작물의 형태가 다양하여 비행속도, 살포높이 등을 최적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 대파, 고추에서 발생하는 나방류에 대하여 무인멀티콥터의 살포 높이에 따른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살포된 약제가 작물에 부착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배추는 2m, 대파는 3~4m, 고추는 모든 높이에서 비슷한 부착정도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부착량이 적고 불균일 하였다. 살포 높이별 방제효과는 작물별로 각각 배추(9~10엽기)는 2m높이, 고추(약 1.2m)는 2~3m, 대파(약 60cm)는 2, 3, 4m 각각 비등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작물모두 경엽처리 대비 약효가 미흡하였으며, 고추는 4m높이 살포시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캄보디아는 전통적으로 벼가 농업에서 가장 우선시 재배되는 작물인 관계로 쌀 생산증대를 위한 재배방법의 개선과 관리, 공여국과 수혜국간의 협력방안 등 많은 연구가 축적된 반면에 밭작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연중 고온다습한 기후와 우기의 풍부한 강수량은 최적의 작물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고 메콩 강과 뚠레삽 호수를 비롯하여 3개의 강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 수자원 활용이 가능해지면 지속적인 농업분야의 발전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산림이 줄고 늘어난 농지에서는 밭작물을 재배하게 될 가능성이 커 현시점에서 주요 밭작물에 대한 생산 현안을 진단하고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2. 현재 캄보디아는 우기와 건기가 뚜렷이 구분되는 열대몬순지역으로 풍부한 수자원이 우기에 집중되고 있어서 수자원 배분(water allocation)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관개수로로 인해 관개농 면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주로 고지대(upland)에 위치한 밭작물 재배농지의 경우, 부족한 관개수로는 농촌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사업의 증대로 개선될 여지가 있다. 3. 농촌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 사업을 계속 유지하면서 캄보디아 농업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변화와 세대변동에 따른 다양한 농업 및 농기계 기술 교육제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업전문가 파견과 같은 인력제공을 통해 가공시설확충과 유통체계개선을 통해 유통단계에서 농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을 줄여야 할 것이며 협동조합과 같은 농민조직의 육성을 통해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 농민이 중심이 되고 주도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2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il microorganism activity in an agricultural field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climate condition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organism a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factors using the dehydrogenase activity (DHA) value, which is one of the indicators of soil microbial activity. As a result, the various factors noted above were related to the DHA value. Annual rainfall, soil Mg2+, bacterial and fungal diversities, types of crops, developmental stages, seasons, and cultivation statu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HA value. Furthermore,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at the type of crop affected soil microbial compositions of both bacteria and fungi. Soil used for soybean cultivation showe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Verrucomicrobia, Planctomycetes, and Acidobacteria but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had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In the case of soil used for potato cultivation, Actinobacteri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but Proteobacteria had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Armatimonadetes showe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soil used for cabbage cultivation. Among the fungal communities, Mortierellomycot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soybean cultivation but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for cabbage cultivation; further, Rozellomycota, Chytridiomycota, and Cercozo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cabbage cultivation. Basidiomycot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potato cultivation but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for soybean cultivation.
        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는 미곡 생산량 기준 전국 약 374만 여 톤 중 60만 톤을 생산하며 전국 3위에 속해 있으며 전국 대비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는 쌀을 포함한 식량작물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해 전라북도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판매 및 마케팅을 위한 포장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경영인 38명을 모집하여 포장 디자인 의식을 조사 분석하고 식량작물 상품 135개(한과63개, 누룽지72개) 샘플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인 의식 결과 상품 개발 시 상품 및 목표 고객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포장 디자인의 필요성이 92.1%로 높았다. 최근 포장 디자인 제작은 자비 비율이 68.2%였으며, 현재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5점)는 3.32점으로 낮았고 만족하는 비율이 38.4% 수준이었다. 포장 디자인 특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가 5점 기준으로 1점 이상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보아 중요성은 충분히 감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현황 분석 결과 한과 샘플은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누룽지 샘플은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종합적으로 농업인의 포장 디자인 중요성 및 관심도는 높으나 전문가 부족, 비용 부담 등으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고 포장 디자인 현황은 대부분 종이류 및 플라스틱 비닐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관성 없는 컬러로 상품 차별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원스톱 교육, 수준별 교육, 현장 교육 확대, 전문 멘토제, 그룹 스토리 미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여 농업인 역량을 강화하여 의식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 있는 식량작물 상품화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7.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 examines the efficiency and the improvement measurement of Oilseed crops (Sesame and Perilla).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s of oilseed industry. In the second stag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iency and super-efficiency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produce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1) Changes in annual wholesale price of Sesame and Perilla; (2) An efficiency and ranking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producers; (3) The solutions and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inefficient producers
        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Oilseed crops (Sesame and Perilla).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sesame and perilla industry. In the second stage,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esame and perill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 (1) Changes in annual wholesale price of Sesame and Perilla ; (2)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Sesame and perilla) ; (3) Feature comparison of productivity of oilseed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