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has established symbiotic interactions with specific bacteria from soil environment in every generations. The soil environment is extremely heterogeneous with microbial diversity, suggesting that bacterial composition of the R. pedestris can be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s. Therefore, we investigate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wild R. pedestris collected from five mainland areas and Jeju Island in South Korea across insect generations. Among the 390 R. pedestris adults collected, we detected a total of 28 bacterial genera from the symbiotic region of insects. Among the bacterial genera, genus Caballeronia bacteria was the most abundantly detected regardless of sampling site and generation. Nevertheless, bacterial richness varied among the insect generations with 10 genera detected in overwintered generation, 15 genera in the 1st generation and 18 genera in the 2nd generation. Moreover, we found five bacterial genera that were exclusively detected from the Jeju island compared to the mainland areas surveyed.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eotgal is a salty and fermented traditional Korean fish sauce. Unlike most other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samples purchased from retail markets, this study focused on samples of jeotgal with traceable history to Yeonggwang, a timehonored fishing village in Korea. Three jeotgal samples, which were made from small yellow croakers, largehead hairtail, and miscellaneous fish, wer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local craftsmen and literature reviews. Bacterial community profiles of the three jeotgal sampl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indicator (and potentially core) bacteria for jeotgal ripening. The 16S rRNA gene-based metagenom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dominant phyla and classes, (Gamm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Bacilli, and Clostridia) of the three different jeotgal were identical, albeit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Diversification was evident beginning at the order level. Interestingly, each dominant order was mainly comprised of single members even at the genus level. The dominant genera included Halomonas, Tetragenococcus, Halanaerobium, Pseudomonas, Massilia, and Lentibacillus. This observed genus-level heterogeneity suggests that there are diverse bacterial signatures in jeotgal and that these can be used as indicators for jeotgal ripening and/or as starters to increase its sensory quality and functionality.
        4,000원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국 임의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재배 지 내의 토양 특성 및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고, 토양이 화학적 특성, 토양세균군집 및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8개 산양삼 재배 지로부터 분리한 토양세균군집은 2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토양샘플에서 Proteobacteria와 Alphaproteobacteria가 각각 35.4%, 24.4%로 가장 높은 상대적 빈도수를 보였다. 산양삼의 생육은 토양 pH가 낮고 Acidobacteria의 상대적 빈도수가 높은 토양에서 증가 하였으며, Acidobacteriia (class)와 Koribacteraceae (family)의 상대적 빈도수는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토양세균군 집과 산양삼 생육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나아가 산양삼 재배 이전에 산양삼의 생육에 유용한 토양세균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면 산양삼 재배적지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이화학성과 더불어 임상 및 주변식생에 따른 토양 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추 가로 수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정보를 대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dominant microbial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 of porcine carcasses using an anaerobic high temperature burial composting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emission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tended local similarity analysis. In the burial layer of porcine carcass, the dominant bacteria were Bacillaceae (46%), Thermoactinomycetaceae (15%) and Lactobacillaceae (4%) in the early stage and Bacillaceae (46%), Thermoactinomycetaceae (15%), Lactobacillaceae (4%) in the end. Clostridiaceae (CH3SH), Bacillacea ((CH3)2S2), Clostridium ((CH3)2S2), Clostridial (H2S), Oceanobacillus (H2S), and Thermoanaerobacteraceae (H2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ulfurous odorants, which are the highest odor contributions. The emission of sulfurous odor substances such as H2S, CH3SH, (CH3)2S, and (CH3)2S2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itrogenous odorants (NH3 and TMA), aldehydes, organic acids, and VOCs. The results of this correlation analysi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communities and odor generation during the degradation of carcasses and to manage odors and burial sites in the treatment of carcass.
        4,000원
        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dor-associated bacterial community in automobile HVAC systems. Through a metagenom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ssilia (42.426%), Sphingomonas (28.200%), (10.780%), and Methylobacterium (5.756%) were abundant in the HVAC systems. Massilia can cause the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roducing odor in automobiles. Sphingomonas produces volatile halogenated compounds or degrades organic pollutants. Rhodococcus is reported to produce sulfur compounds which give off an odor similar to rotting eggs and cabbages. Methylobacteriu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bacteria that causes odor in automobile HVAC systems. The evaporator is considered as the appropriate habitat for microorganisms in automobiles because of its high humidity and organic adsorption. Massilia, Sphingomonas, Rhodococcus, Methylobacterium, Bacillus, Staphylococcus, Arthrobacter, Micrococcus, and Pseudomonas, listed in order from most to least present, were isolated as abundant bacteria in the evaporator of the HVAC systems.
        4,000원
        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 미생물 군집은 외부 환경변화에 있어 식물 군집보다 더 빨리 반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원 과 정의 초기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인위적인 교란에 대한 생태계 반응을 측정하고 생태 계 복원의 지표를 제공하는 토양 미생물 군집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2012년과 2013년 준공된 이화령과 육십령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지와 주변 임분에서 각각 토양을 채취하여 16S rRNA 파이로시퀀싱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 박테리아 군집을 분석하였다. 문(Phylum) 수준에서의 박테리아 다양성은 이화령이 평균 29.3, 육십령이 평균 32.3으로 나왔고 복원사업지와 주변 임분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지리적 위치(이화령과 육십령 비교)나 토심(0∼15cm, 16∼ 30cm 비교)에 따른 유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검색된 토양 박테리아 중에서 Acidobacteria (37.3%)와 Proteobacteria(31.1%)가 가장 우점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원한 토양과 주변 임분에서 이 두 문의 박테리아 다양성 양상은 서로 상반되었다. 즉, 인공적으로 복원된 토양에서는 Proteobacteria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38.1%, 인근 산림토양에서는 24.2%), 주변 임분에서는 Acidobacteria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55.4%, 복원 사업지는 19.2%). 이러한 경향은 토양의 영양상 태에 따라 선호하는 박테리아 종류가 다르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특히 Acidobacteria 는 산성토양을 선호하는 등 토양산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토양 박테리아 군집 특성은 연구지 위치나 토심에 따른 영향보다는 토양복원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이는 향 후 토양복원의 성공여부를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1.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ive treatment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requires administration of appropriate empirical therapy based on etiologic,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 tures. However, in Korea, CAP is poorly characterized, and data on viral CAP are particularly sparse. Therefore, im- proper use of antibiotics is common, and is detrimental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bacterial. Thus,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for discrimination of viral CAP from bacterial CAP. Etiologic, clinical, and radiologi- cal data from 467 patients with CAP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Viruses were identified in 23 cases (11.4%); the influenza virus A was the most common virus detected (N=18, 25.4%), followed by th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N=14, 17.9%). Bacteria were identified in 48 cases (23.8%); Streptococcus-pneumonia was the most common (N=24, 25.5%),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N=20, 21.3%). Depending on hospitalization time, the fol- l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viral and bacterial CAP: on admission, (1) high fever (≥ 38.5°C), (2) purulent sputum, (3) white blood cell count, (4) C- reactive protein levels, (5) and bilateral lung involvement on chest X-ray were higher in bacterial CAP; and at discharge, (1) duration of high fever and (2) radiologic improvement within three days were higher in viral CAP. Regarding sea- sonal patterns, both viruses and bacteria have been identi- fied with relative frequency in the winter season. This study described the etiological,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of viral and bacterial CAP. Conduct of additional large- scale, prospective investigations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CAP.
        4,000원
        1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 태안군 일대 4곳의 해안사구 지역에서 자생하는 9종의 사구식물 연관 근권세균 다양성을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3차례에 걸쳐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 밴드가 계속 모든 시료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하여 Lysobacter enzymogene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요 밴
        4,000원
        1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2003~2007 ]년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은 겨울이나 봄 및 가을에 비하여 해수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정점별 변화는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다. 2003년 10월 및 2004년 9월에는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개체수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거나 저층수의 개체
        4,000원
        1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9월과 11월, 2005년 1월, 5월 및 8월의 총 5회에 걸쳐 대한민국 통영연안의 1개 정점에서 표층해수를 계절별로 채취하여 해양세균 군집을 분석하였다.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하여 VITEK Microbe ID system으로 동정한 배양법과 16S rRNA PCR-DGGE로 분석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였다. 배양법에 의한 각 계절별 해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2004년 9월은 5종, 11월은 5종, 2005년 1월은 4종, 5월은 6종 및 8월
        4,000원
        1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골재채취가 수층의 세균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낙동강 중류, 골재채취가 이루어 지지 않은 수역인 구미대교와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골재채취가 행해지는 지역인 성주군 소학리 (성주대교 인근)에서 α β γ-subclass proteobacteria, Cytophaga-Flavobacterium (CF) group 세균군과 황산염화원세균을 FISH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온, pH, EC, 엽록소-
        4,000원
        1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굴 내 정점별 세균 군집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PCf amplified 16S rDN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DGGE)를 적용하였다. DGGE는 동일한 분자량을 갖는 dsDNA band라고 할지라도, 각각의 염기서열 차이에 따라 전기영동 상에서 고유한 band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eubacteria의 16S rDNA V3region을 증폭하기 위해 GC341F와 PRUN518r을 primer로 사
        4,000원
        1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위적으로 pH 구배가 조성된 회분배양 시스템 (batch culture system)내에서 산성화에 따른 종속영양 세균 군집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세균의 개체수는 산성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크기는 pH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전 pH구간에서 분리된 종속영양 세균들은 모두 12속 22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그람음성 세균은 64%,그람양성 세균은 36%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pH가 낮아짐에 따라 그람양성 세균의 분포
        4,000원
        20.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was analyzed at each step of BAC process though BDOCtotal/rapid/slow. Further, bacteria communities and biomass concentrations measured FISH and ATP methods were analyzed. The bed volume (BV) of steady state is different from that of based on assessment of organic compounds removal. Bed volumes in DOC, BDOCrapid and BDOCtotal/slow removal at steady state were around 27,500 (185.8 day), 15,000 (101.4 day) and 32,000 (216.2 day), respectively. A biomass didn't change after the bed volume reached 22,500 (152.0 day) according to analyzing ATP concentration of bacteria. The concentration of ATP was 2.14 μg/g in BV 22,500 (152.0 day). The total bacterial number was 4.01±0.4×107 cells/g at the bed volume 1,150 (7.8 day) (the initial operation) and the number of bacteria was 9.27±0.2×109 at the bed volume 58,560 395.7 day) that increased more than 200 times. Bacterial uptrend was reduced and bacterial communities were stabilized since BV 18,720 (126.5 day). When BV were 1,150 (7.8 day), 8,916 (60.2 day), 18,720 (126.5 day), 31,005 (209.5 day), 49,632 (335.3 day), 58,560 (395.7 day), a proportion of total bacteria for the Eubacteria were 60.1%, 66.0%, 78.4%, 82.0%, 81.3% respectively. γ-Proteobacteria group was the most population throughout the entire ran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between Eubacteria biomass and ATP concentration was 0.9448.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