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손 협응을 통한 상지의 정상적인 운동은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질을 결정하는 필수조건이 된다. 그러나 뇌졸중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은 뇌손상이 일어난 반대측 신체에 감각운동적 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마비측 상지 훈련뿐만 아니라 양측 상지의 동시적 운동 수행이 마비된 상지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양측 상지 훈련을 다양한 기능 수준의 환자군에게 적용한 연구가 없다. 다양한 양측 상지 훈련 개발을 위해 양측 상지를 이용한 과제 에 대해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료 효과를 이어갈 수 있도록 양측 상지 훈련에 대한 홈 프로그램 운동이나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2.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상지기능의 향상 정도를 운동기능 평가와 운동학적 측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19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과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으로 무선할당하여 12주간의 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재활운동 프로토콜은 T-바 밀고 당기기, 손목 들어올리기, 암-컬(arm-curl), 전완 비틀기, 손가락 사다리의 5가지 세부 운동방법으로 구성되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각각의 운동과제를 수행할 때 환측 상지와 정상측 상지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운동과제를 환측 상지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훈련그룹에 따른 재활운동참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Fugl-Meyer Assessment, Box and Block Test, 그리고 3차원 영상 분석을 사용하였다. FMA와 BBT는 환측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QUALISYS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은 뻗기 동작 수행시 환측 상지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재활운동참여를 통해 FMA 점수와 BBT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운동시간과 저크코스트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의 경우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에 비해 저크코스트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활운동참여의 긍정적 효과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토콜의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상지 운동기능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손상측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10명의 만성 뇌졸중 노인들이 양측성 훈련과 단측성 훈련에 각각 5명씩 참여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동작분석 시스템, 경두개자기자극기, 근전도 기기, 재활훈련도구가 사용되었다. 훈련과제는 나무 말뚝 옮기기, 나무 팩 맞추기, 그리고 물 마시기 모방 과제로 구성하여 주 2회 총 16회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측성 훈련 집단은 기능적 뻗기 검사에서 최대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운동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검사에서도 씨앗 옮기기, 무거운 물건 옯기기 과제에서 수행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두개자기자극기를 활용한 신경생리적 검사에서도 130%, 140%, 그리고 150% 자극 강도에서 운동유발전위의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손상측 상지의 운동기능회복과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