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chieve a high bleaching efficacy with plasma, through longer application and reparative bleaching processes, by different shade evaluation methods. Extracted human teeth were divided into 6 groups (n=10). All teeth were treated in pairs. Low concentration of 15% carbamide peroxide (CP) was applied, with and without plasma, for 10, 20, and 30-min tooth bleaching, respectively. The bleaching procedure was repeated once daily for four days. The teeth were maintained in a moist environment provided by artificial saliva. The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 and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LAB) color system were collectively used to measure the bleaching efficacy. Color evaluation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u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mplemented by Tukey’s test. Combining the plasma with 15% C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olor changes compared to bleaching without plasma (p<0.05). A high bleaching efficacy with plasma is proportional to the repetitive application and the treatment time. A 30-min application with plasma provided the best bleaching. Repetitive bleaching showed lower probability of color relapse of the bleached tooth. The color change by shade guide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CIELAB color system. A value of 1 color change units (CCU) conversion factor for overall color change (ΔE) values comparisons was 3.724 values. The two measuring methods provide a more accurate correspondence of color change. The repetitive and longer application for tooth bleaching, combined with plasma, has a strong bleaching effect and produces whiter teeth.
        4,000원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건강기능성 식용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저온압착(cold-pressing) 유채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온압착 유채유는 정제유에 비해 기름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과정에서 산성백토의 첨가량, 처리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른 탈색 후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차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조사하였고, 품질특성은 chlorophyll-A 와 carotenoid 함량, 지방산 조성, 토코 페롤(α, β, γ, δ), 및 식물성 스테롤(β-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을 분석하였다.먼저 산성백토(DC-SUPER)의 첨가량(1, 2, 3%)에 따른 저온압착 유채유의 색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DC-SUPER 첨가량 2%에서 탈색 1시간 후 유채유의 색도가 갈색에서 연노랑으로 옅어졌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총 3종의 산성백토(DC-SUPER, DC-A3, 및 P1)에 대해 첨가량 2%를 기준으로 처리시간(20, 40, 60, 80분)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 20분 경과 후부터 대조구 대비 명도(L)는 증 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성백토 DC-SUPER 2% 첨가 후, 반응온도(40, 80, 120°C)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L값과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b 값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반응온도 40°C에서 처리시간 20분 이내에 클로로필 A와 카 로티노이드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토코페롤 함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탈색 전 저온압착 유채유의 총 토코페롤 함량은 46.62mg/100g이나, 탈색 후 총 토코페놀은 12.67mg/100g(20분 탈색), 15.31mg/100g(40분 탈색), 13.56mg/100g(60분 탈색)로 나타나, 약 50% 이상 감소하였다. 탈색 후 α-토코페롤 과 δ-토코페롤의 함량 감소가 매우 컸고, γ>β>α>δ-토코페롤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탈 색 전·후에 저온압착 유채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 이용 저온압착 유채유 탈색시 색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영양 학적으로 우수한 총 토코페롤 등이 감소한 바 향후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for biomedical applications. The plasma consists of charged particles, radicals, and a strong electric field as the fourth state of matter.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 in the surface roughness after tooth bleaching by plasma in combination with a low concentration (15%) of carbamide peroxide, specifically whether the application of plasma produced detriments, such as demineralization and structural change, with the goal of efficient and safe tooth bleaching. After being combined with plasma and 15% carbamide peroxide, the hydroxyapatite surface was significantly smoother with a low roughness average value. Tooth bleaching with 15% carbamide peroxide alone produced an irregular surface and increased the surface roughness with high roughness average value. Tooth bleaching with plasma resulted in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hydroxyapatite in terms of change in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topography. The application of tooth bleaching with plasma is not deleterious to dental hard tissue, implicating it as a safe tooth bleaching technique.
        4,000원
        5.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갯녹음의 발생 현황과 아열대 및 열대해역에서 우점하는 산호류의 심각한 산호백화 현상의 분포 정도를 파악하였다. 갯녹음이 발생하는 원인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갯녹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발생한 갯녹음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실제 진행 중인 면적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산호백화 현상은 전 세계 연안에 걸쳐 발생하고 고 있으며..
        3,000원
        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용칼라렌즈는 미용상의 효과와 채색효과 뿐 만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웅용되어 착용자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미용 칼라렌즈의 관리에 이 용되는 다목적 콘돼트렌즈 용액 (MPS) , 열이나 화학 소독방법, 단백질 제거제, 용액의 pH,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세척액 (Miraflow™) 및 에탄올이 칼라렌즈의 탈색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된 Blue 색상의 렌즈(미광, 뉴 바이오)를 대 상으로 시행하였다. 각 요인별 탈색 정도는 ELISA Reader로 486, 587, 656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국내에 유통되는 소프트렌즈 다목적 관리용액으로 언 한 미용칼라렌즈의 탈색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일부 미용칼라 렌즈에서 렌즈 팽윤제인 에탄올에서 심한 팽윤과 탈색이 나타났다. 또한 열, 과산화수소, 단백질 제 거 제 및 pH변화에 의해 칼라렌즈가 탈색되지 않았디. 미용 칼라렌즈의 제조과정과 제품에 대한 규제가 있어야 착용자들이 안심하고 착용할 수 있올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미노산 자동분석기(amino acid auto analyzer, AAA)를 이용하여 모발의 탈색 및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의한 모발시료의 17가지 아미노산(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ein,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30대 남성 10명의 모발을 채취하였으며 110 ℃ 24 h 동안 6 N 염산 10 mL로 가수분해 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처치별 모발의 아미노산 함량은 정상모발 73.9 %,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 71.5 % 및 탈색모발 69.3 %로 분석되었고, 탈색효과에 의한 아미노산 함량 감소가 퍼머넌트 웨이브 효과에서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lysine과 tyrosine의 조성은 탈색이나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에서 25 % 가량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serine, cystein, leucine 및 histidine의 함량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9.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spent bleaching clay (SBC) as a feed resource for ruminants. Three Holstein dairy cows, surgically fitted with ruminal cannula, were used in a 3 × 3 Latin Square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basal diet, 2) basal diet plus 2% of SBC and 3) basal diet plus 4% of SBC. Rumen fluid was sampled at 0, 3, 6, 9 and 12 hours following the start of the morning feeding. Nylon bags containing experimental diets were used to determine ruminal nutrient disappearance at 0, 3, 6, 12 and 24 hours. The values of ruminal pH in cows receiving 4% of SBC was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2% SBC supplement. The NH₃-N concentration in the rumen was higher at the 3 hour than for cows of control and 2% of SBC supplement. Total VFA concentrations in the rumen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BC.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disappearance in the rumen was lower at the 6 hours than the control and 2% SBC treatment, but no difference at the end of the 24 h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