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소가공에 적합한 품종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가공용 신품종 사과를 육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외 재배되고 있는 동북 7호 등 8가지 품종별 사과의 갈변정도를 비교하고, 총 phenol 함량과 ascorbic acid 함량 및 polyphenol oxidase, ascorbic acid oxidase에 의한 효소적 갈변정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당도는 감홍이 18.73 °Brix로 가장 높았으며, 산도는 핑크레이디가 0.66%로 가장 높았다(p<0.05). 당산비는 감홍과 아리수가 각각 72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L값과 △E값 또한 다른 품종에 비해 감홍과 아리수가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나 갈변이 적은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품종별 ascorbic acid 및 총 phenol 함량은 알칸사스블랙이 각각 9.22 mg/100 g, 334.33 mg GAE/100 g 으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았다. Polyphenol oxidase 효소 활성은 알칸사스블랙이 14.43 unit/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2~5배 정도 높은 활성을 보여(p<0.05) 이는 총 phenol 함량이 높은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Ascorbic acid oxidase 효소 활성은 감홍이 1.20 unit/g으로 가장 높았으나(p<0.05), 다른 품종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품종별 사과의 △L값, △E값, 총 phenol 함량과 ascorbic acid 함량 및 PPO, AAO에 의한 효소적 갈변정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요인 중에서 △L값과 △E값의 상관계수는 0.946(p<0.01)으로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총 phenol 함량과 △L값은 0.776 (p<0.01), ascorbic acid 함량과 PPO 효소는 0.798(p<0.01)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총 phenol 함량과 △E값, PPO 효소는 각각 0.687, 0.624(p<0.01)이었고, ascorbic acid 함량과 △L값, △E값은 각각 0.601, 0.677(p<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AAO는 모든 요인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총 phenol 함량과 PPO 활성이 높으면 갈변정도가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면 총 phenol이 산화되기 전에 외부적으로 ascorbic acid를 첨가했을 때는 환원제 역할을 하므로 갈변방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과 자체의 ascorbic acid 함량은 오히려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 산화에 의해 파괴되면서 갈변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당도가 높고 △L과 △E 값의 갈변도가 낮으며, 총 phenol 및 ascorbic acid 함량이 낮아 상대적으로 갈변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감홍’과 ‘아리수’가 컷팅용 사과 등 최소가공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nter's color value “a” in dried-persimmon of table and full ripe fruit was higher than that in unripe fruit. In case of soluble solid content, full ripe fruit was 50o Brix, the highest degree, while unripe fruit was 40o Brix, the lowest degree. PPO activation of unripe fruit was 4.7, which was higher than table-ripe fruit (0.7) and full ripe (1.0). Polyphenol oxidase activation remained even while dryi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PO activation degree as drying period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 of unripe fruit was 101.4, which was higher than table-ripe fruit (57.5) and full ripe fruit (67.4). Total phenol content level increased as drying period increased, which was based on fresh weight. Hardness of unripe and table ripe fruit continued to decrease until three weeks during softening. After that, hardness was high and it started drying. However, in full ripe fruit, hardness increased after two weeks and softening was fast during the drying period, and its weight reduction rate was lower than that of unripe and table ripe fruit.
        3,000원
        3.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potato cultivars, Sumi,Daejima and Namjak, were prepared as slices. They were dipped in distilled water for 20 seconds. The potato slices were pack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 Browning degree, total phenol and chlorogenic acid contents and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rowning paramet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increase in browning degree, phenolic content and PPO activity during cold storage of potato slices with different cultivars. Among three cultivars, Sumi showed the highest browning degree, phenolic content and PPO activity and also showed the highest % increse of browning and PPO activity during cold storage. On the contrary, Daejima was the lowest. But Daejima showed the highest % increase in phenolic contents during cold storage. With Sumi, browning degre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PO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s (p〈0.05). With Daejima and Namjak,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rowning degree and PPO activity (p〈0.05). From the above results, enzymatic browning reactions of potato slices and factors affecting them were dependent on cultivar. Among the tested three cultivars, Daejima showed the lowest browning degree during cold storage and thus seems to be desirable for minimal processing.
        4,000원
        4.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이미지 분석법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우선 신선편 이 연근의 갈변 저해 처리를 위해서 50℃의 증류수에 5분간 블랜칭 처리(DB), 50℃의 1% ascorb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AB), 50℃의 1% citr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CB) 하고, 절단 후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갈변 저해 처리 후 0.04 mm의 polyethylene film(25 cm×30 cm)에 열 접합 포장 후 4℃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관능 평가, 갈변도, polyphenol oxid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연근 의 갈변도 분석은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컬러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우선 RGB와 CIE L*a*b* 컬러 모델에서 각각 의 색 지표를 분석하고 HSV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갈변 면적을 분석하였다. 관능 평가에서 AB와 CB 처리구가 저 장 9일째까지 갈변 현상이 가장 많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 고, RGB 컬러 모델에서 R, G, B 값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AB와 CB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CIE L*a*b*와 HSV 컬러 모델에서는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L*값은 감소하고 a*, b* 값과 갈변 면적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는데 AB와 CB 처리구에서 값의 변화 정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olyphenol oxidase 활성 분석에서 도 모든 저장 기간 동안 AB와 CB 처리구에서 효소의 활성 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유기산과 블랜칭 병용 처리에 의해서 연근의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관능 평가와 모든 실험 결과 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최소 0.84 이상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L* 값이 0.93으로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이미지 분석법은 다양한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5.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dip treatments of chemicals (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solution) and medicinal herbs (Pueraria thunbergiana, Angelica gigas, Dioscorea japonica, Lindera strychifolia, Cnidium officinale, Astragalus membranaceus: 1% extracts), heat shock (40-60℃ water), and edible coating (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solution)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Fuji' apples were studied. Among the each treatment methods, the surface browning of fresh-cut apples was best retarded by calcium chloride dip, Astragalus membranaceus dip, 45-50℃ heat shock, coating with 3% dextrin or 1% whole soy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heat shock, and edible coating can be used as alternative for the use of chemical agents for the antibrowning of fresh-cut ap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