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ual effectivenes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for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on fresh-cut apples was investigated. Prepared apple slice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200 mg/mL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packag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for 10 days at 4, 21oC. Results indicate that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significantly (P < 0.05) inhibited the browning reaction of fresh-cut apples. This treatment also reduced peroxidase activities. The populations of Staphylococcus aureu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p < 0.05). In particular, S. aureus was reduced to non-detectable levels after 2 days in 100 mg/mL treatment at 4oC and 21oC.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therefore have antibacterial and antibrowning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could be useful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4,000원
        2.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하여 색도, 경도, DPPH radical 소거능,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갈변의 지표인 색도 L* 값의 결과, 감초 또는 황기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감초 추출물 처리구의 활성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pH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가 가장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의 함량은 증가하고 대조구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감초와 황기 열수 추출물의 블랜칭 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열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anti-browning effects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and L-cysteine combination. Mushrooms were dipped in solutions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for 3 min. The dipped mushrooms were packaged in a polystyrene (PS) tray and wrapped with a polyvinyl chloride (PVC) film, and stored for 14 days at 10℃. The browning inhibition activity (Hunter L, a, b color scale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quality changes (weight loss rate, gas composition, firmnes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period. After 14 days, the Hunter L and ΔE value of mushrooms treated in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were 87.24 and 5.56, respectively. The mushrooms treated with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also showed higher firmness (13.31 N) and smaller weight loss rate (2.87%) than the untreated mushroom (11.42 N, 3.04%) on storage day 14. During storage perio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overall acceptability of mushrooms treated with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treated mushrooms, except those that were stored for five days. Overall, the mushrooms treated with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had a high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than the untreated mushrooms during storage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rowning of the mushrooms treated with 0.1% Atractylodis Rhizoma Alba extract containing 0.05% L-cysteine solution were inhibited, and the that their shelf life was extended.
        4.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변과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저하되는 양상추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상추를 최소처리하여 이들 품질저하요인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갈변억제방법으로는 다양한 침지수에 따른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미생물 증식억제방법으로는 염소처리법과 전기분해수 그리고 유기산 처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상추의 갈변은 색도에 있어서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 혼합침지수로 처리하였을 때 초기 L 값이 5 수준에서 유의적으
        5.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의 최소가공 버섯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천연 갈변저해제를 양송이버섯에 적용하여 최적의 천연 갈변저해제를 선발하고 선발된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연 갈변저해제 중 천문동, 계피 및 키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이들 선발된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물리적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갈변도에서는 1% cysteine과 천문동 추출물이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연갈변
        6.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ly , the methanolic extract of peach sees was found to have a stro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n in vitro assay. Several phenolic compund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by solvent fractionation ,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 and one of them showing strong tyrosinase inhibition was identified as benzoic acid by UV, IR, H/C-NMR, and EI-MS spectrsopy. Benzoic acid (IC50 250/ml) and L-ascorbic acid (IC50=28/ml),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s. In particular , benzoic acid inhibited markedly the enzymatic browing (melanosis) of apple juices at low concentration of 0.01% and 0.05, comparable to that of L-ascorbic acid (P
        7.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약을 건조하는 동안 발생되는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함량은 무처리와 연탄훈증 처리에서 시간 건조 후 각각 16.0, 16.2%로 높았고 산성 용액, 아황산염 용액, 및 blanching처리에서는 각각 13.5, 12.9, 14.8%로 낮았으며, 동결건조를 수행 한 시료에서는 18.8%로 가장 높았다. 2. 무처리 시료의 L, a, b, 및 △E값이 61.60, 1.89, 10.20, 39.78로 갈변정도가 가장 심하였고, 연탄훈증과 아황산염 용액을 처리한 시료는 양호 하였으며 , 동결 건조를 수행한 시료는 전 건조기간 동안 갈변이 일어나지 않았다. 3. 작약의 paroniflorin은 연탄훈증과 아황산염 용액 처리에서 각각 2.41, 2.51%, 동결건조 처리에서 2.70%로 높게 나타났다. 4. SO2함량은 sulfites처리인 연탄훈증과 아황산염 용액 처리에서 0.63%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하여 무처리와 동결건조 처리 보다는 각각 0.1%, 0. 17%가 높았다. 5. 작약 건조시 건조활동의 생력화 및 경제성, 건조시간, 상품성 등을 고려할 때는 건조온도 60˚C에서 sulfite salts용액에 침지한 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안전성의 측면에서 볼 때 작약 건조시 아황산 처리에 대한 안전사용기준 설정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