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evaluate the exposure dose of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a Off-site Dose Calculation Program (ODCP)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AP since 2021. The ODCP consists of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tmospheric diffusion factors, liquid/gas dose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analysis, and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functional modules. The offsite dose calculation can be carried out monthly, quarterly, semi-annual, and annual, and resident dose evaluation is conducted by entering air diffusion factors and emissions for each period. It also enables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 management by develop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s together.
        2.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general, dose assessment must be performed to obtain approval for clearance of radioactive waste. If the annual dose criteria through dose evaluation satisfies the clearance condition, radioactive waste can be disposed of. Various programs are used to perform dose assessment. NRCDOSE GASPAR is used as a program to assess the amount of radiation exposed to atmospheric emissions. Program is easy to use and results can be checked immediately after execution. GASPAR requires main input factors by exposure route such as site specifics, source term, special location, block data. Basically, program has default input values but user can easily modify i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at when entering a nuclide, the effect on progeny radionuclides is not automatically calculated. User should consider the dose contribution from progeny radionuclides. In this study, dose assessment was performed for combustible waste incineration using NRCDOSE GASPAR. And it was confirmed that exposure dose of individuals and groups criteria for clearance regulation.
        3.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ff-site dose calculation is regularly carried out at the nuclear power plants in order to evaluate off-site dose from gaseous and liquid effluent during normal operation. In 2009, the off-site calculation program (K-DOSE60)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ICRP-60 by KHNP. This software needs meteorological data, gaseous and liquid effluent data, and various other input parameters to evaluate off-site dose. As a result,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the user to enter accurate input data and verify calculated results, and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determine them because of providing textbased calculated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calculation program was considered so that a more reli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could be performed when calculating the off-site dose. The main improvements of the off-site dose calculation program (ODCP)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veloped as the network-based program to link with meteorological data, and gaseous and liquid effluent data to remove input errors and simplify data transfer. Second, through validation process of input data, input errors are eliminated. Third, the input data and calculated results are visually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evaluation results. Fourth, database of input and calculated results is constructed to facilitate evaluation result history management.
        5.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기반 온실에너지 계산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주요 단일 피복재 10종 및 보온재 16종에 대한 열관류율 측정하였다. 또한 피복 및 보온재를 이중 및 삼중으로 다층 설치할 때 열관류율 추정을 위하여 이중 설치시 24조합, 삼중설치 시 59조합에 대한 열관류율을 핫박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일 피복재에서는 PE필름(0.08mm) 대비 PO필름(0.15mm) 이 가장 열관류율이 가장 작고 열절감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보온재에서는 열관류율에서는 외피가 있는 5겹 의 다겹보온커튼이 가장 보온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자재에 대한 열관류율 값과 열저항값을 이용한 피복 및 보온재의 다층설치시의 총 열관류율 값을 산정하였고 실측 값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선형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단일재료의 열관류율값에 의한 피복 및 보온재의 다층설치시 열관류율 추정 모형을 개발한 결과 모형평가지수가 0.90(0.5 이상일 때 양호)으로 나타나 추정치가 실측치를 매우 잘 재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온실을 통한 실증시험결과 예측된 열절감율이 실측치보다 상대오차 2%로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반의 온실 에너지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HTML5 표준 웹 기반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였으며 N-Screen 지원을 통해 다양한 모바일 장치 및 PC 브라우 저에서 동작이 가능하게 제작되었다. 또한 온실 피복(12종) 및 보온재(16종)의 조합별 열관류율 및 난방부하계수를 제공 하여 농민이 모바일로 온실 위치, 형태 및 피복·보온재 등을 반영한 최대 주야간 냉난방부하 및 기간 난방부하를 산정할 수 있다. 대상 온실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온실의 지역 및 형태에 따라 피복 및 보온재의 최적 선택으로 에너지 절감형 온실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1.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한다. 또한 1차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을 감안하면 저급자원이고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의 적극적인 활용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SRF 가스화를 통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여 활용할 경우 발전, CO/H2 생산 및 각종 화학물질생산 등 넓은 산업 분야에서 환경 친화적임과 동시에 고효율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RF를 가스화할 때에 발생하는 합성가스의 조성 및 성능 예측을 통하여 미리 설계조건 또는 운전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면 연구 개발 및 상업용 플랜트 설계 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SRF 가스화의 경우 비교적 낮은 출구온도, 이에 따라 화학적 평형상태로 보기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하여 조성 및 유량 등의 합성가스의 특성을 사전에 예측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RF 가스화 시의 합성가스 조성과 유량 계산, 성능 예측 및 운전조건 사전 설정 등을 가능하게 하여 연구 및 상업용 플랜트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평형상태 계산으로부터 일반적인 SRF 가스화 운전조건에서 화학적 평형상태에서는 CH4, C2 이상 물질 및 타르 등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이들 물질의 생성에 대한 관계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된 각종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만들고, 합성가스 내에 가장 중요한 조성인 CO, CO2, H2, H2O에 대해서는 화학적 평형상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스화 시스템의 에너지 정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보조 수식을 적용하여 에너지정산을 수행하고, 합성가스 조성 계산과 에너지 정산이 완벽하게 맞게 되는 산소공급량을 반복계산법으로 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SRF의 발열량, 가스화기의 열손실 및 산소부화조건 등의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합성가스 조성 및 가스화 시스템의 성능 변화를 비교 및 고찰하였다. 열손실 및 탄소전환율이 가스화 시스템의 성능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