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2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effect of liposome coated hemicellulose on softening of carrot. To encapsulate hemicellulose in nanoliposome, 2% hemicellulase and 2% lecithin were processed by using high-speed homogenizer (10,000 rpm, 3 min) and ultrasonification (200 W, 54%). The carrot were cut into cylinder type (3×1 cm) and then immersed in distilled water (DW, control), hemicellulase (He) and nanoliposome coated hemicellulose (He/NL) for 48 h at 4oC. The final concentration of hemicellulose is 1% (w/v). The droplets properties of He, NL, He/NL analyzed using zeta-sizer. Moreover, the carrots treated different immersed solutions were characterized by measuring hardness, color, microstructural observation and enzyme activity (glucose contents). For the results, hardness of carrot immersed in He or He/NL solution decreased after 48 h by 47% or 31% (outline of carrot) and 35% or 31% (center of carrot)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7,240 g). The total color difference value of all samples increased over immersion time. For microstructural observation, cell was destroyed after 24 h at He solution. For the enzyme activity, glucose contents of carrot in He solution increased than it in He/NL at 0 h sample however the enzyme activ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mmersion time.
        4,000원
        2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냉동기법인 자연냉동 및 강제송풍 식냉동, 극저온냉동과 다양한 해동방법인 자연해동, 유수해 동, 초음파해동, 전자레인지해동을 통하여 물리적 변화를 최소화 하는 냉·해동공정을 찾으려 했다. 당근의 경우 품 질을 변화 시키는 요인은 해동방법보다는 냉동방법이 더 영향력이 있다. 해동감량 및 보수력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급속냉동(강제송풍식냉동, 극저온냉동)을 한 경우 품질유지 에 더 효과적이었다. 경도는 냉·해동공정 보다는 블랜칭 처리를 한 것이(열처리) 유의적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즉 열처리가 당근의 물성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 및 pH 경우, 냉·해동공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의 전체적인 품질을 최대한 유지 하기 위해서는 냉동법의 고려가 해동 법 보다 중요하며, 다양한 냉동방법 중 급속냉동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유지하고자 하는 당근 품 질 특성 별로 최적의 냉·해동공정을 선정하는 것도 효과적 이라 생각한다
        4,000원
        2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당근 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단그라스 및 크로타라리아 의 토양환원이 당근의 생육, 수량 및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근 재배를 위한 처리조 건은 무처리구, NPK처리구(N-P2O5-K2O= 20-9.6-12.2kg 10a-1), 크로타라리아(파종량 6kg 10a-1), 수단그라스(파종량 6kg 10a-1) 및 수단글라스 + 크로타라리아(파종량 3+3kg 10a-1)의 5개 처리구로 시 험하였다. 당근재배지에서 전작물로 재배된 녹비작물의 질소(N), 인(P2O5), 칼륨(K2O), 칼슘(CaO) 및 마그네슘(MgO) 공급량은 크로타라리아의 경우 각각 9.2, 9.8, 7.4, 12.9 및 2.5kg 10a-1이었고, 수단그 라스의 경우 각각 8.7, 8.9, 45.7, 5.2 및 2.8kg 10a-1이었으며, 혼합처리구(수단그라스 + 크로타라리 아)의 경우 각각 8.8, 9.9, 29.5, 2.6 및 1.7kg 10a-1이었다. 당근 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용적밀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공극율은 용적밀도와는 달리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내 유기물, T-N 및 유효 P2O5 함량은 녹비작물 처리구가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당근의 품질을 나타내는 클로로필, 당도 및 β-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모두 크로타라리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근의 장해율은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근의 상품수량은 크로타라리아 + 수단그라스 혼합처리구(3,530kg 10a-1)가 대조구(2,101kg 10a-1)에 비해 68%의 증수효 과를 보였다. 따라서 당근 재배지에서 수단그라스 + 크로타라리아 혼합처리는 화학비료의 절감효과가 있으며, 특히 토양환원 후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개선함으로써 당근의 상품수량 및 품질향상을 증 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organoleptic and other qualitie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10 or 15% purple carrot extract that had either been previously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not fermen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pH, chromaticity, viscosity, viable cell count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The pH and acid values did not differ between purple carrot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non-fermented extract. Viable cell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5% purple carrot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fermentation. Regarding characteristic changes, purple carrot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group showed a lower red value but higher yellow value compared with non-fermented purple carrot extract due to heat-sterilization. Both fermented and non-fermented extrac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viscosity compared to control. In the sensory evaluation, 15% purple carrot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conclusion, addition of 15% purple carrot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resulted in a superior fermented milk product.
        4,000원
        26.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열수침지 및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을 IQF 방 법으로 급속 냉동 한 다음 -12, -18, -24 o C에서 24주 동안 저장한 후 해동하여 이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과 미생물 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열처리 및 냉동 저장의 최적 공정 과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보다 열수침지 처리한 당근의 ΔE이 큰 값을 나타내었 고, 열처리 후 생당근에 비해 전단력이 감소하였으나 급속 냉동 후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다(p>0.05). 열처리 후 생당근에 비해 총균수가 감소되었지 만 냉동 저장시 일정한 경향을 보였고, 열수침지 처리한 당근의 비타민 C 손실양이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보다 더 많았다. 열수침지 처리 후 감소한 유리당의 함량은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는 없던 반면, 과열증기 처리 후 급속 냉 동 한 당근의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당근의 유기산의 함량은 열수침지 처리 후 감소하였으나 과열 침지 처리 후 oxal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열처리 후 영양 성분의 손실이 더 적은 과열증 기법의 공정 과정이 열수침지법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보 인다. 또한 -12 o C에서 저장한 당근의 비타민 C가 6개월 후 모두 파괴되었던 것을 통해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 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냉동 저장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about 270 days at analyzing biologically hazardous factors in order to develop HACCP system for the non heat-frozen carrot juice. A process chart was prepared by manufacturing process of raw agricultural products of non heat-frozen carrot juice, which was contained water and packing material, storage, washing, cutting, extraction of the juice, internal packing, metal detection, external packing, storage and consignment (delivery). As a result of measuring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hemorrhagic E. coli before and after washing raw carrot, Standard plate count was 4.7 × 104 CFU/g before washing but it was 1.2 × 102 CFU/g detected after washing. As a result of testing airborne bacteria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group, Yeast and Fungal) depending on each workplace, number of microorganism of in packaging room, shower room and juice extraction room was detected to be 10 CFU/Plate, 60 CFU/Plate, 20 CFU/Plat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esting palm condition of workers, as number of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group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represented to be high as 6 × 104 CFU/cm2, 0 CFU/cm2 and 0 CFU/cm2, respectively, an education and training for individual sanitation control was considered to be required. As a result of inspecting surface pollution level of manufacturing facility and devices, Coliform group was not detected in all the specimen but Standard plate count was most dominantly detected in scouring kier, scouring kier tray, cooling tank, grinding extractor, storage tank and packaging machine-nozzle as 8.00×10 CFU/cm2, 3.0 × 10 CFU/cm2, 4.3 × 102 CFU/cm2, 7.5 × 102 CFU/cm2, 6.0 × 10 CFU/cm2, 8.5 × 102 CFU/cm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above hazardous factors, processing process of ultraviolet ray sterilizing where pathogenic bacteria may be prevented, reduced or removed is required to be controlled by CCP-B (Biological) and critical level (critical control point) was set at flow speed is 4L/mi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orough HACCP control plan including control criteria (point) of seasoning fluid processing process, countermeasures in case of its deviation, its verification method, education/training and record control would be required.
        4,000원
        2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당근-녹비 윤작지에서 헤어리베치 및 클림손클로버의 토양환원이 당근의 수량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근재배지에서 전작물로 재배된 녹비작물의 질소(N), 인(P2O5), 칼륨(K2O), 칼슘(CaO) 및 마그네슘(MgO) 공급량은 헤어리베치의 경우 각각 23.8, 12.8, 6.1, 1.7, 및 2.8 kg 10a-1이었으며, 클림손클로버의 경우 각각 4.3, 6.0, 3.5, 1.3, 및 1.3 kg 10a-1이었다.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밀도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고, 공극율은 증가하였다. EC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유기물, T-N 및 avail. P2O5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당근의 장해율은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장해된 당근의 수량을 제외한 상품수량은 헤어리베치 처리구 (3,733kg 10a-1)가 대조구(2,566kg 10a-1)에 비해 45.5%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시용은 비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녹비작물 토양환원 후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개선함으로써 당근의 상품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reatments for the browning prevention of black carrot extracts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NaCl were added to black carrot extract and changes in color, texture,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evaluated. Changes were also determin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The addition of 0.15 and 0.20% ascorbic acid prevented the browning of black carrot extracts and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However, citric acid did not have a preventative effect, despite decreasing the pH below 5.0. Similar to results on the extract, 0.15% ascorbic acid maintained a reddish-violet color in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by lowering browning during the storage period. Jelly supplemented with 0.15% ascorbic acid had an increased elasticity, gumminess, and chewiness, but jelly supplemented with 0.15% ascorbic acid+0.05% NaCl had a lowered hard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a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in descending order, was: 0.15% ascorbic acid+0.05% NaCl > 0.15% ascorbic acid > control. In conclusion, 0.15~0.20% ascorbic acid prevented the browning of black carrot extract and inhibited a decrease in anthocyanin content.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and 0.15% ascorbic acid+0.05% NaCl were optimal for producing a soft jelly texture.
        4,000원
        3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s been banned by Montreal Protocol due to ozone depletion in developed countries since 2005 but uses for quarantine & pre-shipment (QPS) remains exemption. Current MB alternatives such as phosphine gas, ethyl formate has been showing their potential in terms of their no phytotoxic damages to target perishable commodities post fumigation as well as their efficacy at low temperature. We evaluated phosphine (PH3) gas as MB alternatives welsh onion, carrot, and lettuce fumigation. on sensitivity test, larvae of Aphis gossypii were most tolerant to PH3 among the all stage of A. gossypii, Tetranychus urticae and Plutella xylostella. The LC99 and LCT99 value of mixture gas for adult of A. gossypii was 1.79 mg/L (24hr, 5℃) and 33.56 mg h/L(5℃), respectively. On confirmation trials scheduled in 28m3 container for 24hr at 5℃, all stages of T. urticae was completely controlled in 2g/㎥ of phosphine gas, but A. gossypii and M. persicae were not completely controled. No phytotoxic damage was observed in vegetables.
        3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당근에서 제조한 CG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성을 SCP와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CG와 SCP를 적용한 각각의 기능성 크림을 제조하였다. CG와 SCP를 적용한 각각의 기능성 크림에서의 변색, 변취 및 크리밍 현상이나 응집 등의 관능검사와 pH, 점도 등의 물성 변화는 5℃, 25℃에서 매우 안정하다. 피부에서의 수분손실량 및 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CG의 보습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CG를 함유한 크림은 SCP를 함유한 크림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개선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4,200원
        32.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정제된 polygalacturonase(PGase)에 guar gum, xanthan gum, locust bean gum 등과 같은 교질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효소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조사하였다. 정제된 PGase를 0.2%의 상술한 교질물질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용액에 잘 혼합시켜 30oC에서 배양하여 상대활성을 구한 결과, guar gum 첨가 시 는 PGase의 상대활성이 105%가 증가 되었으며, xanthan gum 첨가 시는 87%, locust bean gum 첨가 시는 90%가 증가되어 상술한 교질물질들이 효소의 활성 촉진제로서의 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uar gum 처리에 의해 당근 단세포 생성 반응을 수행한 결과 모든 반응시간에서 guar gum을 가했을 때가 PGase만을 가하여 단세포화 반응을 수행한 경우 보다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단세포화 반응 2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대비 13%의 가장 높은 수율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PGase에 guar gum, xanthan gum, locust bean gum 등과 같은 교질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효소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단세포 당근의 제조에 있어서 효소반응의 수율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000원
        3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베타리치 당근을 HCA 농도별 침지시간별로 각각 세척한 후 PE bag에 포장하여 8 oC에서 12일간 저장하여 미생물분석, 경도, 표면색, 백화지수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총균수는 침지시간을 3분으로 한 처리구 T-II는 4.37± 0.19 log CFU/g, T-III는 4.27± 0.13 log CFU/g로 저장초기의 대조구에서 보다 적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의 경우 저장일수 8일차의 처리구 T-II와 T-III는 대조구보다 적게 검출되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다. 3분 침지한 처리구가 1분 침지한 처리구보다 저장 12일 차에서 경도의 감소폭이 적었으며, T-I T-II, T-III로 갈수록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저장기간 중 모든 처리구의 L값은 감소하였고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WI는 저장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HCA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폭은 적었다. 저장 8일차의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무처리구와 HCA 처리구의 이취평가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통기한 연장을 위하여 당근 세척에 HCA을 50 ppm 이상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 및 품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근 (Daucus carota L.)은 β-carotene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뿌리채소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신품종 육성을 위한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도 비교적 용이한 식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뿌리 부위를 1 mm 정도의 두께로 얇게 절단한 당근채에 대하여 화학처리에 의한 표면상해를 유발시키고 이에 의한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의 증대를 분석하였다. MTT를 이용한 세포활성분석을 통하여 0.1-0.3% NaOH 또는 1-4% H2O2 용액의 처리 (3 min)가 당근채 세포활성에 미약한 독성을 나타냈으나 각각 그 보다 고농도 처리에서는 육안으로 비교될 정도의 세포활성 저하를 초래하였다. NaOH나 H2O2 처리 후 1/2 x MS배지 (pH 5.7)로 세척한 당근채는 agroinfiltration 및 3 일간의 동시배양을 거쳐 β-glucuronidase (GUS) reporter gene의 발현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형광법에 의한 GUS 효소활성측정에서 화학물 처리는 10-15 배 이상의 GUS효소의 활성증대가 확인되었다.
        4,000원
        3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당근과 양파에서 발아력 증진에 미치는 osmotic priming과 SMP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1시간 후 급속한 수분흡수가 이루어졌고, 두 작물 모두 osmotic priming이 SMP보다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다. 이러한 경향은 처리 4시간까지 유지되었다. 처리최종일의 수분흡수율은 당근과 양파에서 osmotic priming이 SMP보다 2%높았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두 작물 모두 발아율을 향상시키지 못했지만 T50 및 MDG는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온인 15℃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초기함수율로 재건조하면 당근에서는 발아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양파에서는 표면건조에 비해 발아속도가 지연되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상호처리간 발아력을 비교한 결과 두 작물 모두 SMP 처리가 osmotic priming보다 발아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당근과 양파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하면 묘출현율도 향상되었고,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를 단축시켜 신속한 묘출현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묘출현에 이은 유묘의 초기생육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종자는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다.
        4,000원
        4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하파’외 4품종과 일본산 ‘Kaneko외 9품종을 2000년 8월 2일에 일반농가포장에 파종하였다. 국내산과 일본산 비교 재배하여 이 지역에 가장 적합하고 우수한 품질의 당근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장, 엽수 및 엽중은 국내산인 경우 고정종인 ‘중앙’이 각각 60.7 cm, 9.3매, 72.9 g로 가장 우수하였고 교배종에서는 ‘부러운’이 각각 60.3 cm, 8.9매, 65.42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산중 근경, 근장 및 근중은 교배종, 고정종 모두에서 ‘비바리’가 52mm, 15.7cm, 275 g으로 우수하였으며 일본산인 경우 교배종은 ‘Sei’이 56 mm, 14.6 cm, 319 g으로 양호하였고 고정종은 ‘Tokai’가 가장 우수하였다. 상품수량은 국·내산에서 ‘하파’(5,472 kg/10a), 일본산은 ‘Kaneko’(5,736 kg/10a)가 가장 높았고 그 외의 품종들은 국내외산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열근의 발생율은 ‘부러운’이 15%정도로 높았고 고정종인 ‘중앙’이 10% 정도였다. 기근 발생율은 ‘Hidomi’가 9%로 가장 높았고 ‘Sei’과 ‘Tokai’순으로 각각 2%, 6%로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당근의 주요 상품성을 결정하는 기근과 열근의 발생율은 국내산보다 일본산이 높아 앞으로 재배법을 좀 더 개발하면 국내산 품종이 더 제주지역의 재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