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화의 초기 단계인 유아의 정치의식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 교육과 유아의 발달 수준에 알맞은 정치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치의식은 정치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지며 유아기에 기본적인 정치적인 개념들을 습득한다. 유아기에 이미 권력의 근본적인 의미, 규칙의 의미, 정치 사회화를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권력으로서의 힘을 알고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리더인 ‘대장’을 뽑기도 한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의 정치적 개념을 자신이 취하는 태도, 자신의 관점 표현, 발생한 사건에 관한 질문, 의사결정 과정 참여시 선택 상황 등을 통해 나타낸다. 정치사회화 과정은 일생을 통해 끊임없이 지속되는 발전적 과정이며 사회화의 초기단계인 유아기의 정치사회화는 이후 성인 생활의 정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정치의식 발달 이론은 정신분석학 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 이론으로 분류되어진다. 정신분석학 이론은 정치 권위자에 대한 선호에 유아 자신의 욕구와 개인적 경험에 의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사회학습 이론은 유아가 속한 환경 내에서 강화, 모방을 통하여 경험하는 다양한 학습의 결과로 정치사회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인지 발달 이론은 동화되고 조절되는 과정 속에서 유아는 질적으로 다른 정치인지 발달 단계들을 거친다는 것을 알려준다. 정치의식의 형성 즉, 정치 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으로 들 수 있다. 가정에서 유아는 자기와 부모를 동일시하고, 정치태도에 대한 부모의 견해를 받아들인다. 부모의 사회․정치적 태도 등의 가족요인은 유아가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행동양식을 습득하거나, 참여권을 행사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유아에게 가장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매개체는 유아교육기관이다. 교사는 사회적 대변자로서 성장기에 있는 유아가 어떤 정치성향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정치적 주제들의 탐색활동에 관여하는 것은 유아들의 정치적 주체성을 수립하고 보여주는 것을 돕는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