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식자는 ‘일반적’, ‘특수적’ 방법이 있다. 일반 방법은 식자는 쉬우 나 언어 환경과의 괴리를 피할 수 없다거나, 흥미 유발로 식자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나 한자 고유 의 규율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거나, 한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도외시하게 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벽문절차’와 ‘자족문’이 특수 방법으로 벽문절차는 한자의 형․음․의 분석을 통해 관련된 부분을 도출해내고 독특한 연상법을 활용해 흥미를 유발하고 기억하게 한다. 그러나 한자의 규율을 무시하 는 문제에 따른 해설상의 오류를 벗어나기 힘들다. 한자 특성을 제대로 학습할 수 없게 만들고, 언어 환경도 고려하지 못한다. 자족문은 획기적이고 신선한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한자 특성을 고려해 파생을 활용하여 자족이 란 개념을 창출했다. 문장을 익히면서 문자를 익히고, 문자를 익히면서 문장을 익숙하게 하는 문장 과 문자 학습을 통일시켰다. 문장 학습으로 언어 환경을 잘 활용할 수 있고 개별 문자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어 특성을 살렸다. 그러나 자족문 방법도 중국 언어체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뿐 우리 언어체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5,700원
        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수수 수확 시 세절여부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및 laceration)과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세절(20 mm)한 것(T1구)과 세절하지 않은 옥수수 사일리지(T2구)를 이용하여 총 60분간 배합하면서 시료를 채취한 후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PSPS)로 분석하였다. 모든 배합시간에서 T2구보다 T1구에서 상층(>19 mm)과 하층(<8 mm)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중층(8-19 mm)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굵은 비율(≥1 mm)의 감소율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eNDF>8.0 및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도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세절하지 않은 것보다 세절한 옥수수 사일리지가 적정 peNDF 범위가 유지되어 조사료로서 사료적 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chopped and non-chopped rice straw on characteristics of silage-basedtotal mixed ration (TM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lacer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M) degradation. The threerice straw silages as low moisture unchopped (LMUC; 32.75% of moisture, unchopped), high moisture unchopped(HMUC; 42.05% of moisture, unchopped), and high moisture chopped (HMC; 44.71% of moisture, chopped to 30cmlengths) were tested. Samples were collected at every 5 minutes from 10 min of pre-mixing to 50 min. The percentageof >19mm in LMUC and HMC was decreased to 7.23% and 7.74% (p<0.05), respectively, and the percentage of 8mm>was increased to 5.81% and 5.24%,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laceration of forage by a TMR mixer showed that therewas little change in the reduction of 1.26% in HMC, but was reduced to 7.53% and 16.06% in LMUC and HMUC,respectively. The peNDF>8 was maintained 17~18.5% of the optimal requirement level for 15 to 45 min mixing in LMUCand for 30 to 50 min mixing in HMC, but it exceeded the level of peNDF>8 in the range of 21.49 to 22.53% for 50minmixing in HMUC. However, ruminal in situ DM degradation appeared as LMUC>HMUC>HMC. Therefore, theseresults suggest that the rice straw silage may be useful for high-yielding lactating cows, if it can be supplied with theadequate peNDF, and the limiting factor on DMI and DM degradation was reduced by crushing of the plant tissue, althoughthe rice straw silage was concerned to low quality forage.
        4.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 있어서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청초 및 종실 겸용재배에 알맞은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초이용기간 등을 밝히고자 쌀보리(새쌀보리)와 맥주보리(두산 22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쌀보리는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에 관계없이 청예후 100% 생존하였으나 조파한 두산 22호는 증파, 증비할수록 1~2월에 예취시 청예후 생존율이 떨어졌다. 2. 두 품종 모두 조파할수록,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청초수량이 많았다. 증파, 증비함에 따라 청초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건초의 조회분 및 조지방은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 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은 증비할수록 증가되었고 청예시기가 늦을수록 감소되었다. 가용생무질소물은 층예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증비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조파할수록 일찍 출수 및 성숙되었다. 청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새쌀보리에서느 적었으나 두산 22호에서는 매우 컸었고 조파할수록, 정예종기가 늦을수록 정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컸었다. 증비에 의해 두산 22호의 성숙기가 3~5일 지연되었다. 5. 새쌀보리에서 보다 두산 22호에서 청예에 의한 간장단축이 컸었고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간장이 작아졌다. 6. m2 당 수수 및 수당입수가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에 의하여 감소되지 않았지만 두산 22호에서는 청예종기가 늦어질 경우 감소되었다. 7.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종실수량이 감소되었으나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종기가 2월 27일이어도 6~11%의 감수에 그치었다. 두산 22호에서는 12월 28일 이후 예취에 의하여 종실수량이 6~66% 감소되었다. 청예후 종실수량은 파종량과 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8. 제주지방에서 쌀보리와 맥주보리를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파종하여 10월 하순부터 2월 중순(맥주보리 12월 하순)까지 방목에 이용하여도 적절히 관리할 경우 관행재배와 비슷한 종실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