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영상번역수업에 학습자중심 교육을 적용한 사례 연구이 다. 학습자가 무엇에 관심과 흥미가 있는지 개인프로필을 조사하였고, ZOOM 소회의 실 기능의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최대한 높이고, 개별 피드백과 조별 피드백, 이클래스 LMS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소통을 활성화한 수업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한 학기 동안 학습자중심으로 설계하고 운영한 영상번역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강의평가와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이 직접 번역하고 교수자 의 피드백을 받고, 조별 활동의 토론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한 뒤 조별 완성본 을 제출하면서 수업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500원
        2.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critical because teachers play a pivotal role in students'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in schools. In particular, teachers' systematic class goal-setting practice is important for their performance outcomes such a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achers' engagement in class goal-setting activities using strategies derived from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DIE) framework as a systematic guidelin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variables: teachers' class goal-setting, their partnership with stakeholders, teacher effectiveness, and student satisfaction. By using Process analysis techniques to estimate the dual mediation model on data from 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1790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ystematic efforts for their class goal setting and student satisfaction was fully and sequentially mediated by teachers' partnership activities with the stakeholders and perceived teacher effectiveness. The findings propose the importance of teachers' systematic goal-setting strategies in their classes, which can be develop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leading to successful performance outcom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various indirect effects produced by teachers' engagement in class goal sett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s well as theoretical contributions for teachers are discussed.
        4,200원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코로나 19로 인하여 전면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안경광학과 재학생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질,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이 학습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0년 1월 18일부터 1월 29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20명 중 총 112명(남성 61명, 여성 51명) 재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관련된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는 반복수강이 31명(27.7%)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으며, 단점으로는 집중력 저하가 52명(46.4%)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년에 따른 수업의 질(p=0.047)과 온라인 수업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p=0.011)은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학습자의 수업의 질, 온라인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 학습자의 만족도는 각 변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수업환경으로 분석되었다(p=0.002). 결론 :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의 환경적인 요소가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의 화질, 음향, LMS 시스템 및 수업에 대한 공지 등 수업의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국의 안경광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대표할 수는 없지만, 코로 나19로 온라인 수업을 지속해야하는 상황에서 환경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학습만족도를 높여야 하겠다.
        4,000원
        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스트레스가 높다고 대답한 우리나라 서울지역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경험적으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3.0 및 AMOS 21.0을 사용하였다. SPSS 23.0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 설문지 척도 간의 다중 공선성을 검증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 설문지 질문의 신뢰성을 판 단하기 위한 신뢰도 검증이 실시되었다. AMOS 21.0에서는 요인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고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χ2 검정과 적합도 지수를 기본으로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입시 제도의 사각이라 할 수 있는 체육 교과 문제 해결 방안의 마련에 중요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4,600원
        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oking class on improvement of eating behaviors and satisfaction with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380 mothers during June to August, 2011. A total of 2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81.7%),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χ2-test were completed using SPSS (version 14.0) software. The children with cooking experience (52.7%) showed more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than children with no cooking experience (36.4%). Both types of children showed an ‘unbalanced diet’ with respect to eating habits.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an average of 3.84±0.62. The effects after cooking activities varied for different aspects of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Correcting unbalanced diet’ was 4.26±0.66, ‘nutrition knowledge’ was 4.06±0.70, ‘dining etiquette’ was 4.09±0.63, and ‘regular meals’ was 4.15±0.7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ith regards to correcting unbalanced diet with vegetables (p<0.01). Ages from 10 to 12 were able to improve unbalanced diet with ‘grains’ (p<0.001), while ‘Kimchi’ (p<0.05) and ‘paste’ for ages from 10 to 12.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ies are regarded as effective in correcting unbalanced diet and eliciting positive changes in eating behavior.
        4,000원
        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flipped class method implemented in a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tertiary level. The treatment variable of the experiment was a teaching method: a flipped cla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raditional class for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3 class sessions were completed. The model of the experiment was a nest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ositive affective experience, negative affective experience, class satisfaction, and language achie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positive experience during the treatment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negative experience decreased at the end of the class in both groups. Although the mean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of the negative experi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clas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language achievement on their final exam, while the control group’s mean decreased.
        6,700원
        7.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m a physical education course that satisfies interests of a learner by inquiring prefer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ur
        4,000원
        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followed by demographical features and satisfaction of class and relations between atmosphere and satisfaction to examine an effect of atmosphere of physical educ
        4,500원
        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utilization of Web materials among elementary teachers in P.E. class and their satisfaction in a bid to provide teachers and developers of materials with useful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P.
        5,400원
        1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eighty one elementary students that attend schools located in J city and S city in J province, distinguishing between whether they receive physical education from a specialized teacher, in order to identify
        4,800원
        11.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ort participation trends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ies.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information had gathered from
        4,500원
        12.
        2020.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aimed to not only analyze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but also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of life within the socioeconomic status where the elderly consider themselves to be an integral part. The elderly’s satisfaction in life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The correlations of objectiv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were also observed. For this purpose, the Korea Labor Panel 17th data (2014) was used to conduct a one-way batch distribu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the Korean elderly in terms of class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with a lowe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The relative influences were stronger than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much higher than the objective income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independent of the objective income level.
        13.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체육수업 중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가 수업 태도, 수업만족도 및 재미 거리와의 관계에서 내적동기의 매개역할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총 580명으로 중학생 248명, 고등학생 332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분 매개모형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 결과, 학생들이 지각한 케어링은 내적 동기, 만족도, 재미거리에 직접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내적동기가 지각된 케어링 분위기와 태도, 만족도, 재미거리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모형 적합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280.0, df=80, p<.001, Q=3.56, CFI=.964, TLI=.953, RMSEA=.067, RMR=.026). 본 연구의 결과는 자결성 이론의 주요 선행요인인 관계성 요인으로써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가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향상시켜 수업에 임하는 바람직한 태도의 유도는 물론,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임을 보여주며, 나아가 체육수업에 내재하는 재미거리 향유를 유도하는 주요 사회 환경적 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교사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 초등체육교육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으로 분류하였다. 교사 71명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987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는 체육전공학급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연구모형의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유형에서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고,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모든 교사유형에서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수업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초등교육에서 학급담임의 역할은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15.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으로 제작된 Cunningham(2007)의 신체활동 수업만족 검사지(PACSQ)를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맥락으로 제작한 검사지(PECSQ)의 내외적 구인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총 1,255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주성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체육수업만족 검사지는 8요인(건강/체력향상, 재미/즐거움, 숙달경험, 지도방식, 규준적 성공, 상호작용, 활력/이완, 인지발달)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녀 중고등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인구조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든 요인에서 만족 수준이 더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건강/체력향상, 숙달경험, 지도방식, 규준적 성공 및 인지발달 등과 관련된 만족 수준이 더 낮았다. 따라서 본 검사지는 내외적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 검증을 통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