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 four years (2020–2023), 305 traps were strategically placed across South Korea to collect data on Vespidae species. Our findings showed that Vespula flaviceps, Vespa crabro, and Vespula koreensis wer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pecies. Vespa velutina was also widespread, suggesting its successful integration into local ecosystems. The ARL analysis, using the “apriori” algorithm, identified significant co-occurrence patterns and potential interactions. The rules generated indicated both competitive and coexistent relationships with varying levels of association strength across different regions. Clustering analyses, including hierarchical and k-means clustering, grouped species based on their occurrence similarities. The distinct clusters formed in the analysis highlighted the unique ecological roles and interactions of V. velutina and other Vespidae species in South Korean ecosystems.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COX1) 유전자 염기서열(658 bp)을 사용하여, 콩 포장에서 채집된 어리팥나방(Matsumuraeses falcana)과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종을 실험실 집단의 종들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COX1 염기서열 분석에서, 어리팥나방 47개체 로부터 10개의 하플로타입이 발견되었고, 종내 유전적 거리는 0.15~0.46%이었다. 이중 하프로타입 A형이 약 70%로 우점형이었다. 팥나방의 30개체로부터는 모두 동일한 하나의 서열만이 확인되었고, 어리팥나방과의 종간 유전적 거리는 4.11~4.61%이었다. 두 종의 COX1 염기서열을 번역한 아미노산 서열은 모두 동일하여 동의적 염기서열 변이(동의치환, 同義置換, synonymous substitution)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 조사에 서 두 종의 유충이 콩의 잎과 꼬투리를 가해하였고, 한 포장에서 동시에 발생하였다. 전체 포장에서 어리팥나방의 평균 밀도는 팥나방보다 약 1.5 배 높았다. 이 결과는 콩이 두 종의 동일 기주임을 명백하게 제시하였다. 별도로 이 속의 유충 기생파리로서 Elodia flavipalpis (파리목: 기생파리 과)가 발견되었고, COX1 서열로 동정되었다.
        4,000원
        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환경정책과 산업은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 중심으로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의 유한자원으로서의 표토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바탕으로 보전예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제・국내 전문학술지의 검색 데이터베이스(Web of science)를 기반으로 최근 10년간의 연구논문에 대하여 VOSviewer를 이용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외 토양침식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국토면적 대비 토양침식 관련 논문 게재건수는 세계적으로 비교적 상위에 속하고, 특히 토양침식 제어와 관련된 연구가 외국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에서 는 기후・지형・토지이용 여건에 따른 토양침식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토양침식 제어에 관한 연구영역은 외국에 비해 키워드 수가 적게 나타나 연구항목을 보다 다양화・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토양침식의 프로세스와 이와 관련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토양침식에 따른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활발히 추진할 필요가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4,300원
        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제목은 짝수 개의 발굽을 갖는 포유동물로 다양한 종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로드킬 등의 급증과 산양, 사향노루 등 일부 종의 개체수 급감으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제목 관련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 우제목의 연구 동향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연구 동향 분석에 있어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은 연구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주요 단어들을 추출하고 단어들 간의 연관성을 정량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연구 주제의 분류에 있어 객관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우제목 연구 논문을 분석하고 국가별 연구 주제를 비교하여, 국내 우제목 연구에서의 부족한 점과 향후 필요한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국가별로 우제목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수집한 665편의 논문들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결과, 총 199개 단어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단어들에 대한 동시출현단어분석 결과 3개의 단어군이 형성되었다. 각 단어군에 포함된 단어들을 살펴본 결과, 단어군1은 “서식 환경/생태”, 단어군2는 “질병”, 단어군3은 “보전유전학/분자생태”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별로 각 단어군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중국과 일본은 비교적 고른 단어군 비율을 나타낸 반면, 한국은 “질병”과 관련된 단어군2의 비율이 69%로 상당히 큰 편중을 나타내었다. 연도에 따른 각 단어군별 단어수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3개의 단어군에 해당하는 단어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였지만, 한국은 단어군2의 증가율이 나머지 단어군의 5배 이상을 나타냈다. 국내 우제목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질병과 관련된 연구 위주로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며, 서식 특성, 행동, 분자생태를 포함한 연구는 매우 적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피해 조절과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야생 우제목에 대한 생태 연구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생태 자료를 축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4,000원
        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dentify key nations and bird species of conservation concern we described multinational collaborations as defined using network analysis linked by birds that are found in all nations in the network. We used network analysis to assess the patterns in bird occurrence for 10,422 bird inventories from 244 countries and territories. Nations that are important in multinational collaborations for bird conservation were assessed using the centrality measures,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Countries important for the multinational collaboration of bird conserva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ir centrality measures, which included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ies. Comparatively, the co-occurrence network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that reveal different biogeographical structures. A group with higher closeness centrality included countries in southern Africa and had the potential to affect species in many other countries. Birds in countries in Asia, Australia and the South Pacific that are important to the cohesiveness of the global network had a higher score of betweenness centrality. Countries that had higher numbers of bird species and more extensively distributed bird species had higher centrality scores; in these countries, birds may act as excellent indicators of trends in the co-occurrence bird network. For effective bird conservation in the world, much stronger coordination among countries is required. Bird co-occurrence patterns can provide a suitable and power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co-occurrence patterns and consequences for multinational collaborations on bird conservation.
        4,000원
        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asonal occurrence of two Tortricinae species, Adoxophyes honmai (Yasuda) and Homona magnanima Diakonoff, was monitored at persimmon orchard in Changwon city, Gyeongnam, using sex attractant traps in 2012 and 2013. During the monitoring, a number of Neocalyptis angustilineata (Walsingham) was attracted to sex pheromone traps of H. magnanima. For A. honmai, a blend of Z9-14Ac, Z11-14Ac, E11-14Ac, 10me-12Ac with the ration of 314, 623, 55, and 9 ㎍ respectively, was used. A blend of Z11-14Ac and Z9-12Ac in the ratio of 900+100 ㎍ was used for H. magnanima. A 1:1 blend of Z11-14Ac and Z9-12Ac (500+500 ㎍) was also used for N. angustilineata. The two-years’ monitoring revealed that A. honmai and H. magnanima occurred four times a year, and N. angustilineata did three times. The peak occurrence of each generation for A. honmai was the 2nd or 3rd week of May, the 1st to 2nd week of July, and 5th week of July to 1st week of August, and 2nd to 4th week of September for the 1st, 2nd, 3rd, and 4th generation, respectively. The peak occurrence of each generation for H. magnanima was the 3rd to 4th week of May, the 2nd to 3rd week of July, and 4th week of August to 1st week of September, and 4th week of September to 3rd week of October for the 1st, 2nd, 3rd, and 4th generation, respectively. N. angustilineata showed clear three peaks of the 5thweek of May to 1st week of June, from 4th to 5th week of July, and 1st to 3rd week of September for the 1st, 2nd, and 3rd generation, respectively.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N. angustilineata was attracted to sex pheromone traps of H. magnanima for the two years than H. magnanima was. H. magnanima was attracted only to the 9:1 blending ratio. However, N. angustilineata was attracted equally to both of the blending ratios.
        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정도부사 ‘좀’은 피수식어의 정도를 약화시킨다는 점에서 대표적이며 중국어 정도부사 ‘有點兒’과 통사적으로 비슷한 점이 많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좀’을 기준으로 중국어 ‘有點兒’과 대조하여 그 통사적 특성을 피수식어의 범주에 따라 피수식어와 공기할 때의 수식제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① ‘좀’은 형용사와 제약 없이 공기할 수 있지만 ‘有點兒’은 상태 형용사를 수식할 수 없다. ② ‘좀’은 일반적으로 일부 성상 관형사만을 수식하며 이런 성상 관형사는 중국어에서는 형용사로 표현된다. ③ 정도부사 ‘좀’은 일부 부사만 수식할 수 있으나 ‘有點兒’은 부정부사와 제한된 시간부사를 빼고 다른 부사와 거의 공기할 수 없다. ④ 체언의 수식에서 정도성을 나타내는 명사일 경우 ‘좀’은 ‘명사구+이다’의 형식과 같은 지정사 구를 수식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원칙적으로 정도부사는 직접 명사를 수식할 수 없지만 어휘 의미가 전환된 결과로 ‘정도부사+명사’의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⑤ 일부 동사도 ‘좀’의 수식대상이 된다. 이럴 경우 중국어에서 ‘동사+得+有點兒+형용사’의 형식으로 표현되면 더 자연스럽다.
        6,900원
        12.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부사’는 수의적인 문장 성분으로 쓰이는 까닭에 다른 품사에 비해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더불어 효율적인 교육 방안 또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호응 정보를 가지는 부정부사 ‘전혀, 별로’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와 실제 언어 자료(말뭉치)의 분석을 거쳐 초급 학습자를 위한 기본적인 호응 관계의 분포를 알아보고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용례를 말뭉치에서 추출하여 한국어 교육에 응용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