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

        10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잣나부 인공조임지의 식생과 임상 토질에 서식하는 날개응애류의 군집지수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다양도의 Shannon-Wiener index와 균등도지수는 조임년수가 경과할수톡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1월에 최고치를, 9月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종풍부경지수는 6월에 최고치를 5月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우점도지수는 조림연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고, 4월과 5월에 최고치를, 1월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집중도지수는 평균 1.9로서 집중분포를 나타냈으며, 조림연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고, 4월과 8월에 최고치를 1월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군집지수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풍부도지수와 Shannon-Wiener, 균등도지수는 I정의 상관관계가 우점도, 집중도지수와 Shannon-Wiener,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부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102.
        199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왕산국립공원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4개소에 조사구(각 l0×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24개 조사구는 DCA에 의해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생강나무군집, 까치 박달-당단풍군집, 그리고 고로쇠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삼림군집구조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충에서 소나무→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까치박달, 서어나무, 고로쇠나무로, 아교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당단풍, 생강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토지극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보였다.
        4,600원
        103.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신갈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5,500원
        104.
        199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백산 천동계곡 삼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조사구당 20×25m)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M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 ordination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환경인자와 식생과의 관계를 CCA기법으로 분석하였다. TWINSPAN 과 DCA에 의하여 4개 군집인 소나무군집, 굴참나무-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물푸레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교목상층군의 천이는 소나무→신갈나무, 굴참나무→물푸레나무로 추정되었다. CCA에 의한 ordination분석에서는 토양내의 pH. 유기물함량, Ca++함량, Mg++함량과 제 1, 2축과의 상관성이 인정되었고, 유기물, Mg++함량과 물푸레나무군집 그리고 pH와 소나무군집과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환경인자와 수종과의 관계는 명료하지 않았다.
        4,500원
        105.
        199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백산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500m2면적)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와 CCA를 적용하였다. DCA에 의해 군집은 4개로 분리되었고. 나뉘어진 군집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노각나무-서어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이었다. 환경인자와 조사지 및 수종과의 관계를 분석한 CCA에서는 토양환경이 변화되지 않은 2차 천이 초기단계를 나타내었다. 두 기법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에서 교목상층은 해발 800m이하에서 소나무→신갈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노각나무) 순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쪽동백나무, 생강나무→함박꽃나무, 참개암나무 순으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분석에서는 천이가 진행될 수록 수분과 유기물의 토양성질들이 양호하여졌다.
        4,600원
        10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계룡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허리노린재상과의 군집분석을 위한 조사를 1989년 8월부터 1990년 8월에 걸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조사된 허리노린재상과는 2과 13속 17종 이었다. 지점에 따른 개체수의 현존량은 논뚝에서 47.4%(13종), 초지에서 37.4%(13종), 관목지에서 15.2%(11종)이었다. 지대별 우점종은 논뚝에서 톱다리개미허리 노린재와 흑다리잡초노린재로써 우점도 지수는 =0.128, 초지에서는 우리가시허리노린재와 넓적배허리노린재로써 =0.141, 관목지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넓적배허리노린재로써 =0.199였다. 계절별 우점종은 봄에는 벼가시허리노린재와 붉은잡초노린재로써 =0.149, 여름에는 우리가시노린재와 넓적배허리노린재로써 =0.132, 가을에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로써 =0.386이었다. 다양도(H')는 논뚝에서 0.931이고, 초지에서 0.916이며, 관목지에서는 0.810으로 나타났다. 균등도(J')는 논뚝에서 0.836이고, 초지에서 0.800이며, 관목지에서는 0.778으로 나타났다. 군집유사성은 논뚝과 초지간에 비교적 비슷했다.
        4,000원
        107.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룡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노린재상과 군집분석을 위한 조사를 1989년 8월부터 1990년 8월에 걸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조사된 노린재상과는 5과 22속 34종 이었다. 지점에 따른 노린재상과 개체수의 현존량은 논뚝에서 45.4%(22종), 초지에서 37.6%(26종), 관목지에서 17.0%(20종)이었다. 지대별 우점종은 논뚝에서는 비단노린재와 가시노린재로써 우점도 지수는 =0.125, 초지에서는 가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로써 =0.183, 관목지에서는 억새노린재와 눈박이알노린재로써 =0.099였다. 계절별 우점종은 봄에는 가시노린재와 알락수염노린재로써 =0.207, 여름에는 가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로써 =0.115, 가을에는 가시노린재와 풀색노린재로써 =0.141이었다. 다양도(H’)는 논뚝에서 1.034이고, 초지에서 1.039이며, 관목지에서는 1.105로 나타났다. 균등도(J’)는 논뚝에서 0.770이고, 초지에서 0.734이며, 관목지에서는 0.849으로 나타났다. 군집유사성은 초지와 관목지 간에 비교적 비슷했다.
        4,300원
        10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대원계곡의 입지환경구배에 따른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89개소의 조사지(1조사구당 5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한 기법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lassification에 의하여 낮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으로. 습윤지에서 서어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고, 높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신갈나무군집, 습윤지에서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DCA기법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에서도 classification 분석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은 소나무→굴참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 순이었고, 해발고가 높은 지위는 신갈나무→층층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은 진달래, 개옻나무, 때죽나무→사람주나무, 나도밤나무, 대팻집나무→참개암나무, 당단풍, 함박꽃나무 순이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 분석에서 소나무군집과 굴참나무군집은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용량 등의 토양양료가 낮은 지위에 분포하고 신갈나무군집과 층층나무군집은 토양양료가 높은 지위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은 중간지위에 주로 분포하였다.
        4,600원
        109.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국립공원 화엄사계곡(해발 220-1,200m)과 피아골계곡(해발 500-1,225m)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에 의한 ordin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삼림군집구조를 분석비교하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화엄사계곡 30개 조사구, 피아골계곡 39개 조사구로 총 69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각 조사구의 크기는 20m ×25m로 500m2이었으며 흉고직경이 2cm 이상인 목본류만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화엄사계곡은 소나무군집, 서어나무류.졸참나무군집, 졸참나무.서어나무류군집, 신갈나무군집 등의 4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서어나무류.졸참나무군집은 졸참나무.서어나무류군집과는 달리 소나무가 부차적인 수종이었다. 피아골계곡은 서어나무류군집, 졸참나무.서어나무류군집, 신갈나무군집 등의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분리 환경인자는 2개 계곡 모두 해발고가 1차적인 요인이었다. 천이계열은 화엄사계곡에서 소나무 및 신갈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류, 피아골계곡에서는 신갈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류로 추정되었다. 화엄사계곡은 피아골계곡보다 인간의 간섭정도가 비교적 심했으며, 극상림으로의 천이진행정도가 비교적 심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4,300원
        111.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4,200원
        112.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야산 국립공원과 홍류동 및 치인지구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의 정량적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40개의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에서 최종적으로 8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건조형군집은 소나무 및 잣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습윤형은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습윤형은 다시 표고에 의해 구분할 수 있었으며 낮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졸참나무가, 높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DCA에 의한 ordination결과는 제1축에서 소나무가 우점종인 군집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TWINSPAN의 제1 division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DCA의 제1축과 토양수분, 토양산도, 표고, 최대종다양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각군집간에 매우 낮은 값이었으며, 각 군집의 종다양성분석에서는 각 군집의 우점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개체수와 종수와의 관계는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수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였다.
        4,600원
        113.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Upo wetland was identified, and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evaluated. In addi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current and literature data, ecological changes over time were evaluated for each wetland. Bentho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in March, June, and September of 2020 and 2021, and 4 phyla, 5 classes, 16 orders, 42 families, 81 species and 3,406 individuals were identified.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 of Upo wetland, predators were dominant with 34 species (45.95%) and 1,504 individuals (41.84%). In the habitual dwelling group, sprawlers and swimmer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Average biological indices in Mokpo and Upo were the highest and lowest, respectively, and it is considered that Mokpo maintains the healthy ecosystem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stability was high in Upo, and other wetlands are thought to be stabilizing. The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s considered to be more suitable index among three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indices for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of Upo wetland. The evaluation results on changes in environmental quality showed that Upo has stable ecosystem without significant change, Mokpo and Sajipo have significant increases in some indices.
        11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nalyze main factors of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that were created as part of development of a rural area, the present condition of factors deciding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was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size planning by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were drawn with Delphi ana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ize planning factors of community facilities show that facilities have been generally planned as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facilities. And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facilities, their functions and organization, and their operation programs,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community-centered, agritourism-centered, and combined ones. Using Delphi analysis, major factors that could affect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drawn on 26 community-centered, 28 agritourism-centered, and 30 combined. And the factors tended not to be applied well for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11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7개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교사의 피드백 발화는 Kim(2014)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피드백 유형 중 ‘수용하기’와 ‘초점화하기’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용하기’는 학습자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학습촉 진을 모두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며, ‘초점화하기’는 학습자들이 개념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해결 촉진을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다. 특히 ‘초점화하기’는 일반 수업에서 피드백을 분석 한 선행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유형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핵심으로 생각하는 ‘점프과 제’ 및 ‘연결 짓기’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칭 찬하기와 격려하기는 가장 낮은 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1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 marginal village.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43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f 50 or less, the classification of a marginal village in accordance with advanced research and 47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ver 50 in Buyeo-gun region. The common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suggested by advanced research is a characteristic of a village or decline and extinction of a village rather than a simple index of population or aging rate. Therefore,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the village would be caused by decline a function of communities consisting of the villagers. The study then assumed that the relatively low or 0 number or rate of participants would result in community functions. The study conducted t-test on basis of population and aging rate and an analysis to find the range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mmunities, participants and the rate of the participants, etc.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munity function began to decline when the population was less than 60~70 and the aging rate over 75%~85%. As th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egan in population of 70, the critical point was met when the population was 40 or less.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 young and the old group communities became extinct or showed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a village, a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would b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ut there was no further analysis on decline or extinction of a village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re shall be further studies about whether a village of population of 40 or less is led to decline of a function or extinction of village communities.
        11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 price can be affected by convenience or psychological repulsion like PIMFY (Please In My Front Yard) or NIMBY (Not In My Back Yard) for various facilities. Services related to public establishment, welfare, medical attention,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are comparatively poorer than those in urb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lications of the accessibility to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areas for land prices using a hedonic price model. The accessibility to facilities is estimated by real road distances and the land prices are applied for four types of land usages: field, rice paddy, building lots, and village halls. Community facilities are classified from public and community services view: education, safety, culture, transport, environment, health care, and fin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and transport can positively affect land prices and the accessibility to environment (waste facilities and junkyard) and unpleasant services (funeral hall and charnel house) can negatively affect land prices. Especially, the accessibility to hospital is the most positive influential factor for all types of land usages.
        11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recent decades,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and resources have been invested to promote community vitalization and develop areas that are suitable for gardening in close proximities to cities. Frequent occurrences and wide-spread public events based on the gardening theme today such as garden show are prominent examples of such social tendencies. However contrarily to popular beliefs, such efforts have been very marginally realized in rural areas, in which tools and natural elements necessary for growing and cultivating plants are already in place. In reality, production-oriented life-style in modern rural society has degraded recreational aspects of living standards of rural habitants. And thus, implementation of the gardening space holds important merit and is a necessity to vitalize community in rural areas. In this work, we performed an extensive survey on rural community resting area garden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established since 1990s. In particular, we look into garden elements of whether functionalities of such facilities are adequate to provide suitable gardening spaces. This manuscript consists of two major parts (1) identifying constituent elements for gardens and (2) analysis of garden elements in existing community resting areas for its conversion to a community garden. Ultimately, identifying necessities for gardening and finding proper locales are two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implementation community garden in rural areas. As the result, rural community resting area is proper to community garden because most of them has a good accessibility. But garden elements improvement such as flower bed except for convenience facilities and plants planning for four season garden is needed for improving the resting area.
        120.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hanogenic community shift and comparison were determined by 454 pryosequencing for two different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treating municipal sludge. For monitoring long-term of microbial communities, samples were collected for two year at three-monthly basis. The two mesophilic AD bioreactor were operated at similar operating conditions, but different substrate streams. Methanospirillum were identified as the key drivers of methanogenesis in full-scale anaerobic digester treating municipal sludge. In Joongrang (JR) digester, Methanospirillum was dominant (48%±10.3) over almost all period, but the dominant genus move to Methanosaeta and Methanoculleus due to low acetate concentration (0.02 g/L), tot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respectively. In Asan digester (AS), Methanospirillum also was dominant (41%±12.6) like JR digester, but methanogenic community shift was examined twice. One of those was from Methanospirillum to Methanophaerula due to pH sharply decrease (<5.5) and second shift was Methanosaeta increase due to low VFAs concentration (0.25 g/L).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