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 to use omni-channel services on mobile devices in fashion stores and the effects of such usage motivation on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omni-channel services during shopping for 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asked 413 consumers to rate their brand purchase intention. Sub-levels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 25.0,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19.0. In addition,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mixed. First, only two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greate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brands that provided omni-channel services than it did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of the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utilitarian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modified model, while social motivation did not affect service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Finally, our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oyalty can be built by encouraging service commitments through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based on the usability of omnichannel services.
        4,900원
        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오늘날 사회 경제 전 분야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 기업들도 종업원들의 조직에 대한 충성도 제고와 유지관리에 필요한 HR정책을 실행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소속 조직에 대한 몰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현재 중국 근로자들의 임금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임금만족의 4요인과 근속몰입의 관계를 검토한다. 개념 간의 관계들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설화되었으며, 중국 산동성에 소재를 둔
        4,900원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의 요인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임금 정책, 성과에 기초한 평가, 정보공유, 고용안정유지 정책이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과 유지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가정하였다.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다루어온 연구들은 기업의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이 종업원의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고 전략에 적합한 행동과 성과기준을 달성하도록 하는 과정을 가정해 왔다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