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rneal curvature, corneal topography, and non-surgical in refraction correction surger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orneal curvature and shape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ersons (60 eyes) who underwent refractive surgery and 30 non-surgery persons (60 eyes) who had no systemic or eye disease over the age of 20. The research method measured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curvature in two groups using an autorefractor-keratometer, measured curvature by area of the cornea using corneal topography, and compared refractive surgery eyes and non-surgery eyes. Results : In area-specific corneal curvature, the plan for refractive surgery was 8.48±1.05 mm in area A (0~1.5 mm), 8.49±1.58 mm in area B (1.5~4.5 mm), 8.19±1.87 mm in area C (4.5~7.5 mm), and 7.93±2.87 mm in area D (7.5~10.0 mm). In non-surgery procedures, the corneal curvature by area was 7.65±0.82 mm in area A, 7.77±1.56 mm in area B, 7.70±2.27 mm in area C, and 7.88±3.42 mm in area D. Conclusion : A side effect of refractive surgery,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data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cornea while using an Autorefractor-keratometer and a corneal topography as prior tests. Key words : Corneal topography, Keratometer, Refractive surgery
        4,000원
        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in childhood myopia. Methods: The average age of 9.92 ± 1.08 years Children 50 people(24 males and 26 females) were evaluated for refractive error with an automatic refractometer, Pentacam was used to measure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Results: The mean total spherical diopter was -2.43 ± 1.39D and astigmatism diopter was -0.75 ± 0.66D, horizontal radius of curvature was 7.88 ± 0.23mm, vertical radius of curvature was 7.67 ± 0.23mm, corneal astigmatism -1.18 ± 0.56D, diameter was 11.75 ± 0.47mm, eccentricity was 0.55 ± 0.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pherical diopter(t=-0.357, p=0.722), corneal astigmatism (t=1.410, p=0.162), eccentricity(t=0.627, p=0.532) in male and female, astigmatic diopter(t=2.097, p=0.039), horizontal radius of curvature(t=2.397, p=0.018), vertical radius of curvature(t=2.685, p=0.009), diameter(t=2.157, p=0.03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pherical diopter(t=-0.952, p=0.343), astigmatism diopter(t=1.260, p=0.211), horizontal radius of curvature (t=-0.596, p=0.553) vertical radius of curvature(t=-0.495, p=0.621), corneal astigmatism(t=0.662, p=0.509), diameter (t=-0.411, p=0.682), eccentricity (t=0.080, p=0.937) between in male and female. Conclusions: Male and female were significant different astigmatism diopter, horizontal radius of curvature, vertical radius of curvature, diameter in childhood myop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eye and left eye.
        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정상안에서 주시거리에 따른 각막의 곡률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조절기능이 정상인 평균 연령 14.45±8.23세인 132안(6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가상주시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원거 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 굴절력과 중심부 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각막곡률의 측정값은 강주경선과 약 주경선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연령에 따라 그룹 1(10대)과 그룹 2(20대)로 나누어 각막곡률의 변화 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들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그룹 1과 2에서 -1.03±1.12 D와 –1.35±0.98 D 이었다. 원 거리에서 근거리를 주시할 때 강주경선의 각막 굴절력은 그룹 1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p<0.05), 약주경선 의 굴절력과 강주경선의 방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룹 2에서는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각막의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굴절력, 그리고 강주경선의 방향 모두 변화가 없었다(p>0.05). 결 론: 20대는 조절에 따른 각막의 변화가 없었고, 10대는 각막 강주경선의 굴절력이 더 높게 변하는 경 향을 보였다.
        4,000원
        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GP 및 Soft 콘택트렌즈 착용자 28 병쓸 대상으로 콘태트렌즈 착용 후 l 년 동안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 및 눈물의 변화도를 알아보았다.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데이터분석은 디옵터굴절력을 디옵터꿀절력매트릭스로 변환시키고 단변량 및 다벤량 통계분석을 하고 3차윈 h 벡터 공간에 선뢰영역을 도시하였다. 각막곡률의 평균변화도는 :RGP 착용군에서 주로 h:j 성분이 플랫하게 변화되며 1 년후에는 수평성분도 플랫하게 변화되었고. Soft 착용군에서는 착용초기 플랫하게 변하다가 1 년후에는 약간 스티프해지는 변화를 보였으나, 착용전후 각막곡률의 평균 에 대한 3 변량 가설검증 결과 두 그둡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젓으로 나타났다 (w (FO.1J5. :l. 11 :1). 굴절이상노의 평균변화£는 RGP 착용군에서 hl 및 h:l 성 분이 착용전과 비교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 (0.05) , Soft 착용군에서는 유 의 힌 차이 가 없었으며. 3 변 량 가설 검증- 션과 두 그룹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 <' FII,o:i ‘ n ']). 각막곡률의 변화와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RGP 착용군에서 h,~ 성분만 낮은 상관관계틀 보였다 (p < 0,(5).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은 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보다 평균값에서 길게 측정 되었으나 똥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 는 TBUT 방법과 NIBUT 방법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태트렌 즈 l 년 착용군의 TBUT 검사에 의한 눈불박 파괴시간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 으며 몽계회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5). 따라서 RGP 렌즈뜰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각막굴절력 및 각막난시도의 감소와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및 원주성분이 감소될 것이며, 콘태트렌즈 착용에 의하여 눈 물이 불안정해진다고 생각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