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high-level waste disposal systems, colloids generated through the chemical erosion of bentonite buffers can serve as critical mediators for the transport of radionuclides from the disposal environment to the biosphere. The stability of these colloids is influenc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roundwater. According to DLVO theory, the Critical Coagulation Concentration (CCC) is the ionic strength at which the total repulsive force between colloids is either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attractive force. At ionic strengths lower than the CCC, electrostatic double-layer repulsion outweighs van der Waals attraction, forming a repulsive barrier between particles. Conversely, at ionic strengths higher than the CCC, attractive forces dominate, leading to particle aggregation. To investigate the CCC of bentonite colloids, this study focused on Ca-type WRK bentonite. Colloids separated from a ten g/L bentonite suspension underwent centrifugation (1,200 g for 30 minutes) and dialysis (3,500 MWCO) to produce colloid samples. After adjusting the ionic strength from 0.1 mM to 10 mM,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aggregation time for approximately 20 days. Rate constants, calculated based on variations in ionic strength, were used to interpret the observed results. The experimental outcomes revealed that the CCC value for WRK bentonite colloids was an order of magnitude lower with CaCl2 than with NaCl. This suggests that Ca ions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colloid stability,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longterm safety of high-level waste disposal systems.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rrigation with saline water of rivers and groundwater reservoir into paddy field cause decreases rice production depending on water salin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critical concentration of water salinity for provision of a basic information on the stable rice production in west costal area of Honam region. A greenhous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13 levels of saline water [0.01(control) 0.03, 0.05, 0.08, 0.10, 0.13, 0.15, 0.20, 0.25, 0.30, 0.50, 0.70, 1.00%] in transplanted rice using c.v. Cheongho and tolerance to different water salinities was evaluated at three growth stages of the rice plant such as [(35 DAT:Tillering), (81 DAT:Heading), and (106 DAT:Ripening)], respectively. Increasing water salinity significantly decreased grain yield and the higher in salinity the severe effect on yield reduction. The growth responses to water salinity vari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rice. At 35 DAT, increased water salinity decreased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significantly. Higher water salinity delayed the days to heading by 2 days (0.05%), 4 days (0.08%) and 7 days (0.1%). The critical water salinity at 35 DAT was below 0.08%. At 81 DAT, Cheongho survived at 0.10 and 0.08% salinity, respectively. However, at water salinity levels above 0.10%, the yield components such as number of panicles and number of spikelet decreased drastically. Thus, it was suggested that the critical water salinity at the mid-stage (tillering~heading, 81 DAT) was 0.05%, At 106 DAT, based on yield index that gives above 50% grain yield, the 0.05% salinity showed the lowest 61.1% grain yield of 19.2 g/plant as compared with the highest grain yield of 31.4 g/plant at 0.01% (control).
        4,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factant can be used as a cosmetics and chemical dispersants. The variation of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with temperature for N-eicosyl pyridinium bromide over the range 40℃ to 60℃ has been measured by drop methods. Thermodynamic quantities for micellization of N-eicosyl pyridinium bromide in water have been calculated by polynominal equation.
        4,000원
        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40mg·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딸기 신품종인 '매향'을 Ca 농도를 조절한 관비용액으로 재배하면서 결핍증상의 특징과 결핍증상을 유발하는 건물중 및 생체즙액내 한계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Ca 결핍증상은 신엽에서 발생하였고, 신엽의 엽맥 부분이 갈변하는 증상과 함께 신엽이 기형화되면서 선단부가 괴사하는 증상이었다. 정식 후 120일에 지상부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엽수, 엽장, 엽병장,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mM과 6mM 시비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고, 3mM 이하나 9mM의 칼슘 농도에서 생장량이 적어 2차곡선회귀가 성립하였고 경향이 뚜렷하였다. 식물체당 건물중 4.9g에서 2차 곡선회귀의 정점이 형성되었으며(y=2.4026+1.0209x-0.09852, R2=0.3546***), 최대 생장량의 90% 이상 생장량을 최저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식물체당 약 4.4g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해야 하며 건물중에 기초한 Ca함량이 1.6~2.25%의 범위에 포함 되도록 시비량을 조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체중도 Ca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y=9.273+4.882x-0.42452, R2=0.4935***), 식물체당 239에서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 이상을 확보하려면 엽병 추출액의 Ca 농도가 63~79mg·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Ca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과 유처리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N-octadecyl pyridinium bromide를 사용하여 온도 40~60℃ 범위에서 적하법을 이용한 임계미셀농도를 적용 미셀형성에 따른 열역학적 특성(자유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열용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유에너지 변화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과 유처리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인 hexadecyl pyridinium bromide를 사용하여 온도 40~60℃ 범위에서 임계미셀농도를 적하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미셀형성에 따른 열역학적 양을 다항식으로 계산하였다.
        3,000원
        1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t which micelles start to form from a surfactant solution is usually measured in terms of conventional concentration units. However, the thermodynamic potentials are expressed in terms of mole fraction XCMC and XCMC cannot be directly measured experimentally. The Gibbs free energy, δG*mic, in particular is related to XCMC through δG*mic = RTlnXCMC. When it comes to CMC, the molar CMC, CCMC, differs only by the proportionality C-1w with Cw being the molarity of water. Hence, CCMC is found to be a proper representation of CMC. However, in calculation of δG*mic and other thermodynamic potentials from the CMC, XCMC or CCMC/Cw should be used.
        4,000원
        1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 염농도별(저염; 0.1-0.2%, 중염; 0.3~0.4%)로 분얼기 관개수 염수처리 농도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짧았고 주당경수도 적었으며, 특히 중염 토양에서 관개수 염농도 0.3% 이상에서는 모두 고사되었다. 나.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출수는 지연되었으며, 토양 염농도간에는 중염 토양에서 저염 토양보다 2-5일 정도 늦었다. 다. 간장은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중염 토양이 저염 토양보다 짧았으며. 수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라. 저염토양에서는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m2 당립수가 적고 등숙비율이 낮아, 쌀수량은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관개수 0.l%는 92%, 0.3%는 84%, 0.5%는 56%, 0.7%는 36% 수준이었다. 중염토양의 쌀수량은 저염토양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민물 관개는 62%, 0.1% 관개수에서는 30% 수준이었다. 따라서 관개수 염농도가 저염 토양은 0.7%, 중염 토양은 0.3%까지 생육은 가능하나 수량 감소가 커서, 소득지수로 볼때 간척지 쌀 생산 한계 관개수 염농도는 저염 토양은 0.5% 이하에서, 중염 토양은 민물 관개수에서 가능하였다.
        1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itical nitrogen concentration (Nc), which is defined as the minimum % N in shoots required to maintain the maximum growth rate of top dry weight (W) at any time, was determined for rice plant. Using two rice varietal groups, japonica varieties and an indica ~times japonica "Dasanbyeo", 18 data points fulfilling the statistical criteria for determining Nc were obtained through eight N-fertilization experiments over two years at Suwon (37~circ 16'N), Korea. Nc dilution curve for each variety was obtained by fitting the Nc-W relationship to power function. However, The critical nitrogen curves for the two variety groups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us, a Nc dilution curve was fitted for the Nc data points pooled over the two variety groups and proposed in rice as: Nc=4.08, where W<1.73 t h a-1 , Nc=5.197 W0.425 3/ (R2 =0.964), where 1.73 t h a-1 <W<12 t h a-l . The Nc for W<1.73 t h a-l were estimated as a constant value of 4.08%, the mean value of the maximum N concentration for N-limiting condition and the minimum N concentration for N non-limiting condition. The model for Nc is applicable to diagnosing the nitrogen nutrition status during the rice growth period from emergence to heading stage. The Nc curve well discriminated the 144 data points between the N limiting and the N non-limiting groups regardless of varieties, cultural methods, and years.-limiting groups regardless of varieties, cultural methods, and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