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되고 있는 난각을 건조(80℃) 및 회화(1,000℃) 처리하여 칼슘 소재화하고 이의 농도(0.5, 1.0, 2.0%)를 달리하여 절단배추에 처리하여 polyethylene(PE) 지퍼백에 넣어 5℃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선도유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난각 칼슘 소재의 칼슘 함량은 회화처리(ESP-2)가 건조처리(ESP-1)보다 2배 가량 높은 값(51.86%)을 나타내었다. 난각 칼슘 소재는 citric acid 수용액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ESP-2가 ESP-1보다 용해도가 높았다. 절단배추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의 측정 결과, ESP-2 0.5% 처리구에서 중량감소율, 적정산도, 가용성 고형분 및 색차의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평가결과 각 처리구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ESP-2 0.5% 처리는 절단배추의 단기 저장 시 선도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2.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단 배추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알아보 기 위해 배추(3×3 cm)를 PP film, OPP film, LDPE film백에 각각 넣은 후 5℃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0.03~0.24%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 분 함량은 0.03~0.2°Brix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 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PP film과 OPP film 포장구의 증가율이 낮았다. 색도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포장재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포장재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관상 품질 특성은 PP film 포장구가 다른 포장보다 우수하였다. 따라 서 투명한 PP film으로 절단배추를 포장하여 저장 및 유통 하는 것이 선도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3.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용 절단배추의 선도유지 및 갈변 방지 목적으로 질소 치환 및 세라믹 칼날에 의한 절단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 5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NC 처리구의 중량변화 와 갈변도가 적게 나타났다. 질소 치환과 세라믹 칼날의 사용에 의한 절단 공정의 개선이 절단채소의 선도 유지와 갈변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shelf-life of cut cabbage kimchi, we examined the sev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under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ing materials. The pH of kimchi extracts were decreased to 4.0 in the condition of storage at 8 during 6 days, at 4 during 18days, 0 during 42 days. The increase patterns of the organic acid were reverse to the changes of pH under the all condition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were continuously decreased at 8 , but increased gradually at 0 and 4 storage conditions. The contents of vitamine C were decreased at the early storage but increased to optimum ripening stage of pH 4.2-4.4 and after decreased continuously. The total bacterial cell counts of cabbage kimchi were increased suddenly at the early storage and after decreased gradually. And at the higher storage temperature, the more lactic acid bacteria were. O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cabbage kimchi at marketable shelf-life, sour taste and sour smell were significant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 the above all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marketable shelf-life of cut cabbage kimchi were 42 days, 19 days, 6 days at 0, 4, 8 storage conditio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