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fashion salespeople in department stores, and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prosocial behavior. Moreover, we aimed to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prosocial behavior of salespeople as a strategy to obtain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fashion distribu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34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department store salespeople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dissonance of salespeople arose from their dealings with their organization and with customers. Prosocial behavior was deduced to be a factor of the cooperation with coworker and extra-role customer servi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deduced to be a factor of the us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others'emotion appraisal. Second, with a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the organization, there was less cooperation with coworker, while a higher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customers resulted in increased cooperation with coworker. Third, it appeared that with a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the organization, there was a higher utilization of use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others'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as the regulation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were higher, there was more cooperation with coworker, whereas an increase in the utilization of one's own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extra-role customer service. Finally,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for department stores to improve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ir sales staff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method to enh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aff.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department stores to prepare a systemic tool to enable them to select people with a high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when recruiting salespeople.
        4,800원
        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rketers commence to use types of brand alliance strategies including co-branding. Many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strategic performance of the co-branded credit card or loyalty programs. The introduction of the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successfully increases revenues and expands the market shares for both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in Taiwan.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co-branding strategy to extend market share for both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retailing industry in Taiwan, it is worth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whether or not consumer’s affective loyalty to the bank and/or consumer’s affective loyalty to the department store will influence his/her attitude toward the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which in turn influence his/her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or apply for the co-branding credit card.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what factors determine 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and/or to apply for the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he Internet Website from December 8, 2013 to January 30, 2014. A total of 444 valid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two-stage procedur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in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those who had applied for the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consumer’s affective loyalty to the bank and consumer’s affective loyalty to the department store indeed exert positive impacts on his/her attitude toward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which in turn influence his/her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the co-branded credit card. In addition, for those who did not have the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consumer’s affective loyalty to the department store can induce his/her attitude toward department store co-branded credit card, which in turn influences his/her intention to apply for co-branding credit car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both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retailing industry are also provided in this study.
        4.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대 남여를 중심으로 수도권 백화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쇼핑행태에 영향을 주는 고객동선으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 및 선호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내 동선을 유도하는 수직 동선의 디자인은 백화점 매출이나 운영 방식 등에 활용되며 많은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남성고객의 경우 백화점을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기 때문이며, 교통편은 버스를 이용하고 가장 많이 구매하는 매장은 남성의류이며, 백화점을 쇼핑하는 행태는 주로 쇼핑할 매장이 있는 층을 바로 찾아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쇼핑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에스컬레이터를 주로 이용하며, 현재 주로 사용하는 반대방향 에스컬레이터지만 여기에 불편함을 느끼고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고객의 경우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다와 쇼핑하기가 편한 것이며, 교통편은 지하철을 이용을 하며 여성의류매장이 주소비매장이다. 여성의 쇼핑행태는 쇼핑을 즐기는 이유로 인해 1층부터 차례대로 한 층씩 둘러보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자주 이용하는 에스컬레이터는 현재 상태인 한쪽방향에스컬레이터를 이용했으나. 남성과 마찬가지로 그에 불편함을 느껴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소비행태는 남성의 경우 주된 타겟형 소비이며 여성의 경우 주된 목표가 있더라도 일단 전반적인 매장 디스플레이를 돌아보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쇼핑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만 양방향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욱 대형화되고 이벤트화 되는 백화점 실내공간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입체적 디자인 개념과 프로그램의 적용 그리고 휴식공간 및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Considered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existing building for extending underground parking lot. Pile installing methods at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pile cap connection between pile head and existing foundation and static pile load test is accomplished.
        10.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화점 화훼 공간장식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소비자와 VMD 및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거나 월 소득이 높을수록 화훼장식에 의해 상품 구매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 시 시각적 우선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오브제 및 장식을 중요 요소로 꼽았으며, 소비자의 경우 매장 표지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화훼장식이 오브제 및 다른 장식과 결합될 경우 고객들로부터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훼 공간장식이 상품 구매의욕과도 관련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 공간장식이 백화점 분위기 조성에 매우 기여하고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내 soft sculpture를 활용한 국내외 디스플레이 사례를 조사하여 아트마케팅으로서 백화점이라는 장소에 적용 했을 시 판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외 사례를 비교해 우리나라 백화점 디스플레이 현황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백화점 디스플레이는 대체로 단순하고 상품진열 위주에 소품으로써 섬유조형물을 접목 시키는 반면, 국외의 여러 나라들은 화려하고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 연출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국외의 백화점들은 아트적인 요소를 접목한 오브제들로 주제가 있는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매장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하여 각 백화점 이미지를 강하게 어필하고 있지만 국내의 백화점은 스토리보다는 상품진열 위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 같은 경우는, 한 가지 컨셉을 가지고 윈도우와 전체적인 실내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통일시켜 점의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이미지를 어필하기에는 비쥬얼적인 요소가 약하고 연출방법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장의 단순한 상품 진열의 시대가 가고 VMD의 개념도입으로 디스플레이도 이제 판매촉진의 방법 중 하나로써 다양한 재료사용과 기법이 요구되는데, 우리나라의 백화점은 아직 그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섬유 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감으로 연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섬유를 활용하기 보다는 다른 재료들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oor space is not just functional mean, it is watched with deep more concern as ecological and emotional design. Designed and executed indoor theme garden in Yawoori department store, 20 ages were major customer, with objective on differentiation of it's image. The inner side of department store is not suitable for plants growth, but establishment period is relatively short with 3 months. Its results of establishing indoor garden, all customer, clients, and employee were satisfied, and its accompanied effectiveness on event of department store. Therefore, indoor garden has potential for generation of images , and visitor or customers's amenity. And it also makes possibility of coexistence human with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