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4

        201.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mple, rapid and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is described for the detection of Sulfonamide and Tetracycline residues, i.e., Sulfamerazine (SMR), Sulfamethazine (SMT), Sulfamonomethoxine (SMM), Sulfadimethoxine (SDM), Sulfaquinoxaline (SQN), Oxytetracycline (OXY), Tetracycline (TC), Chlortetracycline (CTC). Blank control and sulfonamide and tetracycline fortified fish muscle samples (0.5 g) were blended with octadecylsilyl (C,e, 40 gm, 21% load, 60Å) derivatized silica packing material (2 g). Blended fish samples were washed with hexane, then, benzene and dichloromethane were used for the elution of tetracycline and sulfonamide, respectively, The eluants containg tetracycline and sulfonamide were analyzed by HPL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andard curves for individual sulfonamide and tetracycline isolated from fortified samples were linear (0.9993±0.0003-0.9997±0.0003, 0.9493±0.078-0.9753±0.036), respectively, The average percentage recoveries of sulfonamide and tetracycline ranged as 80.86-96.52% to 85.88-92.23%, and 30.01-37.12% to 65.89-73.40%, for the concentration range (0.1--1.0 ppm) examined, respectively. Limit of detection for sulfonamide was 0. 05 ug/g, then, tetracycline was 0.1 ug/g. Detection of quantitation of sulfonamide residue was 0.0012 ppm for SMR in Paralichthys Odiuacleus and 0.0020 ppm for SMR, 0.015 ppm for SMM in Cyprinus Carpio.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cedure is demonstrated by separation and detection of incurred tetracycline and sulfonamide residues in fish muscle tissue.
        4,000원
        202.
        199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dict the oil-spill dispersion in marine waters, the oil-spill dispersion model based on Lagrangian particle-tracking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Kwangyang and Jinju Bay. The tidal current movements to be required as input data of the oil-spill dispersion model were obtained by a two-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Evaluation of tidal current movements using mean tide was successful. Modell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obtained at spill site. There were some descrepancies between modeling results and field data. However, the general pattern of modelling results was similar to that of field data. Provided the real-time tidal currents and more accurate wind data are supported, more favorable results can be obtained.
        4,200원
        203.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outline, the stability of solid/liquid dispersion was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matter from all angles by using the modified DLVO theory. The stability was handled various considerations such as a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double layer, total interaction(VT) that consisting of attractive force(VA) and repulsion(VR). coagulation, the stability ratio(W), critical flocculation concentration (cfc) and zeta potential(ξ) etc. It was possible for us to examine with the stability ratio(W), critical flocculation concentration (cfc) and zeta potential(ξ) that may estimation of stability of solid/liquid dispersion experimentally.
        4,200원
        204.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g-Zn-Ce계 합금에서 비정질 단상 및 hcp-Mg입자분산형 비정질합금이 20-40%, Zn, 0-10%Ce과 5-20%Zn, 0-5%Ce 의 조성범위에서 각각 생성되었다. 초미세 hcp-Mg입자분산형 Mg85Zn12Ce3비정질합금은 급속응고 또는 급속응고리본의 열처리에 의해 Mg입자의 입경을 4-20nm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었으며, 이 범위에서는 밀착굽힘이 가능할 만큼 충분한 인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합금의 최대인장강도(σB)와 파단 연신율(εf)은 hcp-Mg입자의 체적분율에 따라서 670-930MPa, 5.2-2.0%의 범위였으며, 최대 비강도(σB밀도 =σs)는 3.6 × 105N · m/kg에 달하였다. 이와 같이 Mg입자분산형 비정질 합금의(σB), (σs)그리고 εf의 최대치가 Mg-Zn-Ce계 비정질합금(690MPa, 2.5 × 105N · m/kg, 2.5%)보다 월등하게 높다는 것은 주목할 만 하다. 복합상 조직이 형성됨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동일 조성의 비정질상보다 강한 hcp과포화 고용체의 분산강화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고찰되었다.
        4,000원
        205.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kinds of powders and dispersed nuclear fuel meats have been prepared by conventional comminution process and a newly developed rotating disk atomization process. In contrast to angular shape and broad size distribution of the conventionally processed powder, the atomized powder was spherical and showed narrow size distribution. For the atomized powder, the heat treatment time for the formation of by a peritectoid reaction was reduced to about one tenth, thanks to microstructure refinement by rapid cooling of about 5104 K/s. The extruding pressure of atomized powder and Al powder mixture was lower than that of comminuted and Al powder mixture. The elongation of the atomization processed fuel mea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mminution processed fuel meats and remained over 10% up to 80wt.% of powder fraction in the fuel meats. It appears therefore that the loading density of in fuel meat can be increased by using atomized powder. The atomized spherical particles were randomly distributed, while the comminuted particles with angular and longish shape were considerably aligned along the extrusion direction.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xtracti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atomization processed fuel meats was appreciably higher than that of comminution processed fuel meats. This tendency became pronounced as content increased. Because the thermal conduction which is believed to be proportioned to the electrical conduction in the nuclear fuel meats occurs in radial direction, the atomization processed fuel can be better used in research reactors where high thermal conductivity is required.
        4,000원
        206.
        199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und Calcium Carbonate, among paper coating pigments, will influence less dispersant demand, less binder demand, increase coating solids from 58% to 70%, which means high speed coating, less shrinkage during drying, less energy consumption, more uniform coverage of fibers. The quality point of view of Ground Calcium Carbonate, brightness, particle size,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rdness, impurities content are important. More important factors of Ground Calcium Carbonate which influence the paper coating process are dispersion mechanisms and their effects. The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nd Calcium Carbonate dispersion by sodium salt of polyacrylate dispersant composition and dispersion condition. Basic tests such as physical, optical and chemical were perfumed, and dispersion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 of dispersant affected the dispersion effects, and the Ground Calcium Carbonate has critical dispersant demand.
        4,000원
        207.
        199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ability to the dispersion solvent, which is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benzene, chloroform and acetonitrile-benzene(1:1,v/v) of N-docosyl pyridinium)-TCNQ(1:2)complex was investigated by U.V Spectrophotometer and was confirmed stabilized on acetonitrile, the dichloromethane and acetonitrile-benzene (1:1,v/v) for seven hours. Using CdCl2buffer solution as subphase for LB films deposition, it was achived successively to fabricate the Y-type LB films of (N-docosyl pyridinium)-TCNQ(1:2)complex. For the sake of verifying the deposition of LB films, U.V is measured by variation of nominal layer number.
        4,000원
        208.
        1988.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9.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ablish initial response scenarios for nuclear accident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s, the potential for radionuclide diffusion was estimated using numerical experiments and statistical techniques. This study used the numerical model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and FLEXPART (Flexible Particle dispersion model)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wind field and radionuclide dispersion, respectively. The wind patterns observed at Gijang, near the plants, and at meteorological sites in Busan, were reproduced and applied to estimates of seasonally averaged wind fields. The distribution of emitted radionuclide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and synoptic wind patterns over nuclear power plants. Since the terrain around the power plants is complex, estimates of radionuclide distribution often produce unexpected results when wind data from different sites are used in statistical calculations. It is highly probable that in the summer and autumn, radionuclides move south-west, towards the downtow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has clear limitations in that it uses the seasonal wind field rather than the daily wind field.
        2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 ion is an essential mineral of animal feed. But rapid degradation of Cu ion in animal intestine causes poor immune activity and potential environment hazard. Therefore, to enhance immune system and control metal ion deliverly in intestine, we developed Cu ion nano suspension. In animal feed, > 127 ㎎/g of Cu ion are found but only 5 - 7 ㎎ are used out of them. Therefore, huge loss of Cu ion causes environment, economy and animal health problem. Methods and Results : Seven formulation were prepared to prepare nano suspension (particle size < 200 ㎚) of CuSO4. The particle diameter, polydispersity index, and zeta potential value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laser Doppler methods (ELS-Z1000; Otsuka Electronics, Tokyo, Japan). Absorbance and Cu i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Cu ion nano particle (< 200 ㎚) was found in a formulation comprised of Cu ion : surfactant (lipophilic : hydrophilic) and PEG. In consistence with this result, total absorbance and concentration was found higher in the same formulation compared to control. Conclusion : From our experiment we may conclude that mixture of Cu ion : surfactant (lipophilic : hydrophilic) and PEG successfully prepared nano suspension which slow down the degradation of Cu ion in intestine with improving feed quality, animal health and prevent potential environment pollution.
        21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ximum bond strength of PCS-coated rebar with ultra high-early strength cement and EVA at polymer-cement ratio of 80%, curing ages of 7-day, and coating thickness of 100㎛ is about 1.32 and 1.38 times respectively, the strength of uncoated rebar and epoxy-coated rebar. It is also high bond strength at coating thicknesses of 75㎛ and 100㎛ compared with 150㎛ and 250㎛. It is apparent in this study that the coating thickness is very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bond strength of PCS-coated rebar to cement concrete.
        21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ximum bond strength of PCS-coated rebar with ultra high-early strength cement and EVA at polymer-cement ratio of 80%, curing ages of 7-day, and coating thickness of 100㎛ is about 1.32 and 1.38 times respectively, the strength of uncoated rebar and epoxy-coated rebar. It is also high bond strength at coating thicknesses of 75㎛ and 100㎛ compared with 150㎛ and 250㎛. It is apparent in this study that the coating thickness is very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bond strength of PCS-coated rebar to cement concrete.
        213.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에서 흐름방향 유속의 횡분포식에 기반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를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이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전편 “I. 흐름방향 유속의 횡포식”에서는 SKM을 도입하여 삼각형 단면수로에서 횡분포식을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본 논문의 후편 “II. 종분산계수”에서는 전편에서 유도된 유속의 횡분포식을 기반으로 1차원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개발된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검증하기 위해 전편과 동일한 하천에서 수행된 추적자 농도 실험 결과를 이용한 관측 종분산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종분산 계수식을 기존의 식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의 차별점 및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무차원 종분산계수는 무차원 횡확산계수에 반비례하고, 하폭 대 수심비의 제곱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Manning의 조도계수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에서 흐름방향 유속의 횡분포식에 기반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를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이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전편 “I. 흐름방향 유속의 횡포식”에서는 Shiono-Knight Model (일명 SKM)을 도입하여 삼각형 단면수로에서 횡분포식을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본 논문의 후편 “II. 종분산계수”에서는 전편에서 유도된 유속의 횡분포식을 Fischer (1968)의 삼중 적분식에 대입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본래 SKM은 Navier-Stokes 방정식을 근간으로 개발되어 주로 직선수로이면서 사다리꼴 단면이나 복단면 수로에 적용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행으로 인한 최심선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삼각형을 단면형상으로 가정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를 검증하기 위해 자연하천에서 실측된 유속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도된 횡분포식을 이용하여 단면평균유속을 산정하고, 이를 Manning의 유속식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론식은 비록 유속의 횡분포를 경우에 따라서 섬세하게 재현하지는 못하더라도 조도계수를 포함한 몇 가지 기본적인 수리 및 지형자료만 측량한다면 유속의 관측없이 비교적 정확한 유속분포를 산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21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evaluated fluidity properties on the performance of fiber dispersion of basalt fiber in mortar matrix as part of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to fiber reinforcement mortar using basalt fiber. Results of assessment, fiber dispersion performance of of fiber reinforcement mortar using basalt fiber, showed that viscosity agen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uidity and fiber dispersion than superplasticizer.
        21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분화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는 백두산 화산이 폭발적으로 분화(噴火:eruption)하는 경우, 백두산에서 분출되는 대량의 화산재는 대기 중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을 기점으로 백두산으로부터 약 500km 떨어져 있는 우리나라는 화산 분출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화산재/오염물질의 간접적인 피해 영향권 내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약 천년전과 같은 대규모 화산분화가 발생될 때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에 따른 종관 기상장의 영향으로 대기 중에서 이류, 확산, 침적을 통한 화산재의 비산과 낙하로 인한 지역적인 장·단기 영향이 나타나거나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예상되며 우리나라 상공으로 확산된 화산재는 항공기 운항 및 해상 운송 등과 관련된 관광산업을 비롯한 농축산업, 환경 분야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분화를 가정할 때,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화산재로 인하여 우리나라가 영향을 받게 될 피해 예측을 위하여 화산재 및 오염물질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화산재 피해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화산재에 대한 취약함수를 기반으로 화산재에 의한 직접적 피해액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 피해액을 추정하였다.
        21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화산재의 인간 건강에 대한 영향 및 그에 대한 종합대응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 백두산은 천년전에 대규모의 폭발이 있었으며 현재도 폭발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백두산 화산은 중국과 북한의 국경에 위치하여 남측까지 약 500 km 떨어져 있지만 백두산 화산이 대규모로 분출하는 경우 직접적인 피해는 주로 북한과 중국에 있게 될 것이지만 화산재가 확산하여 생기는 다양한 문제는 남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백두산 화산분화에 대한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중이다. 일반적으로 화산재를 이루고 있는 물질 중 오염된 미세한 분진은 대기 중에 머무르고 있다가, 인간이 접촉하게 되면 호흡기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화산재 확산에 의한 보건 관리 종합대응의 분야를 질병을 유발하는 개인에 대한 건강 영향, 의료기관을 포함하는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문제, 보건의료시설/보건의료장비/의약품/관련 인력을 포함하는 보건의료자원 관리 문제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관리 지침 도출을 통하여 종합적인 대응책을 세우도록 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종합 대응책은 화산재 농도와 건강 영향과의 관계에 대한 본 연구자들의 연구를 포함한 최근의 연구에 기반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가능한 화산재 확산 시 보건관리 종합대책을 제안하게 되었다.
        21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두산은 그동안 화산활동이 정지된 화산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전문가들에 의하여 백두산이 화산활동중인 활화산임이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분화의 전조들이 나타나고 있는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한반도의 영향 여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화산재 확산 가능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화산정보의 조기 제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기상청은 날씨를 예측하기위하여 슈퍼컴퓨터를 사용, 단기 및 주간예보를 위해 19종의 수치예보모델을 하루 약 100회 이상 현업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장기예측, 기후변화 관련 모델들과 연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수치예보모델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 중 지역예보모델(UM, 12kmL70)의 공간 해상도는 12km이며, 연직으로 약 80km까지 70층으로 구성되며, 3시간 간격으로 전지구 예보모델로부터 경계장을 제공받아 1일 4회(00, 06, 12, 18UTC) 87시간 예측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화산재의 이동 경로 및 tephra ground load/ thickness, airbone ash concentration 등을 추정하기위하여 현재 한국 기상청에서 수치예보모델로 사용되고 있는 UM 모델에서 생산되는 기상요소들을 Fall3D모델에 실시간 입력 자료로 사용하는 화산재 확산 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1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 분화 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화산재 확산 피해에 대해 화산분화지역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역의 공간적 피해를 시뮬레이션(WRF 및 FALL3D)을 통해서 예상피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화산재 확산 가시화를 수행한다. 화산재해의 공간적 피해를 정량적으로 계산한 결과 값의 집합체(NetCDF)를 이용하여 Fall3D방식에 의한 화산재 확산모형을 표현하고 확산을 표현하기 위해 전처리된 확산 모델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3차원으로 표현하고 가시화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화산재의 확산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단위영역별 농도표시법, LOD적용방법, 적층레이어 효과 등을 사용하여 최적의 가시화 방법을 찾았다. 시도된 방식 중 LOD적용은 고농도 부분은 화산재 격자의 개수를 많게 표현하고 저농도에서는 화산재의 개수를 적게 표현하여 현실감을 극대화 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현실적인 시각화를 위해 느슨한 옥트리(Loose Octree) 표현방식을 사용하여 LOD기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인 가시화 방식으로 선택한 적층레이어 표현 방식은 입자총농도(CON)내에 포함된 레이어(10개~ 61개)를 적절한 간격으로 선택하여 적층 가시화하고 투명효과를 적용하였다. FALL3D의 시뮬레이션 방식이 단위면적당 농도값을 나타내는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파일이 고용량(1GB이상)이므로 가시화를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표출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22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상이한 화산재의 인간 건강에 대한 영향 및 그에 대한 종합대책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화산재를 이루고 있는 물질 중 오염된 미세한 분진은 대기 중에 머무르고 있다가, 인간이 접촉하게 되면 호흡기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화산재 확산에 의한 보건 관리 종합대책의 영역을 질병을 유발하는 개인에 대한 건강 영향, 의료기관을 포함하는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문제, 보건의료시설/보건의료장비/의약품/관련 인력을 포함하는 보건의료자원 관리 문제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관리 지침 도출을 통하여 종합대책을 세우도록 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종합대책은 화산재 농도와 건강 영향과의 관계에 대한 본 연구자들의 연구를 포함한 최근의 연구에 기반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능한 화산재 확산 시 보건 관리 종합대책을 제안하게 되었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