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eavage pattern, its developmental ability and apoptosis of porcine embryo in vitro. Morphology data on a total of 919 embryo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ty-eight hours after insemination, embryo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ased on the cleavage state as follows; 1 cell, 2 cell, 4 cell, 5 to 8 cell and fragmentation. These groups were cultured another 120 hours and then evaluated for blastocyst formation.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4 cell (42.5%) and 5 to 8 cell (48.6%) cleaving groups than in other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2 cell and fragmentation groups produced 4.9% and 3,9% blastocysts, respectively. And we could verify that in the event of 2 cell block and fragmentation of embryo. To analyze the apoptotic frequency in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orcine IVF embryos, all cells of each blastocyst were performed by TUNEL assa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total cell numbers of embryos and apoptotic cell rate in blastocysts among the each classified groups. Data suggest that 4 cell and 5 to 8 cell cleaving embryos at 48 hour after insemination have high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may be an useful parameter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embryos and to study using preimplanation embryonic research.
        4,000원
        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에서 횡방향 균열은 초기의 온도와 습도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횡 방향 균열의 폭과 간격은 하중전달효율 및 펀치아웃과 같은 포장공용성에 직접 관련된다. 또한,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에서 균열폭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뿐만아니라 소위 특성 온도변화 시점으로 정의되는 "제로-스트레스 온도"에 의존한다.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의 양호한 장기공용성을 위해서 횡방향 균열은 매우 작은 폭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초기재령 에서 온도제어는 이를 위한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이브프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온도를 예측하였으며 현장실험을 통한 실측온도와 비교하고 균열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첫째, 실측온도는 0.2~4.5℃의 범위에서 예측온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한 콘크리트 온도예측을 위해서는 수화특성치로 고려되는 활성화 에너지와 단열온도상수가 입력변수에서 정확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콘크리트 타설 후 24시간 이내의 온도는 오후에 비하여 오전에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온도는 정오에 타설된 온도에서 발생되었다. 마지막으로 재령 12일에 조사된 균열발생률은 오전에 타설된 구간에서 25% 증가되고 그 만큼 균열간격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최대 콘크리트 온도는 균열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콘크리트 온도제어는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의 양호한 공용성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