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생태계는 일련의 속성들을 통해 자연생태계와는 구분이 되며, 도시 안에서 인간의 영향력 때문에 자연계와는 다른 도시만의 특별한 생태계와 종조성을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생물군집들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는 제한적이다. 여러 도시생물 중에서 개미는 종수와 개체수가 많아서 채집과 조사에 편리가 있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히 반응하며 다년성 서식지(perennial nest)를 유지하기 때문에 교란된 환경의 회복이나 생태계 교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시에 존재하는 모자이크 형태의 다양한 서식지에 서식하는 개미 조사를 통해 도시화가 개미군집 구조에 미치는 생태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12개의 조사지점(9개의 토지이용 유형)에서 52종의 개미가 기록되었고, SOM(self-organizing map) 분석 결과 12개의 조사지점은 3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구분된 각각의 클러스터들은 개미군집과 서식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 결과, Tetramorium tsushimae 주름개미는 도시공원, 경작지 그리고 노지와 같은 서식지(open habitat)를 Proceratium watasei 와타세침개미는 상록수림과 같은 서식지(forest habitat)를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도시화는 외래종을 포함한 침입종(Linepithema humile)에 의한 교란 또는 서식지간 균질화(homogenization)을 유발하여 원래 고유한 개미군집의 규모나 종다양성을 변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추후 도시생태계 질(Quality of urban ecosystem)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개미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aquaculture industry was generally began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increased. Now, the number of households is about 7,068 and the scale of an aquaculture farm is about 248,014 ha; the value of all production in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1602.2 billion won.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valuable and important for future food resources.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was damaged by several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The Ascdiella aspersa colonized on the shell of scallop and then scallops were detached from rope. The patterns of damage in the aquacultures were observed in Tongyeong (oyster), Geojedo (oyster), and Gangneung (sea squirt) in June, 2017, as well as in Tongyeong (oyster) in November, 2017 by SCUBA divers. The species Halichondria bowerbanki, Bugula neritina, Mytilus galloprovincialis, Balanus amphitrite, Ascidiella aspersa, Ciona intestinalis, Didemnum sp, Styela plicata in Tongyeong, M. galloprovincialis, A. aspersa, C. intestinalis, D. vexillum, S. plicata in Geojedo, and M. galloprovincialis in Gangneung were all usually found in their farms.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gave rise to a reduced number of aquaculture products.
        4,000원
        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for wild flora and agricultural production. The introduction of bumblebees into greenhouses for pollination has become widespread in recent years and demand increases annually. Bumblebees give farmers the opportunity to decrease their pollination labor costs and offer a good crop yield,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 Colonies of the large bumblebee Bomus. terrestris have been imported into many countries. There has been some anxiety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B. terrestris. Here,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ounder bumblebee queens that were collected between 2000 and 2012 in Korea, and we show th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bumblebee species, B. terrestris and B. ignitu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s results, a total of 13,130 overwintered bumblebee queens were collected at 63 locations from 8 provinces; the collected bumblebees consisted of five species of native bumblebees (Bombus ardens, B. ignitus, B. hypocrita spporoensis, B. ussurensis and B. consobrinus wittenburgi) and one species of exotic bumblebee (B. terrestris). The dominant species were Bombus ardens Smith and Bombus ignitus Smith, which accounted for 7,462 (56.8%) and 3,725 (28.4%) of the collected bumblebees, respectively. As a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the founder bumblebee queens that were collected, B. ignitus was the most common (9.8%-78.5%), followed by B. ardens (9.8%-66.1%), B. hypocrita spporoensis (0.9%-31.4%), B. ussurensis (0.8%-22.2%), B. consobrinus wittenburgi (0.1%-3.8%) and B. terrestris (0%-1.1%). In indoor conditions, interspecific, cross-mated queens of B. ignitus or B. terrestris produced offspring but did not create a colony, and when a hybrid male B. terrestris copulated with a virgin queen of B. terrestris, the queen oviposited but did not initiate a nest. Further study of interspecies hybridization and its development will ultimatel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cological impact to native bumblebees.
        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천에서 가뭄으로 인해 나타나는 갈수현상 을 단기간의 유량의 감소로 모사하여 수질 및 부착돌말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인공수로에서 분석하였 다. 아크릴로 제작한 실내 인공수로에 부착돌말 인공기질 로는 슬라이드글라스를 설치하고, 부영양 저수지의 표층 수를 유입시켜 실험수로 이용하였다. 실험기간 중 부착돌 말 군체형성기 동안 모든 실험군의 유량은 6 L min-1, 이 후 유량감소기 동안 각 실험군의 유량은 NDF(No depletion of flow rate (Control): 6 L min-1), LDF (Low depletion of flow rate: 3 L min-1), 그리고 HDF (High depletion of flow rate: 1 L min-1)로 설정하였다. 유량감소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16일간의 실험기간 동안 유입수와 배출 수의 수온,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pH, 탁도, 부유물질, 영 양염 및 Chl-a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부착기질의 Chl-a와 AFDM(ash free dry matter), 그리고 부착돌말류 의 조성과 세포밀도를 1일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광도는 처리 유량이 적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했다(F=229.5, p= 0.000). NH4-N는 NDF보다 HDF에서 현저하게 높은 농 도를 유지하였다. 유입수의 SS 농도(100%) 대비 배출수의 SS 농도는 HDF에서 88%로 감소하였으며 LDF (97%)와 NDF (99%)에 비하여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기질의 Chla는 NDF에 비하여 유량감소 처리군에서 약 2배 이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8.399, p=0.001). 또한 기질의 AFDM과 부착돌말류 총밀도는 NDF에 비하여 두 처리군 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9.390, p=0.001; F=6.088, p=0.007). 실험기간 동안 대조군과 처리군 모두에서 Aulacoseira ambigua, Achnanthes minu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등 총 3종의 부착규조류가 총 밀도의 10% 이 상을 보인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제1 우점종인 A. ambigua 는 LDF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HDF, NDF순 으로 생물량이 낮았다(F=8.551, p=0.001). 본 연구 결과, 인공 하천생태계에서 가뭄(갈수) 효과는 수질과 부착돌말 류 현존량에 유의한 변화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부착돌말 류 현존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실제 하천에서 가뭄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자 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