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visual images, i.e., static images versus dynamic images,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Eighty-four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One of the experimental groups utilized static images, and the other group, videos as dynamic images in vocabulary learning.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definition or the explanation of each target word in L1. The results of the study manifested that the static image group showed higher scores for the post test than the dynamic image group.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 affective tests demonstrated that the static image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confidence in language learning and the dynamic image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of all three areas: interest, confidence, and aroused motivation. The analysis of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showed that many participants in the static image group tended to use pictures as retrieval cues to remember vocabulary.
        6,3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smart device applications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fficulties in English. Five 6th grade students who needed remedial instruction were selected and given 50 hours of instruction using English vocabulary flash cards in a smartphone application. one hundred vocabulary words were chosen and developed for flash cards for the students to examine their intellectual and emotional changes in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vocabulary improved in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It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gained 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their anxiety decrease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was easy and convenient for the students to use, especially in recognizing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words. This study recommends further development and use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instruction.
        7,000원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진 초등학생 대상 영어어휘지도방법 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초등학생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2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어휘 지 도 방법, 어휘 제시 방법, 활용 자료 유형에 따라 구별되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도 방법에 있어 암시적 지도 방법과 명시적 지도 방법 은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두 지도 방법의 효과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두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시적 지도 방법을 우선에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제 시 방법에 있어 그림 활용, 번역 활용, 맥락 활용 제시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 였고 특히 번역 활용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활용 자료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맥락 적 자료와 탈맥락적 자료 활용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점차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