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개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지지,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1.0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및 일원 변량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 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환경적 요인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환경적 요인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는 개인 환경 적 요인,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개인 환 경적 요인 및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 다.
        8,900원
        2.
        202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 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데이터(2019)를 활용하여 이동 보조기기 이용하는 신체장애 인의 심리적 요인인 장애수용, 우울,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요인인 활동제한, 주거환경, 일상생활의 의존성이 삶의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신체장애인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하였고, 신체장애인의 이동 보조기기 이용 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하였다. 신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장애수용, 우울, 자아존중감, 활동제한, 주거환경, 일상생활의 의존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피 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동 보조기기를 이용하는 신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 보조기기의 만족도에 대한 백분율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결과 :이동 보조기기 사용 여부에 따른 두 집단의 비교에서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신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주거환경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1), 우울, 활 동제한, 일상생활의 의존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이동 보조기기를 이용하는 신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 향을 주는 요인은 나이(ß=-.122, p<.001), 장애수용(ß=.263, p<.001), 우울(ß=-.288, p<.001), 활동제한(ß=-.181, p<.001), 주거환경(ß=.102, p<.01)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이동 보조기기를 이용하는 신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능에 맞는 이동 보조기기를 선택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4,5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is changing rapidly, and the demands of customers (diversity and the cycle of change etc.) are getting shorter.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companies are forced to adopt an agile management environment. In particular, non-face-to-face channels, including MTS, is adopting the agile system into the digital finance sector from a company-wide and strategic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TS services’ environment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for MTS users who are rapidly increasing under the agile management environment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This study surveyed the quality of service environment (accessibility, convenience, design, secur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for 350 MTS users. First,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ecurity of MTS service environment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design was rejected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ird, convenience and security of MTS service environment qua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and accessibility and design were rej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with demographic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MTS activation studies and securities firms’ strategies.
        4,200원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민의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는 도심지 공원의 중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인구 밀집으로 인한 공원 이용객의 증가는 도시공원 내 범죄 발생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원 내의 범죄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경찰청통계, 2012). 특히 최근에는 시체유기와 같은 강력범죄 또한 증가 하고 있는 실정으로, 사회적 관심 공간으로서 재조명되고 있다(김석진과 박미량, 2013). 이에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 예방설계(CPTED)기법 5원칙(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 성, 활용성, 유지관리)이 적용된 공원설계 지침 등이 등장하였으며, 이 같은 범죄예방설계 기법이 조경 설계 및 공원설계에 적용됨에 따라 최근 범죄예방설계의 적용 및 실증분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원의 범죄예방설계 연구로는 기존 도시와 건축물에 적용되던 범죄예방설계를 공원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계선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공원 내 실효성이 있는 범죄예방설계를 제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다. 반면 공원 중 규모가 큰 소공원이나 근린공원의 경우 안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가 높아 공원 내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과 비상벨 등 다양한 범죄예방설계 요소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어린이 공원의 경우 범죄예방설계 관련 연구가 다소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어린이 공원의 경우 사회적 약자의 이용이 잦기 때문에 더욱이 안전성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범죄예방설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실사용자의 설문을 통해 요구도와 이용자평가를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범죄예방설계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린이 공원의 범죄예방설계 적용 및 관리를 위한 보완사항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어린이공원의 사용자 설문을 위한 대상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어린이공원 12곳을 선정하였으며, 설문지의 경우 리커트 척도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체크리스트와 이용자평가 를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와 이용자평가는 범죄예방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자연적 감시 7문항, 접근통제 및 영역성 6문항, 활용성 7문항, 유지관리 3문항으로 20문항이었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통해 요구도 분석과 이용자평 가를 진행하였다. 이용자 평가를 통한 범죄예방설계의 요구도 분석결과 자 연적 감시의 경우 휴게공간과 놀이 공간의 시야 확보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로등에 의한 빛 차단에서 가장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접근통제 및 영역성의 경우 CCTV의 사각지대가 가장 요구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지름길의 유・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용성의 경우 휴식공간의 그늘 조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생태성 증진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유지관리의 경우 공원의 청결한 환경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 내 잡초 관리가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용자 평가의 경우 자연적 감시에서 시야 확보가 가장 잘 되어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가로등의 빛 차단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접근통제 및 영역성은 공원경계의 명확성이 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음주 및 흡연 통제가 가장 안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활용성의 이용자 평가 분석결과 휴식공간의 그 늘 조성이 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조경요소의 만족도 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지관리의 경우 시설물의 유지 관리가 잘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공원의 청결성이 결여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현장평가에서도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
        5.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vel of urbanization in China has reached 53.73% in 2013, indicating a tremendous progress on the urbanization of China.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villages in China reduces by around one million from 3.6 million in 2000 to 2.7 million in 2010 (Zhang, 2014). Issu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of China appear, including the imbalance between increased population and limited resources in urban region, and more significantly, the increasing disparit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Chinese researchers interpret and analyse these matte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 instance, Zheng (2006) and Ma (2006)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ublic service. Wu (2006) advise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Wen (2005) proposes that the improvement of social institution and the recover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re required to achieve sustainability in the urbanization process in China. Previous studi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put quality of life, attachment to place, and residence satisfaction at the cent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habitants and their neighborhood of residence. However, there are gaps in this research realm in both practice and theories. Firstly, very limited research studies this environmental psychology issue in China (e.g. Mao, Fornara, Manca, Bonnes, & Bonaiuto, 2015). Secondl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the causal order between quality, attachment, and satisfac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PREQ),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s not reached a consensus. The debate on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has been summarized by Bradya and Robertson (2001). They conclude that the quality to satisfaction causal order holds up well across diverse cultures. However, relevant debate is still ongoing. A number of research articles place satisfaction as an antecedent to attachment, e.g. Chen, Dwyer, and Firth (2014); Lee, Kyle, and Scott (2012); Ramkissoon and Mavondo (2015); etc. Some argue that place attachment is an indicator of satisfaction. Kyle et al. (2004)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the perceived values of tourists and find that place attachment is an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variance of perceived values. This is supported by research e.g. Hwang, Lee, and Chen (2005); Prayag and Ryan (2012); Yuksel, Yuksel, Biljm (2010); etc.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attachment, the debate has not stopped. Through comparisons, Mesch and Manor (1996) conclude that the residents who give a higher evaluation of the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may have greater place attachment. Brown, Perkins, and Brown (2003) also suggest that the residents who agree that the street environment is better would attach to this place. Sam, Bayram, and Bilgel (2012) have cer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place attachment. Furthermore, Borrie and Roggenbuck (2001) and Walker and Ryan (2008) fi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environment would affect their affection toward the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ith the nature environment is, the stronger the attachment would be, which in turn, enhances the intentio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is quality to satisfaction relationship is supported by other research such as Bonaiuto, Aiello, Perugini, Bonnes, and Ercolani (1999); Grisaffe and Nguyen (2011); Yu, Chen, and Chen (2015); etc. Nevertheless, a different opinion arguing that attachment to a place may affect one’s perception on the quality related to a place is emerging in tourism research (e.g. Neuvonen, Pouta, & Sievänen, 2010). This paper takes the credit of quality → attachment → satisfaction causal order as the initial model and proposes three hypotheses as follows. H1a: One’s PREQ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attachment to this place; H2a: One’s attachment to a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satisfaction to the environmental settings in this place; H3a: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performs as a mediating role between PREQ and environment satisfaction.To be noted, the initial model has its theoretical basis as discussed above but is not necessarily the absolute optimal model. Relatively, this model provides more theoretical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specific research context: residential psychology in urban and rural areas of China. On this basis, this article further examines a competing model illustrating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constructs (satisfaction → attachment → quality). Relatively, another group of hypotheses in this competing model is listed as follows. H1b: One’s attachment to a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PREQ; H2b: One’s satisfaction to the environmental settings in this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attachment to this place; H3b: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performs as a mediating role betwee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PREQ. A survey approach is employed and data are collected from several backgrounds. Dataset A (rural) is collected from three villages from Heilongjiang Province and two villages from Shandong Province in China from July to August 2014. The choices of the provinces, rural areas, and the sampling process are random. 490 valid questionnaires a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Dataset B (urban) i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portal, which allows a nationwide sampling reach. In total 1368 online survey entries are recorded and 420 valid questionnaires are included, resulting in a valid rate of 30.7%.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are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is from Sam, Bayram, & Bilgel’s (2012) development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in this study is adopted from Kyle, Graefe, and Manning’s (2005) and Chen, Dwyer, and Firth’s (2014) evaluation based place attachment dimensionality and scales. As for the scale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lletier, Legault, and Tuson’s (1996) measure was applied. All the entire variables adopted multiple-item, 5-point Likert scales were adopted, where “1” indicated “strongly disagree” and “5” indicated “strongly agree”. After pre-testing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urvey instrument, a revised version was developed. This study adop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s (PLS) modeling given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explorative purpose of this study (Dijkstra & Henseler, 2015a). The software used was Smart PLS 3.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s were assessed. Cronbach’s alpha and the value of CR of each construct were found to exceed the cut-off value of 0.70 (Fornell & Larcker, 1981), except for adequacy of education which is close to 0.70 (only for Cronbach’s alpha but not for CR). Furthermore, the AVE of each construct exceeded the variance attributable to its measurement error cut-off value of 0.50 (Chin, 1998; Fornell & Larcker, 1981). In addition, heterotrait-monotrait ratio (HTMT) is recommended as a better method to test discriminant validity (Henseler, Dijkstra, Sarstedt, Ringle, Diamantopoulos, Straub, Ketchen, Hair, Hult, & Calantone, 2014).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either value of the HTMT higher than the threshold of 0.85 nor confidence interval containing the value one, indicating that all the constructs exhibit satisfactory discriminant validity. The hypothesized effects in the theoretical model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first group of models tested the effect of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rough place attachment i.e. initial model (Model A, Model B, Model C), while the second group of models tested the reverse effect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through place attachment (Model D, Model E, Model F). Both the full model and the multi-group model were tested. The value of SRMR of the full model that tests either the effect of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RMR = 0.104, t = 41.826, p < 0.001) or the reversed effect (SRMR = 0.106, t = 37.736, p < 0.001) shows that the models fit the data quite well (Dijkstra & Henseler, 2015b). However, the former is little bit more significant. In this study, PREQI is found different impacts on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a similar mechanism of studying residents’ psychology with SERVEQUAL model. However, the model testing i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 samples, indicating a systematic difference in the psychology of rural and urban populations. Quality  attachment  satisfaction causal order is found significant and supported by both samples in this study. However, a reversed causal order model (satisfaction  attachment  quality) is also supported by the samples. Although the results may not be able to end the debate on alternative models between PREQ,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rom a specific context (urban and rural China) for further research. Specifically, PREQ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lace attachment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in China. As for the impact of place attachment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ndirect impact of PREQ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influence is more significant in cities of China compared to rural areas. This suggests in the urban areas in China, affective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lives play an important role to residents. Local government in cities should balance between improving and maintaining quality of the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local residents’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place. Governments i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should lay great focus on the physical aspects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nature, health, education, commerce, and venture of the rural areas, to enhance residents’ liv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Furth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Although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framework of “perception-affection-attitud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management, consider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e future study could bring the individuals’ behaviors or intentions into this model such as willingness-to-pay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t will also benefit from reviewing more literature on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4,000원
        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suggests critical and specific decisive variables that affect general service quality of the products in family restaurants, considering features of services in which consumption and production happens simultaneous by collecting the raw data through point of sales. It also analyses the factors and helps to offer them practical strategies by providing managers of the restaurants and marketers with empirical viewpoints based on the research. Generally, family restaurants need their own physical environment and are required to encourage customers to revisit themselves by maintaining pleasant environment as well as, considering space for customers and for employees' working routes and effective maintenance of the facilities. The result of the study also tells that even if the unimportant factors did not affect much on the restaurants, management over these factors can be a differentiated strategy for competitive advantage over the other businesses.
        4,000원
        7.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use behavior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a park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on park satisfaction among 7 parks in Suseong-gu, Daegu. The data from the 255 questionnaires of young adults (30-59) and old adults (more than 60) who use the park more than once a week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erms of park use behavior, young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jogging mainly on weekday evenings, while old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rest mainly during weekday daytimes. In addition, old adults used the park more times a week than young adults, and spent more time in the park. I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park,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both age groups but overall, old adul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ark environment than the young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t was determined that park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amenity', 'use convenience', 'facility suitability', and 'landscape diversity'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park satisfaction for old adults has an influence on 'use amenity', 'facility suitability', and 'use convenience' in this or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data for future park planning considering age groups.
        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perceived risk,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this, we separate consumer with two groups that one is the experienced, the other is the not-experienced. Four factors is respectively adopted in perceived value and risk wi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hasizing the value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important to the not-experienced. And to decease the risk is more effective to the experienced for activating market.
        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제여객터미널 대합실의 환경요소와 감정, 만족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본으로 출국 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방식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통계처리 는 SPSS 18.0을 이용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결과 첫째, 대합실의 물리적 환경요소는 감 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합실의 사회적 환경요소는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요소는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장 소의 특성에 따라 환경적 요소들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또한 환경적 요소는 감정을 매개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관광객들의 감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국제여객터미널과 관련된 주체는 대합실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광객들의 이용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환경마련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1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해양건축물 또는 워터프런트 개발계획에 있어 특히 워터프런트에 입지하는 주거단지 계획에 역점을 투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기존 워터프런트 주거단지의 거주환경 만족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통일 주거단지 내에서도 각층별, 방위별, 위치별 쾌적성에 대해 분석하여 가장 선호하는 층, 방위 위치 통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만족도의 순서는 남향, 남동향, 동향, 남서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향, 남동향의 선호 경향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 응답자의 67%이상이 향보다는 외부로의 조망이 좋아야 한다고 응답하여 워터프런트 주거단지에 있어서는 조망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경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안벽형 워터프런트, 호안형 워터프런트 덴 하천형 워터프런트의 세가지 Type의 경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고층부 경관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저층부 경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