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 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1, 0∼80%) 및 추출 시간(X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 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 μ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 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 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 노이드 함량은 3,145 μg/100 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 (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 μg/100 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2.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coffee extraction conditions for instant coffee production in two stage percolators, which is the most common coffee extractor for instant coffee producti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build mathematical model equations fo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n these equations, the yield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coffee extracts were expressed as second-order functions of three factors, the feed water temperature, draw-off factor (DOF), and extraction time (cycle time). Based on the result of RSM, the optimum conditions were obtained with the use of desirability function approach (DFA) which find the best compromise area among multiple option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to maximize the yield and overall acceptability over 40% of yield were found with 163℃ of feed water temperature, 4.3 of DOF and 27 minutes of extraction time (cycle time). These results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ffee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competitive instant coffee in the industry.
        4,000원
        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is an important pest for stone fruits like apple, peach, pear etc. Growers usually depend on chemical insecticides to control this pest, but it causes problems like resistance, pest resurgence, and health hazard. Although various plant extracts have been known to be potential against other lepidopterans, their effectiveness against oriental fruit moth has rarely been studied. So, we evaluated toxicity of 28 methanolic plant extracts known from previous literatures in the laboratory condition. Residual toxicity against 1st instar larvae (<5 h old) were examined using glass scintillation vial method at the concentration of 2 mg/ml. Among the tested botanicals Nicotiana tabacum L. was most effective and showed 92% mortality within 20 h and LT50 value was 12.9 h followed by Allium sativum L., Zanthoxylum piperitum (L.), and Sapindus mukorossi Gaerten. which showed 88, 70, and 65% mortality within 20 h, respectively.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Humulus japonicus Seibold & Zucc., Nerium indicum Mill., and other extracts showed least effectiveness on 1st instar larvae of oriental fruit moth. Hence, we suggest N. tabacum, A. sativum, Z. piperitum, and S, mukorossi as botanicals to be used against oriental fruit moth.
        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d characterize a drinking extract of disk abalone to keep the price level and to raise a added value of disk abalone. Fresh raw disk abalone was composed of 29.3% of the shell part, 17.7% of the intestinal part, and 43.9% of the flesh part. and the amount of nutritive substances in the intestinal part were higher those in the flesh part. Argin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both in raw and drinking extract of disk abalone. Drinking extract prepared with 250 g of the flesh of disk abalone at 100℃ for 2 hours was better in color and overall taste than those made with 150 g or 200 g of the flesh.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was gradually increased or the extracting period was gradually extended, the extracting effect was slightly improved but the color of the extract turned out to undesirable one. The desirable sea tangle extract could be made when 15 g of sea tangle was extracted in 1 l of water at 100℃ for 2 hours, and which was accorded well with the color of drinking abalone extract. From these results the best drinking extract of disk abalone can be manufactured with 250 g of the abalone flesh extracted in 1 l of water at 100℃ for 2 hours.
        4,000원
        6.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 natural food preservative, the root bark of Morus alba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sample was atronger than those of the extracts by the other solvents such as water, methanol, ethyl acetate and acetone.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was shaking extraction twice for 5 hours at room temperature in case of 7 times of absolute ethanol added to the crushed root bark of Morus albs.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es albs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MIC, 6.4-19.2 g/ml) such as B. subtilis, B. cereus,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Especially, Bacillus species was the most susceptible to the extracted substance. The eth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MIC, 160-1600 g/ml) and yeasts(MIC, 1600 g/ml) such as C. albicans and S. acidifaeciens. The extract also showed growth inhibition against molds such as A. niger, A. parasiticus, A. versicolar and T. uiride.
        4,000원
        7.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rom 2000 years ago, Panax ginseng is identified as precious pharmaceutical plant. Depend on growing environment, the name would be vary. For instance, it is called "mountain cultured ginseng (jangnoesam)" which is artificially grown ginseng, "Cultured ginseng (jaebaesam)" which refer to the ginseng grown in the forest, and lastly "Wild ginseng (sansam)" which inhabits in deep mountain. The main active compounds in the Panax ginseng is called ginsenoside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ing in biological field. However, most studies focus on functional ability of ginseng. In this study, to seek the suitable extraction cond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cell cultured Panax ginseng was extracted according to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Methods and Results :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the sample was pulverized into 500 μm and added 10% (v/v), 30% (v/v), 50% (v/v), 70% (v/v) and, 90% (v/v) EtOH. After that, the samples are extracted in different time by ultrasonic bath (Power sonic 520, Hwashin Co., Korea). The extracts was filtered by Whatman No. 2 filtering paper. Eventually, the saponin was separated by n-butanol as the ginsenoside, the combination of terpenoid and sugar. The extraction yield of 90% cell cultured panax ginseng EtOH extract was 7.36±0.33%, which was the lowest extraction yield and simultaneously, 10% EtOH extract showed 1.8 times more yield that of 90% EtOH extract. The saponin extraction yield revealed 10% and 70% EtOH extract showed 1.64±0.06% and 3.13±0.08%,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suitable extraction yield in cell cultured panax ginseng and saponin were evalua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such as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As a result, when 10% EtOH was applied as solvent, the yield was doubles of 90% EtOH extract. As ethanol became high concentrations, the extraction yield was gradually increased. Among them, crude saponin, the main active compounds in Panax ginseng was extracted the most by 70% EtOH and that value was 3.13±0.08%.
        8.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류수 및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온도 (60, 100℃) 및 초음파 병행 조건을 달리한 사자발쑥의 추출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열수 추출이 20.51%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또한 60℃ 및 100℃ 열수 추출이 60℃ ethanol 추출에 비해 각각 2배, 3배 정도의 수율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추출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이 일반 열수 추출과 비교하여 약 20%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세포를 이용한 사자발쑥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6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각각의 조건에 비해 5~8%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암세포를 이용하여 사자발쑥 추출물의 첨가를 통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 측정 결과를 통해 0.8 mg/ml 이상의 농도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물 추출물이 최고 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60℃ 물 추출물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40~62%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서 모든 농도조건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활성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최대 110% 까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선택성에서도 모든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병행하지 않은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해 증가된 세포선택성을 나타냈다. 암 발생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bcl-2 발현 실험에서 100℃ 물 추출물의 IOD 수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나 초음파를 병행을 통해 감소하여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냄에 따라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열수 추출 공정 및 용매에 따른 암 발생 관련 성분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사자발쑥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 60℃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수율 향상 및 세포독성의 저해는 물론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9.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를 혼합한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혼합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설계된 실험조건에 따라 제조된 혼합음료의 당도는 9.77-11.5 , pH 는 3.0정도 이었다. 음료의 색도는 뜰보리수의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산의 함량은 현미식초의 혼합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페놀성 물
        10.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의 부가가치 향상과 새로운 식품자원의 개발을 위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의 혼합음료를 개발하고자 혼합조건에 따른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제조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차였다. 음료의 색, 풍미, 맛 그리고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유의성이 있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풍미는 현미식초의 함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맛은 색도와 같이 뜰보리수의 함량이 낮은 혼합구에서 가장 높았다. 음료의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
        11.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에탄올로 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탈지추
        12.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의 증삼전 열처리로 홍삼중의 추출가능 물질은 물추출물 뿐만 아니라 60%주정 수용액 추출물의 양을 근본적으로 다량 생성시켜 추출수율을 높였다. 또한 갈색도가 증진되었으며, 전분질을 함량을 저하시켜 추출물중 원심분리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분을 감소시키므로써 이의 제거를 위한 원심분리기 등 고가의 공정 단축이 가능할 수 있다. 증삼 전 예열 적정온도는 70℃에서 60분이 적합하였으며 증삼시간에 따라서는 엑스추출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예열 조건별 물 추출물 엑스의 향미 비교에서 향과 맛 모두 당의 특성 향미가 증진됨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