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avonols as a major kind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are known for health-promoting compounds in onions (Allium cepa 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profiles of flavonol glycosides in different 75 onion accessions. A total of five flavonols (quercetin 3,4'- diglucoside, Q34'diG; quercetin 3-glucoside, Q3G; quercetin 4'-glucoside, Q4'G; isorhamnetin 4'-glucoside, I4'G; quercetin, Q) were identified from onion accessions. In positive ion mode using LC-ESI-MS, individual flavonols were confirmed from one and two glycosylation binding with aglycone such as quercetin and isorhamnetin. Total flavonol contents were distributed in white onion (range of 0.18-6.47 mg/g DW) and purple onion accessions (range of 2.39-6.47 mg/g), respectively. The mean of flavonol contents in purple onion (4.41 mg/g) showed 1.4-fold higher than white onion (3.23 mg/g). The Q34'diG and Q4'G were considered as the major compounds of flavonol glycosides in onion accessions.
        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은행나무 잎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최대 생장량과 항산화능이 우수한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즉, 은행잎을 이용하여 조직배양한 결과 암과 광조건에서 모두 NAA 첨가 조건이 2,4-D 첨가 조건에 비교하여 양호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냈다. 가장 우수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낸 배양조건은 광조건의 10 μm NAA와 5 μm kinetin의 조합 처리시였다. 따라서 현탁배양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는 10 μm NAA/0.5 μm BA, 10 μm NAA/0.5 μm kinetin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잎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광조건에서 10 μm NAA가 처리된 기본 MS배지에 캘러스를 현탁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HPLC를 통한 flavonol glycosides를 분석한 결과 10 μm NAA가 처리된 조건에서 현탁 배양된 녹색 캘러스에서 quercetin dehydrate와 keamperol이 각각 0.556, 0.157 μg/20 μl 검출되었다. 잎 추출물에 비해 표적물질을 제외한 불순물이 적어 표적물질의 순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keamperol의 경우 기존의 연구보고에 비해 약 7배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