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 금속공예는 仿古銅器와 金銀器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방고동기 는 예제개혁과 회복을 통한 권력강화를 위해 황실 주도 하의 진행된 금속공예였다. 북송의 방고동기는 휘종대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고, 상대 고동기의 기형과 서주 고동기의 명문을 적용하였으며, 부분 주조 후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남송대 방고동기는 紹興, 紹熙 연간에 주로 제작되었고, 宣和博古圖를 바탕으로 淳熙釋尊制度圖, 紹熙州縣釋奠儀 圖와 같은 예서를 활용하여 새로운 경향의 방고동기를 만들었다. 송대의 금은기는 재질의 희소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보편화 되었는데, 東京夢華錄등 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대 금은기 사용의 보편화는 시장경제의 활성화를 의미하 는 것으로 금은기 소유는 제한적이지만, 사용은 영업장을 방문한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었 다. 송대 금은기는 협층법과 거푸집 단조 등 전대와는 다른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협층법은 기형의 중후함과 내부를 매끄럽게 만들어 사용이 편리하였고, 거푸집 단조는 동일 기형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양 표현에서는 화훼문과 인물고사 등이 주요 문 양으로 등장하였고, 타출기법으로 문양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송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재질과 기형, 문양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금은으로 방고동기를 만들고 고동기의 문양을 금은기에 적용한 것은 당시 금은기에도 방고동기의 영향이 있었다는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송대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인 방고동기와 금은기의 소유는 황실과 관료 등의 지배층에 국한되었지만, 소비와 사용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방고동기의 사용은 황실과 관료 등 지배 층에 국한되었지만, 금은기는 영업점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었던 공예품이었던 것이다. 송 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역할의 차이가 있었지만, 황실에서 민간으로 그리고 상품화로 다양 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 송대의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이었다.
        7,700원
        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ice alcoholic beverages, cheongju and beopju, which are recorded in "Koryodokyung", "Koryosageolyo", and "Koryosa", were used in national and royal ceremonies, and yakju was used in the Palgwanhoi ritual. In the late 11thcentury, King Munjong imported hwaju and haenginjabeopju from the royal family of the Song Dynasty. Alcoholic beverages in the early 12thcentury included the medical use for kings, such as gyehyangeoju, which the Emperor of the Song Dynasty sent to King Yejong, baekjainju, which was sent to King Myeongjong for his health, and yangju, which is goat milk fermented alcohol from the nomads in the northern regions. In the early13th century there was also dongrak, which is a horse-milk fermented alcohol, grape wine sent from Yuan to King Chungryeol in the late 13th century, and sangjonju, a type of special cheongju sent from Yuan in the early 14th century. Baekju from Yuan was recorded in oral traditions, which suggests that soju, which is distilled cheongju, was consumed in the late 14th century. Gold and silver wares for alcoholic beverages had importa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meanings as national gifts to other countries and internally as the king's royal gift to his subjects. In the late 14th century, soju was prohibited, and the use of gold and silver wares for alcoholic beverages was bann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raditional rice alcoholic beverages, the emotional preference for foreign alcoholic beverages, and the gold and silver wares used for alcoholic beverages Koryo Dynasty.
        4,000원
        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왕금은광상은 백악기 중기의 반상화강암이나 선캠브리아기의 소백산 편마암 복합체에 발달한 열극을 충진한 석역맥에서 산출된다. 광물공생군에 대한 연구결과 광화작용은 4시기에 걸쳐서 일어났다. 광화 띠는 주요황화광물과 소량의 에렉트럼, 광화 II기는 에렉트럼, 광화 III기는 함은황화염광물과 소량의 에렉트럼, 그리고 광화IV기는 광석광물정출과 무관한 시기이다. 광물학적 연구 및 유체포유물 연구결과 수왕광상의 광석광물은 초기에는 고온(300˚C)에서 정출하여 후기로 가면서 온도가 150˚C까지 하강하는 경향을 보이고, 염농도는 섬아연석의 10.4wt.%에서 중정석의3.1wt.%의 영역을 보여준다. 수왕광상의 금은 광화작용은 140∼250˚C의 온도와 황분압이 10-12∼10-18 atm을 갖는 광화유체에서 일어났다. 유체포유물의 비등증거로부터 광화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의 압력 조건은 정암압 환경에서 약 210bars 정도로 추정되며, 이는 대략 약 800m의 심도에서 광화작용이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4,200원
        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nemarrhena asphodeloides has efficacy such as anti-fungal, anti-cancerous,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ti-UV etc. Metal nanoparticles are used for photo imaging, cancer resection and drug delivery etc in medical field. Therefore A. asphodeloides nanoparticles will be expected better efficacy for therapeutic properties in medical f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water extract of A. asphodeloides mediated the synthesis of Aa-AgNPs and Aa-AuNPs. Their characterized by several physicochemical techniques such as UV-Vis spectrophotometry, FE-TEM, EDX spectroscopy, SAED pattern, DLS size analysis, XRD analysis, and FTIR analysis. Both Aa-Ag/AuNPs were evaluated for cytotoxicity towards 3T3-L1, A549, HT29 and MCF7. Aa-AgNPs and Aa-Au NPs were found to be spherical, face-centered cubic nanocrystals with hydrodynamic diameter of 190 and 258 ㎚. In vitro cytotoxic analysis revealed that up to 50 ㎍/㎖-1 concentration Aa-Au NPs did not exhibit any toxicity on 3T3-L1, HT29 and MCF7 cell lines, while being specifically cytotoxic to A549 cell line. On the contrary, Aa-Ag NPs displayed a significantly higher toxicity in all cell lines specially MCF7 cell line. ROS generation was not affected by Aa-Au NPs, but Aa-AgNPs has a higher potential to induce oxidative stress in A549 cells than HT29 and MCF7 cells. Aa-Au NPs have the potential for anticancer agent during lung cancer treatment. Aa-AgNPs is also exhibited to inhibit cell migration by induce oxidatie stress. Conclusion : The Aa-Au/AgNPs might have the anticancer potential and might be effective in the lung cancer therapy, however further evaluation is must needed.
        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은 함유 황화광물 정광으로부터 Au와 Ag를 용출시키기 위하여 황화광물 정광을 건식과 습식으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한 황화광물에 대하여 광물학적 연구와 티오요소 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입도와 등전위는 정광시료에서 보다 건식 전-처리 시료에서 낮게 나타났고, 건식 전-처리 시료 보다 습식 전-처리 시료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XRD 분석결과, 습식 전-처리 시료에서만 비정질의 특성이 나타났다. 정광시료에서, 최대의 Au, Ag 용출인자는 1.0 g의 티오요소, 1.0 M의 황산제2철, 2.0 M의 황산 농도에서 그리고 60℃의 용출온도에서였다. Au, Ag용출률은 건식 전-처리 시료에서 보다 습식 전-처리 시료에서 언제나 많이 그리고 빠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적당한 미분쇄 첨가제와 시간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비-시안 용매를 적용한다면 친환경적으로 Au, Ag를 용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