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red wine processed from ‘Cheongsan (Vitis amurensis)’ grape cultivar. In order to compare the quality of ‘Cheongsan’ red wine, ‘Campbell Early’ and ‘Muscat Bailey A, MBA’ red wines were also utilized for this study. The pH of the red wines produced from ‘Cheongsan’, ‘Campbell Early’ and ‘MBA’ were 3.1, 3.6 and 4.0, respectively. Tannin,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the ‘Cheongsan’ red wine were 2,939 mg/L, 1,516.2 mg/ L, and 1,882.4 mg/L,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about twice those of ‘Campbell Early’ and ‘MBA’ red wines. The antioxidant level of ‘Cheongsan’ red wine was found to be 5,413.9 mg/L, which was also two times higher than 'Campbell Early' and 'MBA' red wines. Although the acidity of ‘Cheongsan’ red wine is relatively high, ‘Cheongsan’ red wine contains a lot of tannin, mature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has excellent antioxidant propert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engsan' grape could be an excellent source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red wine.
        4,000원
        2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ble grape 'Hongisul' with strong cold and disease resistance has high sugar, low acidity and excellent palatability. However, this grape has a problem of poor color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fruit color through leaf removal treatments in ‘Hongisul’ grapes. The leaf removal treatment involved removing 2 leaves and 4 leaves around the grape cluster at the start of veraison. The light exposure value of clusters increased 4 leaves removal clusters compared with those of the 2 leaves removal and non-treatme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bient temperature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improved light exposure caused by leaf removal increased soluble solids content and the ratios of hunter a value (red) in the grape skins, while total acidity had decreased more in the leaf removal.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improve viticultural practices with the aim of producing red-colored grape.
        4,000원
        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옥’ 포도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무가온 하우스에서 착과량을 조절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 년간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처리내용은 10a 기준으로 1.3t, 1.8t, 2.2t, 2.4t, 2.6t의 5처리로 하였다. 시험결과 신초경, 신초장, 절간장 등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 이었다. 숙기는 착과량이 많아 질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포도 ‘진옥’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노지보다 수확기를 3주 정도 앞당길 수 있었다.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수량은 많아졌으나, 평균과중은 착과량이 많을수록 작아져서 10a당 1.3t 착과한 처리구는 363g으로 가장 컸으며, 10a당 2.6t 착과한 처리구가 342g으로 가장 작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수확 후 착과량에 따른 엽 및 신초내 무기성분함량은 처리 간 비슷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포도 ‘진옥’ 품종은 착과량 이 2.4t/10a 이하이면 생산량에 따라 품질차이가 없으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 15oBx 이상의 고품질 포도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육성된 ‘진옥’ 포도의 지속적인 고품질 안전생산을 통하여 농가 소득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originally distributed across a few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s invaded North America and Europe, but is absent from Australia. In order to export the South Korea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to Australia, its potential to serve as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must firs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after elucidating the SWD life cycle and establishing an artificial diet-based mass-culturing system. An investigation of the life cycle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16, 19, 22, 25, and 28°C) showed that the durations of the egg, larval, and adult stages were shorten whe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6, 19, 22, 25, and 28°C, but pupal duration was shortest at 25°C and extended again at 28°C. A test of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grape clusters showed oviposition of 30.8 ± 6.8 eggs per cluster of injured grapes and 157.7 ± 16.2 eggs on a culture dish of artificial diet. However, in a similar experiment using uninjured grape clusters, only a single egg was deposited on the grape skin, which soon dried. In light of these results, newly harvested grapes left at vineyards during daily harvests are unlikely to serve as an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as long as the grapes remain uninjured.
        2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epitrimerus vitis (Nalepa) is a grapevine pest and distributed worldwi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grapevine damage related to density of C. viti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control time. The damaged flower buds displayed retarded growth and became dried up, and symptoms of damaged leaves such as malformed and bronzed leaves were observed. Flower cluster and leaves were collected and density of the grape rust mite were observed by using a washing and sieving method. The highest mean density (±SE) of C. vitis was found to be 672.6±112.9 per flower cluster with mid-level damage, and 450.1±66.5 per 2 leaves was found on the damaged leaves. These severe damage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early spring, and the density of the grape rust mite was significantly higher as 80 times in damaged vineyard than in the undamaged at the early growth stages of the grapevine. To determine the emergence time of the grape rust mite from lower part of a winter bud the ratio of density of C. vitis on upper-bud to lower-bud was observed. On 13 April 2015, 80% of the grape rust mites were observed on upper-bud where the mite could feed at the bud burst stage. Therefore, once the symptoms of damaged flower clusters and leaves are observed, acaricides should be sprayed before inflorescence emergence, and at the early growth stage between bud burst and leaf development in following year. This would allow the decrease of the density of C. vitis in early spring, and the progression of severe damage could be prevented.
        2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0oC 이상 고온기 포도 착색장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차광 정도에 따른 포도 광합성과 과실특성 및 품질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국내육성 ‘자랑’과 ‘흑보석’ 포도를 가지고 수행하였다. 1. ‘자랑’ 포도는 오전 10시 무처리 대비 차광 30%에서 오전에는 5.1 μmolCO2·m-2·s-1, 오후에는 9.4 μmolCO2·m-2·s-1 광합성률이 높아 오전부터 차광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흑보석’ 포도는 무처리 대비 오전 10시에 –3.1 μmolCO2·m-2·s-1로 광합성률이 저하하고, 오후에 7.6 μmolCO2·m-2·s-1 광합성률이 증가하여 오후 고온에서 30% 차광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차광 30%와 50% 처리간에는 광합성률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자랑’ 포도를 10시부터 17시까지 평균온도는 무처리 대비 30% 차광 엽온은 4.2oC, 50% 차광 엽온은 4.8oC 낮았으며, ‘흑보석’ 포도는 10시부터 16시까지 평균온도는 무처리 대비 30% 차광 엽온은 4.1oC, 50% 차광 엽온은 4.9oC 낮았다. 두 품종 모두 무처리와 차광 처리간의 범위는 4.8 ~ 4.9oC로 차광이 엽온 저하에 효과적이었으며, 차광처리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과실 특성에 있어서는 ‘자랑’과 ‘흑보석’ 포도의 과실중, 당함량, 산도는 무처리구와 인공차광 처리구 간 유의성이 있었다. 하지만 과방길이, 직경, 과립수는 처리구 사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자랑’ 포도 안토시아닌은 무처리 28.88 μg/cm2 대비 차광 30%가 42.8 μg/cm2로 1.5배 높았으며 명도(L)은 차광 처리에서 낮고, 적색도(a)는 무처리가 높으며, 황색도(b)는 차광 처리에서 낮으나, 차광처리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흑보석’ 포도는 안토시아닌, 명도(L), 황색도(b)는 처리 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적색도(a)는 차광 30%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나, 차광 처리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2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정방법이 ‘홍이슬’ 포도나무(Vitis vinifera L.)의 생장, 과실품질, 그리고 생산량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2년과 2013년에 수행되었다. 단초전정, 중초전정, 단초+장초전정, 그리고 단초전정+장초유인의 네 가지 전정방법이 시험처리에 이용되었다. 1. 단초전정 +장초유인은 신초발생수를 가장 크게 증가시켰고, 빈가지수를 감소시키면서 착과수를 증가시킨 반면에 단초전정은 신초수를 감소시키면서 신초장과 빈가지 수를 증가시켰다. 2. 단초전정 +장초유인은 과실수량을 크게 증가시켰고, 과방과 과립의 특성은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단초전정 +장초유인은 과실의 당도와, 당산비, 과피의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을 크게 증가시켰다. 4. 단초전정은 과실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4,000원
        2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포도 캠벨얼리의 광폭 비가림 설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폭비가림은 비가림의 폭이 기존의 표준 비가림보다 30 cm 넓게 구성되어 있다. 비가림처리는 모두 대기온도보다 2~3oC 높게 나타났고 광 폭비가림하에서 일 평균온도는 0.5~1oC 정도표준 비가림 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대습도는 대기습도보다 15~20% 낮게 나타났으며 연차간 차이를 보였다. Pseudocecospora vitis 에 의해 발생하는 포도 갈색무늬병의 발생은 2012 년에는 광폭비가림이 표준비가림 보다 55.6% 적게 나타 났고 2013년에는 17.2% 적게 나타났다. 포도는 2년에 걸쳐 수확하였고 당함량, 산함량, 과립중, 과립크기 등 과실품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012년에는 처리간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2013년에는 광폭비가림이 당함량이 0.4o Bx 높았고 산함량은 0.8%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광폭 비가림의 적용이 갈색무늬병의 발생 정도를 낮추고, 과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추출된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와 시판 포도씨유가 고콜레스테롤을 섭취시킨 Wistar계 흰쥐의 혈청 지질 개선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군은 식이지질의 종류에 따라 4 군으로 나누었다. 기본(BA) 식이군의 지질급원은 대두유(SO) 7%, 대조(CO) 식이군은 SO 7% + 콜레스테롤 1%, 친환경 오징어 간유(EFSO) 식이군은 EFSO 7% + 콜레스테롤 1%, 그리고 포도씨유(GO) 식이군은 GO 7% + 콜레스테롤 1%로 각각 조제하였다. 이들 지질을 4주 동안 섭취 시킨 흰쥐의 혈청 지질을 분석한 결과, triglyceride (TG), total-cholesterol (Total-C), LDL-C, VLDL-C 등의 함량이 CO 식이군에 비하여 EFSO 식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한편 GO 식이군에서 혈청 TG, VLDL-C, HDL-C 등의 함량은 EFSO 식이군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Total-C 및 LDL-C의 함량은 CO 식이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EFSO 식이군의 동맥경화지수(AI)는 CO식이군의 약 1/2 수준이었으며, GO 식이군에서도 이들 지수가 EFSO 식이군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외형상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식이군에서 백색 및 갈색 지방조직 함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EFSO가 실험쥐의 혈청 지질, 특히 LDL-C, TG 등의 함량을 저하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지질급원으로 생각된다.
        4,000원
        3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피색의 경우 정량적인 지표로서 주로 Hunter L*a*b* 값을 이용하나 이 값으로 과피색, 과실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포도 착색지수로서 제안된 CIRG(Color Index for Red Grapes) 값의 활용도를 평가하여 포도 착색의 객관적인 평가지수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도가 착색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과립을 채취하여 과피색과 당도, 산도 등의 품질 인자를 측정하여, CIRG 값과의 상관을 분석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CIRG 값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CIRG 값이 증가함에 따라 안토시아닌 함량은 지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는 ‘캠벌얼리’와 ‘흑보석’ 모두 0.8500 였다. CIRG 값과 당도는 ‘캠벌얼리’가 0.7758, ‘흑보석’이 0.7253으로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냈으며, 산도 또한 각각 0.7279, 0.663으로 비교적 높은 결정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색포도를 대상으로는 CIRG값이 Hunter L*a*b*값에 비해 과실품질을 추정하는데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도즙의 양(0 g, 50 g, 100 g, 150 g, 200 g)을 다르게 첨가하여 포도 양갱을 제조하고,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 총 페놀 함량, DPPH,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포도양갱의 pH는 포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값이 낮아지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당도는 대조군이 1.47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점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값(L값)과 황색도(b값)이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값)는 그와 반대로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총 페놀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등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포도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산화 실험에서 포도즙 200 g 첨가군의 결과가 가장 좋았으나, 관능검사 결과, 포도즙 150 g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는 포도즙 150 g이 첨가된 양갱시료의 실용화가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과실 표면에 구름모양의 흰색 얼룩이 자주 발견되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어 방제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흰색의 달무리 반점은 포도 과실 표면에 부정형으로 퍼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총채벌레가 산란할 때 만들어진 작은 구멍의 상처가 남아 있다. 이 상처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코르크화되고 표피세포와 분리되어 딱지로 남거나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총채벌레의 섭식이나 노린재의 흡즙에 의한 상처와는 구별된다. 산란구멍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DNA를 추출하여 ITS2 부위의 염기 서열을 PCR-RFLP 방법으로 분자동정을 실시한 결과 꽃노랑총채벌레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은 이러한 분자 동정 결과를 재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포도 과피에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해 유발되는 독특한 피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포도원에서 이 해충에 대한 방제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3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 수출단지(경기 화성, 경북 상주와 영천, 전북 남원, 충북 영동)를 중심으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 재에 의한 피해의 지역적 분포와 수출농가와 일반농가 간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하였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의한 포도 피해는 조사한 62개 과원 모두에서 나타났고, 피해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지역 내에서도 농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내수용 포도를 생산하는 과 원에 비하여 수출용 포도를 생산하는 농가의 피해율이 낮았으며 피해신초율과 피해엽율은 높은 상관관 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는 15종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는데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우점종이었다. 끈 끈이트랩에 유인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밀도도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수출과원이 내수과원 에 비하여 밀도가 낮았다. 포도과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는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끈끈이트랩에 채집되었다.
        4,200원
        3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evines are cultivated globally, and are also damaged by a large number of insect pests especially including leafhoppers. Leafhoppers are one of the important insect pests on various crops including grape. Among them, the genus Arboridia Zachvatkin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Typhlocybinae) was known as insect pests against grape farming. Eighty species were described in the genus in the world, and eight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which are: Arboridia apicalis, A. kakogawana, A. koreacola, A. maculifrons, A. nigrigena, A. okamotonis, A. silvarum, A. suzukii. Among them, A. apicalis, A. kakogawana, A. maculifrons, A. nigrigena, A. suzukii have been known as important insect pests on grapes. In this talk, we propose a new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confirmed two new records: A. agrillacea and A. lunula. Additionally we present differential diagnoses of the Arboridia species damaging on grapevines for the field of applied biology.
        3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e seed tea (GST) was prepared by roasting grape seed at 150-190oC for 10-60 minutes and then soaking inwater at 100oC for 20 minutes. GSTs made with grape seed with an L value of 19.5-20.5 were the best in termsof color, flavor, and sensory test. GSTs prepared using roasted grape seeds had higher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than GST prepared from raw grape seed. Roasting times to reach an L value of 19.5-20.5 were over60 minutes at 160oC, 40-50 minutes at 170oC, 30-40 minutes at 180oC, and below 10 minutes at 190oC. In a sensorytest, the total preferenc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asting. GST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used grapeseed roasted at 170oC and 180oC for 30 minutes.
        4,000원
        4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pale plant bug, Apolygus spinolae was one of the main insect pests that damaged leaves and fruit in grapes and its damage status was firstly reported in 2000 in grape orchar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ce in damage rate depending in management type of grapevine orchards (domestic sale farm vs export farm) in the export complex area of Korea (Hwangsung in Gyeonggii, Sangju and Yeongcheon in Gyeongbuk, Namwon in Junbuk and Yeongdong in Chungbuk) from 2010 to 2012. Damage by A. spinolae occurred in all 62 survey farms and damage rate differed depending on locality and individual farms in the same area. Damage rate was lower in export farms than in domestic sale farms, and damage rate of leav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damage rate of new shoots. 15 species of hemipteran insect were attracted to sticky traps and A. spinolae was the dominant species. The attracted number of A. spinolae in the sticky traps differed depending on locality, and more occurred in domestic sale farms than expert farms. A. spinolae was continually attracted to sticky traps in the harvest period in grapevine orchard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