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 전 세계의 인구는 2050년 약 90억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인구팽창으로 인한 식량부족 및 사료공급의 문제는 생산 시 야기되는 자원고갈 및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전 세계의 큰 관심사로 화두되었다. 이렇듯 현대사회가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미래자원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으며, 곤충이 하나의 유망자원으로서 새롭게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목질을 섭식하는 흰개미의 경우 난분해성 물질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의 분해능력으로 인해 해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흰개미의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흰개미를 목조 문화재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분류하여 흰개미의 방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을 뿐 유용자원으로서의 흰개미의 잠재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흰개미는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식용 및 사료로서 활용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환경영향 및 효율에 관한 연구 역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를 대상으로 흰개미가 주로 섭식하는 폐목재를 먹이로 주어 사육하였을 때, 생산되는 식용과 사료의 온실가스 발생량(LCA, Life cycle assessment)과 질소의 순환효율(ROI, Return on Investment)을 정량화하여 환경적・경제적 이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정량화된 온실가스 발생량과 질소의 순환효율은 식용으로 활용할 경우 기존의 단백질원인 한우, 양돈, 육계, 대두와 비교하고, 사료의 경우 대두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흰개미를 식용과 사료로 이용할 경우 온실가스 발생량 측면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의 순환효율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래 유망자원으로서 보다 다양한 곤충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곤충활용에 따른 환경적⋅경제적 이점의 정량화는 향후 곤충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활성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 전 세계의 인구는 2050년 약 90억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인구팽창으로 인한 식량부족 및 사료공급의 문제는 생산 시 야기되는 탄소, 질소의 손실로 인한 자원고갈 및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전 세계의 큰 관심사로 화두되었다. 또한, 대두, 유채, 팜을 이용한 식물성 바이오오일의 생산은 식량작물을 에너지작물로 활용함에 따라 개발도상국의 식량부족 문제를 심화시키는 악효과를 야기했다. 이렇듯 현대사회가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미래자원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으며, 곤충이 하나의 유망자원으로서 새롭게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곤충 중 흰개미의 경우, 분류계통상 고등 및 하등 흰개미로 분류되는데 종류에 따라 섭식대상이 다양하며 소화기작에서도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특히 목질을 섭식하는 흰개미는 난분해성 물질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의 분해능력으로 인해 해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흰개미의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흰개미를 목조 문화재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분류하여 흰개미의 방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을 뿐 유용자원으로서의 흰개미의 잠재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흰개미는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식용 및 사료로서 활용을 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환경영향 및 효율에 관한 연구 역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흰개미 중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를 대상으로 흰개미가 주로 섭식하는 폐목재를 먹이로 주어 사육하였을 때, 생산되는 오일과 식용의 온실가스 발생량과 탄소와 질소의 순환효율을 정량화하여 흰개미를 산업용으로서 활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과 전체 탄소와 질소의 물질흐름에 있어서 환경적・경제적 이점을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3.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the antimiocrobial actions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 which showe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icroorganism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were investigate. In the inhibitory experiment of enzymes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metabolism hexokinase activities decreased to 73% and 68% by treating with Polygonum cuspidatum Sieb. et.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mnberg extra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respectively.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that microbial cell membrane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extract solution. this change of celluloar membrane permeabil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that 0-nitrophenyl--D-galactopyrano-side(ONPG), the artificial substrate of -galactosidase, was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the extract, indicating that the membrane was perturbed.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o substances isolated from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were carried out by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9GC/MSD), which were identified as eugenol. As a result, the functionality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as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may be recommended.
        4.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식물로부터 항균활성소재를 ethanol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시설원예산물에 대한 선도유지제로서의 기능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변패된 시설원예산물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Corynebacterium xerosis, Pseudomonas syringae 및 Enterobacter aerogenes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여 항균성을 실험한 결과, 호장, 정향, 치자, 황금, 적작약, 결명자 등에서 항균성을 확인하였고, 여기에서
        5.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medicinal herb extracts(KMHE) were applied to the preservation of greenhouse produce in order to prove their effectiveness. KMHE showe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Bacillus cereus, Peudomonas syringae, and Corynebacterium xerosis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Among KMHE the extracts of Rheum palmatum L. and Coptis chinensis Franch most obviously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ms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which destroyed to undetectable levels when treated with more than 500ppm of KMHE. The activities of KMHE were stable in the wide spectrum of pH and temperature.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microbial cell membrane the function of which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solutions of KMHE. This change of cellular membrane permeabil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that O-nitrophenyl--D-galactopyranoside(ONPG), the artificial substrate of -galactosidase, was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KMHE, indicating that the membrane was perturbed by KM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