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채소의 모종 시기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물의 높이, 장변 및 단변을 영상처리를 이용해 자동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각 작물 당 20개씩의 실험체를 두어반복 측정한 결과, 들깨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5.0mm로 평균 실측 길이 대비 1.7% 오차율, 장변은 평균 오차 4.7mm, 오차율 3.9%, 단변은 평균 오차 5.5 mm, 오차율 6.9%로 나타났다. 도라지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2.4 mm, 오차율 8.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10.4%로 나타났다. 상추의 높이는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9.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3.6mm, 오차율 9.4%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 환경에 맞게 좀 더 개선된다면 사람의 시각을 이용한 작물의 생장상태 판별보다 더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2.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와 식물에 대한 관심도와의 관계, 식불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히였다. 9종의 실내 식물에 대한 14쌍의 이미지 감성형용사 어휘는 평가적인, 활동적인 그리고 정서적인 요인의 세 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세 가지 이미지 감성요인 중 활동적인 요인보디는 평가적인 요인이, 평가적인 요인보다는 정서적인 요인이 실내 식물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대상자들의 실내식물을 키우는 것에 대한 관심도는 충성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 연간 구입 개수,구입 비용,실내 식물을 키우는 형태와 같은 행동적 요소는 경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에 있어서 실내식물에 대한 22항목의 중요도는 6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 종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서이완성”,“심미성”의 개념에 해당하는 항목들의 경우 다른 요인에 비해 충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5가지 충성도의 항목 중 “실내 식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그리고 중요성 인식은 거주자의 정서적 건강 증진과 실내 식물의 소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식물에 대한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인공지반녹화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다육식물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잎색을 나타내고 있다. 다육식물의 광환경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식물의 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RHS color chart로 그 값을 조사하고 이를 화상데이터인 RGB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일반인의 색상 판단에 용이하도록 색채분석방법과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시된 14종의 다육식물 중 관도변화에 뚜렷한 종은 Sempervivum arachnoideum, Sempervivum rebustum, Sedum reflexum 'Blue Spruce' syn. Sedum rupestre이었다. Sempervivum arachnoideum는 초기 전체 엽색이 183B에서 144B로 변화하였고, Sedum reflexum 'Blue Spruce' syn. Sedum rupestre은 138B에서 182D로, Sempervivum rebustum는 146B에서 187C로 변화되었다. RHS color chart 상의 큰 차이를 보였던 종들의 RGB값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Sempervivum arachnoideum는 녹색은 무려 424.0% 증가하였고, 적색은 21.8% 감소하였으며, 청색은 6.8%의 증가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Sedum reflexum 'Blue Spruce' syn. Sedum rupestre은 전체적으로 적색을 띄게 되었는데 이 변화는 적색이 43.9% 증가하고, 녹색이 35.9%, 청색은 66.1% 증가함을 통해 색상의 변화가 밝아지고 뚜렷한 색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Sempervivum rebustum의 기부가 처음에 비해 2개월 후 적색이 녹색으로 변한 것은 녹색이 658.3% 증가되고 적색이 26.0%, 청색이 62.8% 감소된 결과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