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marked predicate in Korean must have an honorific vocative element in Spec-Voc in order for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 on Voc to be discharged in the Spec-head relation with the vocative element in Spec-Voc in the concept of Chomsky's (1995) Minimalist Program, which induces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at the speech level.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ess-upnita/sey-yo) percolates from T to Voc. At this point, VocP is above CP, which is why addressee honorification and impersonal subject honorification cannot appear in the embedded clause in Korean. Imperatives with quantificational subjects in English can exhibit, in addition to second person pronouns, third person pronouns as well. This is because a bound element exhibits either the person feature of the partitive phrase binding second or third person pronoun, or default third person value, which is against S. Park (2020).
        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은 이론과 실제, 즉 비평과 시 사이에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많은 비난을 받아왔다. 사실 엘리엇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특히 개별 작가에 대한 비평적 관점이 변화한 것으로 유명하다. 엘리엇 스스로도 이를 의식하였으며, 이러한 비난에 대한 대안으로 그가 제시한 것은 시 적 기법이다. 엘리엇은 초기부터 시작 행위자의 비평을 줄곧 옹호해왔 듯이 창작행위는 비평에 우선한다고 하였다. 즉 그의 이론을 정당화하 는 것은 바로 시라는 덕이다. 그러나 엘리엇에게서 이론과 실제는 일방 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으로 그의 시 이론과 시 창작행위 사이의 긴밀성을 추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엘리엇의 몰개성시학을 정당화 하 는 작업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 기법은 엘리엇의 이론과 실제, 형식과 내용을 연결해 주는 수단이며, 동시에 시학이론—즉 시는 그 자체로 자 기 충족적이라는 이론—을 시험하고 정당화하는 수단인 것이다. 셰익스 피어, 단테, 형이상학파 시인, 상징주의자, 이미지스트 등은 모두 이러한 몰개성 기법의 연구자로서 엘리엇에게는 유의미했다.
        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향기와 노래하는 지빠귀 새는 객관적상관물에 근거한 시인의 의식에서 창조된다. 철학자 데리다는 차이의 체계와 연쇄적 운동은 객관적상관물로 대체된다고 믿는다. 의식은 시간과 공간에 근거하여 과거와 미래가 유희가 되는 조건으로 존재(Being)에 도달 할 수 있다. 이 사랑을 부르고 또 사랑의 시를 쓰는 가치는 모든 가치를 능가하며 열계단 사다리의 가치에 못지 않다. 시간과 공간보다 절대적 우연의 맹렬한 일격을 철학자는 강조한다. 절대적 우연에 근거한 맹렬한 일격을 통해서 기표보다는 기의에 더욱 큰 가치가 부여되는 것은 부동하는 기표는 극소한 사상의 여유(극소한 유희의 간격)의 결핍 때문이다. 맨나는 이율배 반을 초극할 수 있는 의미론적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단순한 형태로 제로의 상징적 가치이며 부재의 음소가 아닌 제로음소이다. 소나무 향기가 기표에 근거한 것과 또 다른 형태의 존재(노래하는 지 빠귀새)는 기의에 근거하고 있다. 소나무 향기와 노래하는 지빠귀 새와의 관계는 사회과학이 아닌 생물학과 심리학을 통한 제로물체와 비종족의 종족과의 관계에 비유될 수 있겠다. 즉 구조들의 구조가 맹렬한 일격으로 언어가 될 수 있다. 이것이 철학자의 믿음이다.
        5.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liot’s and Nietzsche’s epistemological frames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lthough there is no evidence that Eliot’s literary taste was affected by Nietzsche’s thought, there seems to be a discernable continuity in impersonal theory between them. Philosophy, Nietzsche thought, was bound by epistemological dilemmas. So was it in Eliot’s view while he was a student of philosophy. Both of them meditated on a way out of the fix that philosophy had raised. As a solution, Nietzsche asserts in The Birth of Tragedy the primacy of art over philosophy. In his view the world of art was a Dionysian affirmation of the world as it was without subtraction, exception, or selection. The knowledge of self through art was not a sign that art was purely personal and subjective. Rather, art demanded a triumph over personal will and desire, simultaneously rejecting personal feelings and embodying objectivity. Eliot’s poetics is in substantial agreement with Nietzsche’s in this reg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