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lobal mushroom industry has grown rapidly in recent years in terms of beneficial effects, market value, and demand. India has a wide range of agro-climatic conditions and is largely an agricultural country with a cultivated area of about 4.37 %, generating about 620 million tons of agro waste annually. Mushroom cultivation not only helps recycle agro wastes, but also fills the nutritional gap prevalent among a large population of India. Recently, government industrial policy and creative innovation has promoted research and other endeavors aiming towards the cultivation of mushrooms. Mushroom cultivation in India was initiated in Solan, in the mid-sixties. Mushroom cultivation has been successful in temperate regions of the Himalayas, the Western Ghats, and the hills of northeast India. Recently, many unemployed people have begun to adopt mushroom cultivation as a means of self-employment. It is high time that Indian mushroom cultivators and consumers became aware of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mushrooms. The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India between 2010 and 2017 was approximately 0.13 million tons, accounting for a 4.3% increase in the average growth rate of mushrooms per annum. In particular, the total production of white button mushrooms is the highest, with a share of about 73% of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this review article,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scenario of the Indian mushroom industr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4,200원
        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 각국은 관광과 문화 사업을 21세기 국가 전략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관광 선진국들의 사례를 비춰볼 때 국민소득이 2만~3만 달러 이상 증가하면 육상 관광과 레저에서 해양 관광과 레저로 추이가 이동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주 5일 근무제의 시행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가족 지향형 가치관의 형성으로 가족단위의 여가활동 및 여행수요 증대의 보편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해양레저를 즐기고자하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기반시설 부족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 서남해안 해역은 수많은 다도해가 자연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해양레저 산업을 활성화 시키는데 적합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반시설 부족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양레저 기반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서남해안 해양레저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친환경 해양레저 기반 시설 구축 방안에 관하여 논한다.
        4,000원
        6.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industrial growth and the effect on government tax potential of the South Sulawesi Province. The growth of the tax object affects government tax potential of South Sulawesi Province. Environmental resources affect government tax potential of the province. The study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on primary data. The population consisted of all officers and staff involved in regional work units. Revenue Service area in South Sulawesi Province counts 630 employees. The sampling method is purposive sampling random carried out based on specific objectives. The respondent qualifications are taken from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Unit Office and the Department of Revenue. The number of respondents is 96 from the Head of UPTD and three of them are related with tax Section Chief Officer. The results showed that industrial growth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potential increase in tax of South Sulawesi. Growth in tax object significantly affects the potential increasing tax of South Sulawesi. Environmental resources significantly affect the potential Increase in tax.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local government is to enhance tax potential, reduce bureaucracy in industrial licensing, and facilitate local farmers to get involved in economic contributions.
        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fusion research journals and its operational strategies, comparing them to those of IJIDB.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 analysis and strategies of operations for other convergence journals, comparing them to IJIDB in terms of the number of publication journals, publications, academic scope, and the impact factor. Results - IJIDB is relatively new and in its developmental stages compared to other convergence journals. But, IJIDB also shows much promise in that it came second in the field of economic publications of 54 journals in 2017. In order to To elevate IJIDB journal to the top in 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KODISA should host more international conferences to increase its international recognition levels, develop its managerial functions for increased stability, and open more opportunities for Candidates of Ph.D and Masters degree students to publish for fostering and building potential leaders and innovators. Conclusions – IJIDB is a newly born academic journal. In the future, IJIDB will be able to develop exponentially and be one of the leading journals in the Korea Citation Index by continually learning and developing its operational strategies.
        8.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fusion research journals and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such journals and compare them with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IJIDB.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s analysis of convergence journals after summarizing the development history from IJIDB's past and its external situ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other strategies such as the number of publication journals, the number of publications, the academic scope, and the impact factor that other convergence journals operate 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vergent journals showed to have several related journals, and some journals managed their impact factor well at 5.8. Also, some journals loaded 25 papers in one volume. Also, the managerial functions in IJIDB should be developed further to increase its stability. Finally, opportunities for articles by Candidates of Ph.D. and Masters degree students should be more open to in this field. Conclusions – If IJIDB finds its competitiveness in comparison with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other convergence journals, it will be the best journal in the Korea Citation Index to receive the most research papers and hospitality from scholars in the Korean journals.
        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과 출야에 자생하고 있는 주요 특용자원식물 10여가지로부터 추출한 추출액 이 무(radish) 의 발아 및 줄기, 뿌리의 생육과 줄기 뿌리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농도에서 무의 발아 및 생육을 억제함을 나타내었다. 1.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의 산도가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각각의 특용자원식물의 pH를 조사해본 결과 거의 중성이나 약 알칼리성을 나타냈으며 당귀의 추출물의 농도가 5%, 10%에서 pH 산성 반응을 나타냈다. 2. 해바라기추출물의 농도가 10% 농도 일 때 63% 정도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의 추출물에서는 10% 농도일 때 거의 발아가 되지 않아 무의 발아에 추출물이 강한 억제 영향을 나타낸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3. 줄기성장 관계를 보면 1% 농도에서는 무의 줄기 생장은 촉진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둥굴레 추출물에서 거의 2배의 성장 촉진을 가져 왔으며 까마중 추출물도 1.9배의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5% 농도일 때는 치커리 추출물에서는 control에 비해 2배로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황기추출물은 75%정도의 생장억제를 나타내었고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 추출물에서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여 강한 생장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4. 뿌리 생장에서 추출물농도 1%에서는 해바라기를 제외한 다른 특용자원식물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있었다. 5%농도에서 치커리, 둥굴레는 생장을 촉진 시켰고, 10% 농도 까마중, 도꼬마리, 당귀 추출물에서는 전혀 생장되지 않았다. 5. 줄기의 건물중을 비교해 보면 해 바라기는 1%, 5%에서는 건물중이 비슷하였으나 10% 농도에서는 6%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치커리. 둥굴레는 저농도에서 오히려 건물중이 향상되는 경향이었으나 10% 농도에서는 강하게 억제하였고 당귀, 도꼬마리, 까마중은 전혀 건물중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황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은 현저하게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6. 뿌리 의 건물중은 1%, 5%에서는 당귀, 까마중을 제외하고는 거의 억제되지 않고 10%에서는 황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은 뿌리의 자람이 억제되어 건물중의 증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특용 식물에서는 약간의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 등은 무를 이용한 생물 검정법에서 강한 억제작용물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런 특용자원식물의 상호 억제작용을 이용한 잡초방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allelopathy 물질의 분리, 동정, 포장에서의 cover crop(피복작물)로 이용시 잡초 억제 효과를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량의 대기오염물(SO2, HF)이 배출되고 있는 공업단지 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도의 생육에 이들 대기오염물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도의 각종 형질, 수량, 대기중의 오염물 농도, 엽내유황 및 불소함량과 엽피해율을 조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내유황함량과 대기중 아황산가스 농도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엽피해율 조사치는 대기오염에 의한 수량감소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이용 할 수 있다. 3. 본 조사지역에서는 아황산가스보다 불화수소의 배출량이 적지만 엽피해의 발생에는 불소의 관련성이 아황산가스보다 높았다. 4 수량형질의 수량에 대한 기여정도는 주당수수가 제일 컸으며, 주당수수는 엽내 불소함량과 깊은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5. 엽내 유황함량은 수량 및 수량형질과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