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결과지식 수준(잘한 수행과 못한 수행에 따른 결과지식)과 신체 및 관찰연습이 시간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n=40)는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good 집단, 관찰_good 집단,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poor 집단, 관찰_poor 집단중, 하나의 집단에 10명씩 무선 할당되어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컴퓨터 키보드의 J와 F키를 이용하여 제시되는 시각정보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타이밍 과제이다. 9회의 사전연습단계 후에 네 개의 집단은 각각의 신체연습 집단이 수행한 3회의 시행 중, 가장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good 집단과 관찰_good 집단)과 가장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poor 집단과 관찰_poor 집단)을 받았다. 그리고 약24시간 후에 결과지식 제공 없이 파지 및 전이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이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검사에서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습득단계에서는 집단과 블록에 대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는 결과지식수준과 연습형태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습단계는 집단 간에 상대적 타이밍 및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습득단계에서는 연습이 진행됨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 잘한 정보를 받았던 good 집단이 poor 집단보다 상대적 타이밍 학습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적 타이밍 학습은 결과지식 수준과 연습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기술 학습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전체 48명의 피험자는 매우 빠른 共時的 調時(coincident timing)課題를 수행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두 가지로 제시되었다; 양적인 결과지식(quantitative KR)과 질적인 결과지식(qualitative KR). 양적인 결과지식의 경우 피험자들은 반응오차의 크기와 방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수적으로 제공받았으며 반면에 질적인 결과지식의 조건에서 피험자들은 단지 수행된 동작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실험에서 독립변인은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와 연습시행이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연습시행에 전반적으로 양적이거나 또는 질적인 결과지식이 제시된 경우와, 연습단계에 따라 양적인 결과지식 형태와 질적인 결과지식 형태를 다르게 제시하는 조건의 4집단별로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반복시행 측정하는 4×10(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연습시행(분단)) 요인설계 하에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제시된 시각정보에 따른 피험자의 동작수행에 대한 시간오차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히 본 실험에서와 같이 피험자가 매우 빠른 조시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될때 운동수행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는 연습단계에서 혼합되여 결과지식의 정밀성이 제시되는 경우(연습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지식 정밀성 형태가 제공되는 조건)보다는 전적으로 질적이거나 또는 양적인 결과지식이 제공하는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