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effects that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sit up, push up) that everyone can easily practice regardless of a time and a place in order to manage practically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aged affects the difference on their body composition and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level. Looking into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the weight of 2.5kg was reduced after applying complex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body fat mass of 2.65kg was reduced. Also, the abdominal fat of 0.13% was decreased and the muscle mass of 1.56kg was increased. For the chang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balance and flexibility excluding ag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pplying complex exercise training. The improvement of health fitness of the aged under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specified body functions which had been lowered by ag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So, it is regarded that their health fitness is the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activity competence required for daily life and to lead healthy living by the improved activity competence. Henceforth, it needs to study more the complex composition of several sports, exercise intensity and the frequenc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In addition, it needs to develop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 sex of the aged, an age, a physical fitness level, environment, a disease and th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during training.
        4,000원
        2.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que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test items of primary school student, and supplying a basic data for setting up of scientific examination criteria of individual evaluation through the result ana
        6,400원
        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 836명(여학생 305명, 남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성, 체력 등급, 체육활동 수준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학교체육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신체활동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와 한국판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을 대상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과 t-검증 그리고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그 하위영역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만한 결과는 남녀 모두 매력적 몸매에 대한 자기지각 수준이 다른 하위요인들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매체 등을 통해 확산된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중학생 연령부터 이미 내면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체력 등급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력 등급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지각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남녀 모두 자율적인 체육활동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매우 낮았다. 이러한 체육수업 외 체육활동 수준은 신체적 자기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학교체육 현장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