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eaching manual was developed to incorporat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to a fashion marking course. Students’ creativity,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are promoted by appl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systematically to solve authentic business problems experienced by local apparel business owners. This teaching manual is based on the FourSight Model that consists of Clarify, Ideate,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ools promoting divergent thinking are also utilized in the process. A local fashion business is invited as a problem owner and four resource groups are formed with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irton Adaption Innovation Inventory. Each resource group consists of 6-8 student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s implemented into a classroom setting as four 75-minutes sessions that are held twice a week for two consecutive weeks. The local fashion business owner will be in presence during the first (Clarify) and last (Implement) sessions. The instructor facilitator meets with the problem owner outside the classroom three times including pre-session client interview, after the second (Ideate) session, and before the third (Develop) session. This modified CPS manual for fashion marketing and merchandising courses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to work with local fashion businesses while providing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4,000원
        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긍정적/부정적 마케팅 정보에 대해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소비자심리학, 크로스컬 쳐, 음양이론의 융합관점을 통해 비교하였다. 음양이론은 철학적 이중적 사고(또는 이원성)라고 정 의되는데, 이는 두개의 상반되는 특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바탕으로 사고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음 양이론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진 동양인은 어떠한 정보에 노출되더라도, 반대 측면을 추론하는 성 향이 높을 것이다. 이러한 성향은 마케팅 메시지에서 기대하지 않는 효과, 긍정적 정보의 부정적 효과, 부정적 정보의 긍정적 효과를 유발시킬 것이다. 연구결과,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긍정적 정보에 대해 더 부정적 반응을 보였고, 긍정적 태도수준 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양인은 긍정적 정보에 의해 강화 또는 비감소현상을 보임으 로써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를 보였다. 부정적 정보에 대해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더 긍정적인 반 응을 보였고, 서양인은 더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보에 대한 동양인의 정보처리과정을 음양이론으로 접근 방법으 로 설명하였다는데 학문적 의미가 있다. 글로벌 기업은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동양인과 서양인이 다르게 인식 및 반응할 수 있다는 인식해야할 필요가 있겠다.
        9,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