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Atlas fabrics, the Ikat weaving method used by the Uygur People in Xinjiang, China.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other literatur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kat fabrics from various regions are compared. Follow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f fabrics from the Indian Patola, Indonesian Ikat, Japanese Kasuri, and Uzbekistan Adras are summari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colo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tlas silk from Xinjiang China (also an Ikat fabr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weaving process used for Ikat fabric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different national cultures, lifestyles, colors, patterns, and usage methods, they are all Ikat dyed fabrics. Therefore, they are all regarded as precious objects symbolizing a certain social status, and are used as a gift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weddings. Second, the form of the pattern varies. Indian Patola has clear outlines and regular patterns, while the patterns of Japanese Kasuri are mainly inspired by folk life ideas. Indonesian Ikat contains influences from indigenous tribes, and Uzbekistan’s and China’s Atlas textiles are influenced by geography, religion, and national culture, including bright colors and pattern designs inspired by plants, musical instruments, and geometric figures. Finally, the patterns and colors of Xinjiang Atlas fabrics present strong ethnic characteristics. Unlike the Uzbekistan fabric which is mostly influenced by Islam, human and animal patterns would not feature in Xinjiang Atlas patterns, which mostly consist of long strips, repeated in a neat and orderly form.
        4,900원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들은 범죄의 표적이 되어 가장 기본적인 생존 및 안전의 문제를 위협받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범죄의 심각성을 알리고 범죄 발생의 맥락을 파악하여 범죄피해 예방을 위한 조치들을 마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범죄피해에 가장 취약하다고 볼 수 있는 발달장애인 을 중심으로 범죄피해와 관련된 위험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작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장애인 대상의 범죄는 반복성, 장기성, 비가시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장애의 직접효과, 사회적으로 매개된 장애의 효과, 피해의 촉진, 피해의 유인, 인식된 취약성 등이 범죄피해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범죄는 가해자, 피해자,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사회적 관심의 확충을 통하여 장애인 범죄 피해의 가시성을 높 이고, 관련 정보를 축적하고, 위험 요소를 확인하는 등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범죄피해를 최소화하는 실천적 조치를 마련하는 것은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전체 사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반드시 요청되는 작업이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