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9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털진드기 유충 (Acari: Trombiculidae)은 쯔쯔가무시증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이다. 털진드기 유충의 발생량 은 가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 및 시기에 따라 발생 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남 예산의 털진드기 발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6-51 주차 (9-12월)에 걸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논, 밭, 수로, 초지에 5m 간격으로 털진드기 트랩을 환경별로 5개씩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그 결과 총 3,257개체로 2017년 1,104마리, 2018년 785마리, 2019년 650마리, 2020년 160마 리, 2021년 139마리, 2022년 233마리, 2023년 186마리 채집되었다. 동정 결과 5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둥근혀털 진드기(Neotrombicula tamiyai)가 1,882개체(57.78%)로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매개 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easonal chigger-borne disease surveillance program was established at Geoje in March, April, October, and November, 2023. Three species of 45 wild rodents were collected by using Sherman traps, including Apodemus agrarius (Species Ratio; SR 88.9%), Crocidura spp. (SR 8.9%), Micromys minutus (SR 2.2%) in Geoje, 2023. A total of 2,597 chiggers were collected from three species of the rodents in Geoje. The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from A. agrarius (Chigger Index; CI 64.9) and C. spp. (CI 0.3) for Geoje. In the collection environments, a total number of 734, 659, 172, 520, and 512 chiggers were collected from a reservoir, a ditch, a rice paddy, a field, and a hill,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isolation of Orientia tsutsugamushi from the chigger mites, no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the DNA of the 62 pools of the mite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in 2023.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쯔쯔가무시증은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이 숙주를 흡혈할 때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쟁 중에 첫 감염사례가 확인되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털진드기 유충이 성장하기 위해선 반드시 동물의 체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야생 설치류 등에 기생 하는데 봄철과 가을철에 주로 발생한다. 이처럼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털진드기의 분포와 병원체 유무를 조사하 기 위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3월, 4월과 10월, 11월 5가지 환경(논, 밭, 수로, 야산, 저수 지)에서 Sherman trap을 이용하여 설치류 채집을 진행하였다. 2022년에는 총 18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4마리(77.8%)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2023년에는 총 25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9마리(76.0%)로 역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설치류 의 개체수는 2022년 대비 2023 년에 약 39% 증가하였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드기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022년에는 총 1,862마리, 2023 년에는 3,243마리가 채집되어 전년 대비 약 74% 증가하였다. Chigger index 값을 살펴보았을 때 2022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22.2, 2023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69.7로 가장 높았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 드기의 반수에 대한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 30마리씩 pooling하여 실험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된 2022년과 달리 2023년 10월 3개, 11월 1개의 pool에서 쯔쯔가무시 양성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양성 샘플은 모두 저수지에서 채집된 개체로 해당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ries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are an effective repellent and deterrent against various kinds of pes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patial repellency of fifteen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on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in the laboratory and field by using two-choice and no-choice bioassays. In laboratory two-choice tests, six compounds displayed active spatial repellency against female adult mites at a 2mg dose. The repellency of each compound was also as effective as the 6-compound blend. Three of the six compounds showed the predominant repellent activity (over 90%) that lasted for at least 3 days in laboratory no-choice tests. In a field test, we found that the number of T. urticae was fewer in strawberry seeding treated lure with 2mg of these compounds than in strawberry seeding treated lure with solvent control. Given that the findings are efficacious, economical, and natural products, they can be used 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 urticae in greenhouse.
        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 분포하는 중기문응애류 중 파리응애과의 Holostaspella crenulata Krantz, 1967 (톱니무늬파리응애, 신칭) 와 화살응애 과의 Lasioseius floridensis Berlese, 1916 (가슴선화살응애, 신칭) 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각 종에 대한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정보, 성충의 현미경사 진과 도판을 제시하였다.
        4,000원
        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tle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transportation for phoretic chelicerata. They use various methods to attach themselves to their hosts, such as developing ventral sucker plates, grasping with their claws and chelicerae, or hiding beneath the elytra. Recently, we discovered new species of two genera: Antennoseius (Mesostigmata: Blattisociidae) and Gaeolaelaps (Mesostigmata: Laelapidae) which are hiding under the elytra of Carabidae hosts. In this study, digital images of the beetles, and mites, along with brief diagnostic information and line-drawing plates will be provided.
        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ia tsutsugamushi 에 의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설치류에 기생한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균인 O. tsutsugamushi 는 Gilliam, Karp, Kato와 같은 표준 혈청형 외에도 유행하는 국가에 따라 30종 이상의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우리 연구진은 야생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남 예산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3-4월, 10-11월에 걸쳐 수행하였 다. 총 142마리의 설치류가 포획되었으며, Hanging method로 설치류에서 분리된 털진드기는 총 18,347마리였다. 수거된 털진드기의 샘플 중 1/2은 질병관리청으로 이관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을 이용하여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2018년 5건, 2019년 2건, 2020년 0건, 2021년 9건, 2022년 0건, 2023년 36건이 확인되었으며, 혈청형 분석 결과 Je-cheon 28건, Young-worl 3건, Boryoung 9건, Koto Akita 1건, Gilliam 2건, Karp 9건으로 확인되었 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예산 지역 내 다양한 O. tsutsugamushi 혈청형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에 따른 혈청형 차이가 반영된 공중보건학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Varroa mite, Varroa destructor, a parasitic mite that afflicts honey bees, has become increasingly resistant to acaricides like fluvalinate due to its widespread use. The target site insensitivity mechanism, mediated by the L925V/M/I mutations in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plays a major role in resistance. Additionally,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Cyp450s) appear to function as a metabolic resistance factor; however, no Cyp450-mediated resistance mechanism has been reported to d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Cyp450s associated with fluvalinate resistance. A synergistic bioassay confirmed the involvement of Cyp450s in conferring tolerance or resistance to fluvalinat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rtality data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Cyp450 gene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several candidates that may play a crucial role in fluvalinate resistance. Analysis of tissue distribution patterns revealed that these genes were most abundantly expressed in the cuticle and synganglion. This suggests that, despite their relatively low expression level, they may play a critical role in protecting the target site from fluvalinate due to its predominant expression in neuronal tissues. Functional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baculovirus expression, demonstrated that fluvalinate has high inhibition rates against the recombinant candidate Cyp450s, suggestive of their strong interaction with fluvalinate. We discussed the potential utilization of their expression levels as a molecular marker for diagnosing metabolic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Varroa mites.
        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Varroa mite, Varroa destructor is an ectoparasite that parasitizes honey bees. The widespread usage of acaricides, particularly fluvalinate, ha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resistance in Varroa mite populations all over the worl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ack fluvalinate resistance in Varroa mite field populations in Korea using both bioassay and molecular markers. To accomplish this, a residual contact vial (RCV) bioassay for on-site resistance monitoring was developed. Early mortality evaluation in the RCV bioassay was effective for reliably separating mites with the knockdown resistance (kdr) genotype, but late mortality evaluation was useful for distinguishing mites with additional resistance factors. The RCV bioassay of 14 field mite populations collected in 2021 revealed potential resistance development in four populations. Quantitative sequencing was used as an alternate metho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the L925I/M mutation in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vgsc), which is related with the fluvalinate kdr phenotype. While the mutation was not present in Varroa mite populations in 2020, it appeared in 2021, rose in frequency in 2022, and was practically ubiquitous across the country by 2023. This recent emergence and rapid spread of fluvalinate resistance within a span of three years demonstrate the Varroa mite's significant potential for developing resistance. This situation emphasizes the critical necessity to replace fluvalinate with alternate acaricides, such as fenpyroximate, coumaphos, and amitraz. A few novel vgsc mutations potentially involved in resistance were identified. Potential factors driving the rapid expansion of resistance were further discussed.
        1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 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 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 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 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4,500원
        1 2 3 4 5